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신용 둔기로 써도 될 만큼 우람한 덩치의 셋톱박스들이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작아지고 있습니다 😅
그러다가 재작년, KT에서 무려 담뱃갑보다 작은 UHD4 셋톱박스를 출시했고
SK브로드밴드에서도 17개월 만에 경쟁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바로 오늘 리뷰할 제품인 SK 스마트3 미니입니다.
[좌측 : WIFI6 공유기 / 우측 : 스마트 3 미니 셋톱박스.
UTP케이블(랜선) 없이 무선 와이파이 신호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KT의 초소형 셋톱박스는 실망감이 컸습니다.
지난 UHD4 리뷰에서도 느린 반응 속도 + 산재한 버그들로 뜨거운 비판을 받았는데, 출시 후 2년이 다 되어가는 마당에도 나아진 바가 없거든요 ㅠ
[최신 기술을 도입한다고 꼭 이쁘고 좋은 것만은 아니지요]
그래서 SK의 스마트3 Mini를 처음 접할 때에도 아예 기대를 내려놓았는데
막상 써보니.... 이 녀석, 생각보다 나쁘지 않습니다??
1. 스펙과 특징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지원합니다.
스마트3 미니는 최신 AndroidTV 10 운영체제를 택했습니다.
덕분에 무늬만 안드로이드인 AOSP 기반 KT 셋톱박스와 달리 다양한 앱(어플)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TV 앱스 메뉴에서 다양한 앱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여전히 미지원 상태입니다.. 😨
넷플릭스와 SK가 망 사용료 분쟁으로 사이가 좋지 않은 상황을 대입해보면, SK가 협상의 우위를 차지하려고 소비자를 볼모로 잡고 있는 건 아닐까 의심되기도 합니다 +_+
세부적인 앱 지원 현황은 표를 참고해주세요.
작은 고추가 맵습니다.
이 작은 덩치에 고연산 SoC(CPU)를 탑재했습니다.
덕분에 같은 포지션에 있는 초소형 +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KT UHD4와 스펙 차이가 큽니다. 아무래도 스펙은 후발주자가 유리하겠죠? +_+
실제로 UI 반응속도 / 채널 전환속도 모두 SK쪽이 훨씬 낫습니다만
물리적인 스펙 차이 때문이 아니라 KT 소프트웨어 최적화 부실이 원인 아닐까 생각합니다.
굳이 꼽는 단점이라면.. 발열입니다 🔥
[위는 스마트 3 / 아래는 스마트3 미니.
크기 vs 발열은 이율배반적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하지만 실사용에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셋톱박스 기계로 비트코인 채굴장을 돌릴 일도, 부동소수점 연산을 시킬 일도 없으니
쓰로틀링에 허덕일 상황은 딱히 없겠지요 ㅎㅎ
[역시 TV는 뜨겁게 봐야 제맛이죠 ^^]
무선 연결을 지원합니다.
TV수상기 뒷편에 셋톱박스를 숨기고자 하는 분들에게 희소식이겠네요 🥴
그러나 오해마십시오, 무선 연결이라 해서 100% 선 없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무선 연결은 UTP케이블(일명 랜선)을 대체할 뿐이고요~ HDMI와 전원은 유선으로 연결하셔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데이터 통신 : SK 공유기 ↔ 셋톱박스를 와이파이로 연결
- 전원 공급 : TV수상기의 USB포트와 ↔ 셋톱박스 USB포트를 연결
- 동영상 출력 : TV수상기의 HDMI포트와 ↔ 셋톱박스 HDMI 포트를 연결
[위 사진처럼, 셋톱박스를 TV수상기 뒷면에 감쪽같이 숨기기에 용이합니다]
물론 무선 연결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이며, 2가지 단점도 존재합니다.
① 무선 통신은 애초에 불안정합니다
공유기 ↔ 셋톱박스의 거리와 간섭 요인에 따라, 영상 품질에 영향을 받습니다.
통신사에서도 무선연결에 대한 품질 보증을 담보하진 않습니다.
② SK 임대 공유기가 필수입니다
사설 공유기를 통해서는 무선 연결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무선 연결을 위해서는 무조건 SK공유기를 임대받으셔야 합니다 😨
2. 외관 둘러보기
위는 스마트3 미니(BIP-UW200) / 아래는 스마트3(BFX-AT100) 일반 버전입니다.
스마트3도 상당히 콤팩트한 모델이었는데, 그보다 훨씬 작습니다.
크기 차이가 체감 되시나요?
좌측부터 : SK 스마트3 미니 / KT UHD4 / 로지텍 마우스 / 빈츠 쿠키(?) 입니다.
이제 크기가 확! 체감되시지요? 😅
좌측은 스마트3 미니 / 우측은 KT UHD4입니다.
5V 2A의 저전력 어댑터를 사용하고, 이 어댑터는 셋톱박스의 USB 포트와 체결됩니다. 아니 그런데... USB-B타입(5핀)을 채택했네요;;
2~3만원짜리 중국산 가전에도 USB-C타입이 들어가는 시대에도, 근검절약을 생활화하는 SK에게 박수갈채를 보냅니다.
일반적인 풀사이즈(A타입) HDMI 단자를 채택했고,
측면에는 유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이더넷(ethernet) 포트가 있습니다.
UTP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는 설치 환경이라면, 안정성 높은 유선 연결방식을 추천합니다.
구성요소는 ① 셋톱박스 본체, ② USB케이블(A to B), ③ 전원 어댑터(USB-A), ④ HDMI케이블, ⑤ 리모컨 (모델명 BA02)입니다.
리모컨은 스마트3 시절(BA01)과 동일한 생김새지만, 내실은 부족해졌습니다 ㅠ
좌측이 스마트3용 BA01 / 우측은 스마트3 미니용 BA02 리모컨입니다.
크기와 모양새는 100% 동일하지만, 리모컨 측면의 이어폰(3.5파이) 단자가 사라졌습니다ㅠ
그리고 나만의 버튼(맞춤 단축키)은 Btv ZEM 바로가기로 대체되었습니다.
진보는 커녕 퇴화되었네요...
다행히 SK 리모컨 최대 강점인 야광 기능은 여전합니다!
조도 센서가 내장된 건 아니고, 리모컨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주/야간 가릴 것 없이 불이 들어옵니다.
3. 요약과 총평
😁 주요 장점
- 정말 작은데, 아주 강력함
- 다양한 앱 지원
- 무선 연결 가능
- 리모컨만큼은 SK가 최고임
😱 주요 단점
- 강력함을 얻으면서 발열도 얻음
- 넷플릭스는 어디갔니?
- 무선 연결은 설치환경에 따라 품질 차이가 생길 수 있음
- 리모컨 : 구관이 명관
여전히 SK 주력 셋톱박스는 스마트3 (BFX-AT100) 기종이긴 합니다.
스마트3 미니의 SoC 스펙이 좀 더 향상되었지만, 장시간 tv 시청시에는 작은 체구가 발열 해소에 불리하기 마련이거든요?
또한 미니 기종의 세일즈 포인트는 'TV 뒷편에 셋톱박스와 각종 선을 깔끔하게 매립할 수 있다' 인데 스마트3도 충분히 작고 얇습니다 ㅎㅎ
이 2가지 모델의 차이점이라고는 ① 크기(겉모습), ② 무선 연결 지원 여부, ③ 안정성 정도이고
월 요금과 소프트웨어적 측면은 100% 동일합니다.
지난 스마트3 리뷰글와 함께 비교해서 보시면 더욱 좋을 듯 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에 스탠바이미로 티비를 바꿨는데 셋톱박스가 주렁주렁 달리니까 너무 보기싫더라구요
약정이 새로 생긴다거나 하면 그냥 만료까지 기다렸다가 다른 통신사로 바꾸거나 하려는데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믿고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ㅡ^
오! 이번에 스탠바이미를 장만하게 되셨군요 ㅎㅎ
출시 당시에는 성능 대비 가격대가 높아 원성이 자자(?) 했는데
요즘은 가격접근성이 높아져서 구매하시는 분들이 많이 생기시는 것 같더라구요
그런데.. 셋톱박스를 주렁주렁 연결하려니 선때문에 미관을 많이 해치는 듯 합니다😅
이때문에 와이파이로 셋톱박스를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3 미니를 고려하고 계신데요~!
당연히 셋톱박스 변경은 가능합니다.
단순 셋톱박스 교체이기에 약정이 갱신되거나, 위약금을 물지도 않아요!
교체설치비가 발생하긴 하지만 가입하신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2~3만원 정도밖에(?) 안한답니다 ㅎㅎ
다만, 셋탑박스의 "임대기간"은 초기화 됩니다
통신장비는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떨어지는지라 감가상각이 적용되는데요~
(노후화가 진행되며 성능이 떨어지니까요!)
때문에 셋탑박스를 같은 모델로 n년간 쓰면 셋탑 임대료가 전액 면제됩니다.
이 기간을 '임대기간'이라 칭하고 통신사마다 조금씩 기간이 다른데 SK는 5년입니다
즉, 5년간 스마트3 모델을 사용하시면 셋탑박스 임대료(4,400원)가 면제되는 것이지요 ㅎㅎ
허나, 다른 장비로 교체하실 경우 임대기간이 리셋되어요~!
이번에 장비 교체하시면 이 기간이 초기화될테니 이 점만 참고해주십시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