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집에 kt 100m 단독으로 2006년도 부터 현재까지 한번도 이동 없이 계속 사용중입니다.
작년에 100번으로 통화하여 무약정 조건으로 22000원에서 3300원 할인해 18700원을 납부중에 있습니다. (21년도에 전화하였을때는 1년 동안 5500원 깍아줄게 했는데 이번에는 안된다고 하네요..)
최근에 스마트tv로 바꾸면서 tv에 와이파이로 연결하여 시청까지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사용용도는 주로 유튜브 시청이나 개인방송 시청 정도입니다.
트위치를 많이 시청하긴 하나 내년에 철수를 하기 때문에 국내망이 짱짱하면 괜찮을 것 같네요. (아프리카티비나 네이버의 치지직 정도)
게임도 하긴 하나 로아나 롤 같은 게임은 안하고 가벼운 게임위주로 합니다.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주로 pc방에서 작업합니다.
그리고 tv는 hcn금호 케이블로 시청중입니다.
(관리비에서 5500원이 기본으로 나가고 따로 자동이체로 5500원 추가로 납부하고 있습니다.)
합 : 11,000원
kt에 16년 가까이 써도 별다른 뭐 주는게 없고 tv까지 조건이 괜찮으면 싹 다 옮길 생각도 있습니다.)
인터넷 단독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어느정도일까요?
그리고
kt 100m 단독 , hcn금호케이블 1대는 디지털케이블(셋톱박스가 2017년에 설치했네요) , 일반 케이블회선 1대 해서 2대 시청중입니다.
가족은 저 포함하여 4인이고 아버지만 SKT사용중이시고 나머지는 다 알뜰폰 사용중(통신사도 다 따로따로)입니다. 아버지는 복지할인은 받고 계십니다.
듣기로는 SKB쪽에서만 복지할인과 결합합인이 중복으로 적용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아파트를 보면은 kt설치기사님은 가끔식 설치나 as하려 오시는것 같고 sk만 수시로 설치하려 오시더라고요. 주소가 kt(이전설치하면서 고객센터에서 500메가 권하셨음)하고 sk는 1기가 까지 설치 되는걸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였고 lg는 500메가 까지만 설치 되는 아파트이네요.)
500M도 사실 필요없는지라 100M + TV 2대를 하였을 경우 SK나 LG에서 어느정도 금액이 나올까요? 제휴카드도 귀찮은지라(아버지명의라서) 실질적인 납부금액을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TV는 추가대수 요금이 생각 외로 부담이 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