필자주) 약정이 끝난 고객님은 전체 가입자의 50%↑ 잠자고 있던 현금 43만원 찾아가세요. |
[ 반갑습니다~ 백메가 대표 신정권입니다^^ ]
넌 누구? 2008년부터 통신업을 하고 있는 자칭 전문가
너 회사 커? 재택근무로 시작 후 임직원 50여명
믿을 수 있어? 벤처기업 인증 및 통신특허 13건보유
우는 아이 젖 준다는 속담 있듯이,
어느 업종이나 항상 까다로운 고객이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됩니다.(호갱이 발생하는 구조)
쉽게 빗대자면, 휴대폰 시장과 아주 비슷한데요..
갤럭시S10이나 V50 핸드폰을
남들 10~20만원 대에 구매 할 때,
나만 130만원 주고 구입하는 격입니다.
핸드폰과 달리 인터넷은 교체 주기가 매우 길고 (3년)
전단지, 스팸 전화, 스팸 문자 등으로 오염되어
업체 선택이 힘듭니다.
인터넷 가입하라고 권유하는 스팸전화나 문자는 하루에
적어도 1번 이상 오니까요 ㅎ
[스팸문자는 배터리 광탈과 정신 오염의 주범입니다 ㄷㄷ]
1. 3년 이상 쓰면 손해?
[통신사에게 보내는 우리의 작별 인사.jpg]
약정이 만료되면, 통신사에서는
1 아무 말 없이 어물쩍 넘어가거나
2 재약정을 유도하거나
3년 약정 기간이 지났는데, 그냥 쓰면, 다른 통신사로
이전했을 때 받을 수 있는 현금 사은품을 못 받기에
약 40만원이 공중분해됩니다ㅠ
약정 기간이 만료되었다면 기존 것을 유지하는 것보다,
다른 통신사로 이전하는 게 이득입니다.
특히 핸드폰이 타 통신사에 집중되어 있다면,
방치할 경우 손해가 막심합니다.
(예 : LG 인터넷 + 가족 3명 SKT 핸드폰 최악!!)
(예 : SK 인터넷 + 가족 3명 SKT 핸드폰 최고!!)
때로는 통신사에서 해지를 막으려고
상품권 + 요금할인으로 재약정 을 권유하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에도 역시 핵심은
"우리 가족들의 핸드폰 통신사가 어디냐?"
2. 약정? 위약금? 그것이 문제로다.
혹시 약정 끝나셨습니까?
축하드립니다.
그런데, 만약 약정기간이 끝난 뒤 재약정 하셨다면
역시 마찬가지로 신규가입처럼 위약금이 새로 생깁니다.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모르고 재약정을 하며,
해지를 못하고 뒤늦게 애꿎은 이불만 걷어차시곤 합니다.
따라서 재약정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약정이 끝나지 않았는데 해지하시려고요?
위약금 부담이 어마 무시하게 큽니다. 절대로 안 됩니다.
내 첫사랑을 빼앗아간 철천지원수가
현 통신사에 취업했다는 등(?)의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위약금을 물고 해지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옮기는 편이 나을 수 있습니다.
가족 핸드폰이 SKT/LG/KT중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다면,
인터넷+핸드폰을 결합해서 저렴하게 쓸 수 있기 때문이죠.
위약금은 사은품으로 비슷하게 상쇄할 가능성도 있고요.
위약금은 어떻게 알아보는 걸까요?
통신사 본사에 전화하면 다 알려줍니다.
LG - 국번없이 101번 → 1번 →2번 → 5번
SK - 080-8282-106 → 5번
KT - 국번없이 100번 → 1번 → 0번
주의 : 가끔 콜센터에서 장비 위약금까지 같이 묶어서
어마 무시한 위약금으로 알려줍니다.
이는 해지 후 기사님께 장비만 반납하면 없어지는
부분이기에 안심하십시오.
해지방어를 위해 상담원들이 교육받는 멘트입니다.
3. 품질은 다르게, 요금은 동일하게!
[이 세상에는 아직 VDSL도 영업 중입니다]
어느 통신사를 사용 중이십니까?
게임 중 캐릭터가 팝핀 댄스를 추고 있진 않습니까?
그럼 인터넷이 비대칭으로 들어올 확률이 높습니다.
대칭형 vs 비대칭형 (대칭형은 온라인 게임 필수)
대칭형 인터넷은 업/다운로드속도가 비슷한 망이고요~
비대칭형 인터넷은 다운로드 속도는 빠른데, 업로드
속도가 느립니다.
말만 들어도 후자가 더 후져(?) 보이지 않습니까? ㅎ
[짤 하나로 설명 가능 ㅎ 요금은 동일하다는 게 함정 ㅠ]
비대칭형 망을 제공하는 통신사는 가급적 거르는 게
(요금은 대칭형과 100% 동일함)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통신장애 + 정신장애의 주범이지요^^;
이 구분(대칭 / 비대칭)은 먼저 묻지 않는 이상
통신사에서 알려주지도 않을뿐더러,
홈페이지 상에서 조회도 불가능합니다.
이를 억지로 알아내는 방법은 두 가지 입니다
1 통신사 본사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2 아니면 저희 백메가로 요청해주세요.
가입을 강요하며 부담 드리는 일 결코 없습니다.
익명으로 문의게시판에 문의주세요^^
4. 보기만 해도 혐오감 드는 광고물
[요즘도 이런 식으로 세기말적 광고를 합니다]
인터넷 가입업체들의 광고나 전단지에서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현금을 지급한다거나,
자극적인 홍보문구를 자주 목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은품의 마지노선은 인터넷+TV 가입 시
약 38만원 ~ 43만원 전후이며
이 이상이면 낚시입니다.(인통법이 시행됐거든요)
가. 터무니없이 낮은 요금
2019년 6월, 경품고시제가 시행되었습니다.(인통법)
방통위에서 지정한 사은품 가이드라인을 어기는 경우
1건 당 무려 1백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최근 대리점들은 마땅히 받을 수 있는
할인 혜택을 → 마치 본인들만이 드리는 혜택으로
둔갑하는 속임수를 쓰곤 합니다.
핸드폰 할부원금 사기랑 비슷하게 설명합니다.
나. 가이드라인 초과
[ 즈이 집에서 뫼시는 냥이 5마리 중 가장 엉뚱한 '샤샤' ]
인통법이 시행되어 가이드라인이 정해졌다 해서
모두 지키는 것은 아닙니다.
가이드 초과하여 영업을 하는 대담한(?) 곳들도 있습니다.
무사히 가입을 마치신다면 다행이겠지만 ^^;
언제든 빠르게 폐업 가능한 영세 업체인 경우가 많으며
혹시나 일시에 적발되어 '수수료 정산 미지급 + 벌금'
페널티가 부과될 경우 빠른 폐업과 동시에 사은품이
공중분해되는 폰지사기형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행태를 업계에서는 일명 "낚시"라 부릅니다.
5. 사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요즘에는 보이스피싱이나 대출 사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가입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마치 간이라도 빼줄 것처럼 가족처럼 대하다가도,
일단 가입하고 나면 사은품을 못 받거나, 사은품이
다르거나, 납부 요금이 다르거나, 심지어는 연락 두절에
사이트가 없어지기까지 하는 황당무계한 일이
일어나기도 하죠. 이러한 사기와의 전쟁을 위해
몇 가지 전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가. 마법의 단어를 쓰자
휴대폰을 구입할 때에 마법의 단어는 이것입니다
"그래서 다 됐고 할부원금 얼마임?"
인터넷을 가입할 때에 마법의 단어는 이것입니다
"그래서 다 됐고 통장에 얼마 들어옴?"
나. 하루살이 업체 피하기
뉴스 사회면을 보신 분이라면 알고 계시겠지만,
과거 거성모바일의 150억 먹튀사건은 애교 수준이고
아웃바운드 피싱사기나 불법 내구제 사기는
생각보다 우리 일상에 너무 흔합니다.
따라서 사업자 정보 없이 카페에서 접수를 받거나
업력이 모호한 업체를 조심해야 하죠.
① 사업자등록증
② 유선통신 서비스 판매점 사전승낙서
③ 도메인 최초 개설일
문제 있는 업체들은 궁색한 핑계(?)로 공개를 안 합니다.
3번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도메인 주소 최초
개설일을 조회하시면 됩니다.
업력 최소 5년 이상은 믿고 가입하셔도 됩니다.
저희는 2008년에 도메인을 개설했네요 ㅎㅎ
P.S : 가입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도 인터넷과 관련되어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백메가를 찾아주시겠어요?
고객 응대 우수사례에 여러 번 소개된 문의게시판.
궁금하지 않으세요?
한줄요약 - 약정이 끝났다면 인터넷 바꾸고 43만원 받는게 유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