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서 Smart2 (스마트2) 셋톱박스가 출시된 지 딱 6개월 밖에 되지 않았는데 Smart3 (스마트3)가 나와버렸습니다;; 처음부터 잘 빚어 내놓을 것이지 무엇이 그리 급해 1년도 못 채우고 신형을 들고 왔을까요 ㅎㅎ
안타깝게도 지난 스마트2 셋톱박스 리뷰에서 부족했던 점은 스마트3에서도 별 개선이 없습니다. 이름은 스마트인데 별로 안 스마트하지요^^; 그래도 실망하지 마세요. 전작에 비해 월등히 나아진 외모, 크기, 스펙을 자랑합니다!
[스마트3는 정말 작습니다. 이렇게까지 작게 만들 수 있나 싶을 정도로..]
1. 스펙
스마트3 (BFX-AT100)은 UHD 5세대에 해당합니다. 스마트2와 비교하면 연산능력, 대기전력, O/S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었고요 사이즈가 미니멀해진 대신 광출력, USB 단자 1개가 희생되었습니다;;; 정확히 비교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1) CPU는 암로직의 1.8Ghz 쿼드코어입니다. 18,400 DMIPS를 가볍게 소화하는 CPU지만 전력소모율 최적화를 위해 16,560 DIMIPS 로 작동됩니다. 현존하는 메이저 통신사 셋톱박스 중 가장 우수한 두뇌를 가지고 있죠. 이 작은 크기에, 이 정도 연산능력인데, 스마트2 (전세대)의 고질적 문제인 발열을 잡아냈습니다;;;;
[스마트3를 1시간 혹사시킨 후,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 +10℃ 수준으로 매우 양호합니다]
2) 전력소모율은 아름다울 지경입니다. 전세대인 3.9W 대기전력도 매력적인 수치였는데 이번에는 폭스콘 엔지니어들을 고문한 건지 1.5W 대를 성공시켰습니다. 메이저 통신사 중 탑 오브 탑입니다.
[현행 1계위 통신사 메인스트림 셋톱박스의 전력소모율입니다]
이번 스마트3 셋톱박스는 위 2가지 장점만으로 이미 '합격'입니다. 그동안 SK가 IPTV 분야에서 수~많은 원성과 비난(?)을 면치 못했지만 하드웨어만큼은 확실히 10보 전진했어요.
3) 안드로이드 10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덕분에 트레블 아키텍처에 100% 대응 가능하겠지만 어차피 SK는 업데이트 잘 해주지도 않아서...
4) 물론 원가절감도 존재합니다 ㅎㅎ USB 포트가 2개에서 → 1개로 줄었고, 광출력 단자는 아예 사라졌습니다 ㅠ
[믿기 힘드시겠지만 사실입니다 ㅠㅠ]
5) 쓸모없는 MIC 단자(3.5파이)가 추가되었습니다. 왜 쓸모없냐고요? MIC 단자에 스피커 연결이 불가능하거든요. 네. input 전용 단자입니다... 노래방 마이크 연결해서 -> 노래 부르는 용도인 듯 합니다.
[혹시나가 역시나. 노래방 앱이 기본 탑재되어 있네요 ㅎㅎ 당연히 유료입니다]
6) 제조사가 바뀌었습니다. 오랜시간 함께하며 정들었던 가온미디어 / 휴맥스와 이별하고 폭스콘과 손을 잡았습니다! 네 맞습니다. 애플의 OEM 전문업체인 대만 FOXCONN 이 맞습니다^^;
[제조사는 주식회사 에이엘티로 기재되었는데 폭스콘 디바이스 소싱 회사입니다]
2. 겉모습 핥기
경쟁사와 비교해보면 역대급으로 작습니다. 또한 버섯 대가리(?)처럼 생긴 스마트2와 달리 깔끔하고 + 심플합니다.
[이것이 바로... 머쉬룸st. 스마트2 셋톱박스입니다]
구성요소는 셋톱박스 본체 + 리모콘 + 어댑터 + 매뉴얼이고요~ 초저전력 모델이다보니 5V 2A 규격 어댑터입니다. 12V 쓰시면 불납니다!! 그나저나 폭스콘의 외계인 납치설은 사실인가 봅니다. 이 자그마한 사이즈에 발열까지 신경썼죠.
130 x 130 x 33mm 사이즈의 LG유플러스 UHD3 (UIE4027LGU)의 1시간 가동후 온도가 약 18℃ 증가한 반면, 95 x 95 x 25mm 사이즈의 SK 스마트3는 약 10℃ 증가 수준입니다. 참고로 전세대인 스마트2 셋톱박스는 겨울철 난방기구 대체용으로 쓸 만큼 훌륭한 발열을 자랑했습니다.
사이즈가 작더라도 USB 포트는 2개로 만들지.. 아쉽습니다. 네이티브 앱이 아닌 이상 수동으로 APK 설치를 해야하는데요~ 때때로 리모콘 입력지원이 불가능한 앱이 있습니다. 즉, USB 동글 + 무선마우스를 입력장치로 쓰는 경우 -> 포트 여유가 없을 겁니다 ㅠ 광출력이 사라진 점도 매우 아쉽습니다;;;
가장자리는 모두 그로시 처리되어, 그대의 지문자국을 기다립니다.
리모콘은 이전 세대인 스마트2와 거의 동일합니다. 눈치 못채셨겠지만 위 리모콘 2대는 (같아보이지만) 서로 다른 모델입니다. 우측은 스마트3용, 좌측은 스마트3와 함께 출시된 NUGU2 셋톱박스용이지요. (구글 어시스턴스 버튼 유무 차이입니다)
(별 의미없는) NUGU inside 로고가 추가되었습니다. NUGU는 SK에서 자체 개발한 음성인식 엔진입니다. KT는 지니라는 자체개발 엔진을, LG 네이버와 제휴된 클로바 엔진을 사용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클로바가 가장 낫더라고요 ㅎㅎ
백라이트는 여전히 제공됩니다ㅎㅎ 백라이트는 SK만의 전매특허입니다. KT와 LG는 오랜 과거부터~ 지금까지 리모콘에 백라이트는 커녕 야광도료 한번 제대로 입혀준 적이 없습니다 ㅠ
이전 세대인 스마트2의 불만사항이던 나만의 버튼 단축키 미작동은 여전합니다. 홈버튼에서부터 왼쪽은 → 구글 어시스턴트 음성인식이고, 오른쪽이 바로 → 메뉴/기능을 즐겨찾기 해둘 수 있는 "나만의 버튼"인데 1년 내내 개발중인 건지, 까먹은 건지, 여전히 설정 불가능합니다. 무슨 얼어죽을 "나만의" 버튼이냐..
[사용자들의 인내심을 시험하는 걸까요?]
3. 자매품 : 누구2 (NUGU2)
스마트3 셋톱박스(월 4,400원)보다 무려 2,200원 비싼 아이도 새로 나왔습니다. 바로 NUGU2 셋톱박스인데.. 별 거 없어요. 그냥 셋톱박스에 + 스피커 달아놓은 것입니다 ㅎㅎ
당연히 덜 비싼 스마트3를 선택하는 게 옳겠지만 프로모션에 의해 특정조건(?)을 충족하신 경우에는 NUGU2 를 염두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요렇게 생겼습니다. 음 그렇군.
7W 스테레오 스피커 2개 +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의 조합인데 아스텔앤컨(Astell&Kern) 음장 튜닝입니다. 출력이 낮기에 메인 스피커로 쓰기에는 부적절합니다 ㅠㅠ 그...그런데 무려 aptX 규약을 지원합니다!
[귀가 호강합니다 ㅎㅎ]
aptX는 좀 더 진보된 블루투스 오디오 전송 기술이고요~ 일반 블루투스 오디오보다 끊김과 지연이 상대적으로 적고 압축률도 코딱지(?)만큼 좋습니다^^; 게다가 말귀를 (확실히) 더 잘 알아먹습니다. 음성인식용 MIC가 4개 내장되기도 했고, 소리 방향성을 탐지하는 빔포밍(Beamforming) 기술까지 도입되었거든요?
흑화된 공룡알처럼 생긴 전세대와 달리 깔끔하게 자알 생겼습니다.
[이게 바로 흑화된 공룡알... NUGU 1세대 입니다]
심각한 단점이 있는데, 유튜브 앱을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안드로이드 기반이지만 앱 설치 권한을 꽁꽁 막아놨어요. AOSP의 오픈소스 라이선스만 이용해 먹으려는 못된 심보가 눈에 보입니다;;
#내용 추가 (23.11. 20) :
드디어 AI2 셋톱박스가 안드로이드 App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 디즈니+ · 애플TV+ · 왓챠 · 웨이브 · 티빙 · 쿠팡플레이 등을 제약없이 이용할 수 있어요. 다만, 넷플릭스는 여전히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탄도 혀를 내두를 지경... ^^;]
정리하자면,
1) 말동무
2) 블루투스 스피커
3) 날씨 / 알람시계
이 3가지가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스마트3 대신 NUGU2 를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유튜브 등의 구글 앱이 필요하시다면, 프로모션으로 임대료 할인을 취득할 상황이 아니라면, 과감히 버려주세요^^
4. 괄목할 요소들
1) 여전히 반쪽짜리 구글 앱
넷플릭스! 왓챠! 티빙! 이제는 지원될까요? 아니오 (단호) 제 눈이 삐었나 싶어 메뉴들을 해집고 다녔습니다만 네이티브 앱으로도 없고, 앱스토어에도 없고, APK를 수동으로 설치해도 정상 작동이 불가능합니다.
[APK 실행파일을 억지로 꾸겨넣어 설치해봤자 "지원하지 않는 기기입니다" 멘트가 당신을 반길 겁니다]
그나마 넷플릭스의 경우 구버전인 v6.26.1을 억지로 우겨넣어 설치하면 실행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리모컨 제어가 불가능하기에 마우스 연결해서 쓰셔야 해요. 또한 Legacy 버전이기에 DRM이나 보안 이슈 등으로 언제 갑자기 막혀버릴지 아무도 모릅니다;;
[24.06.01 내용 변경]
무려 5년 만에... 스마트3에도 넷플릭스 앱이 도입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 글을 참고해주시겠어요?
티빙은 앱스토어에서 검색 + 설치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즉, 스마트TV 전용앱이 존재함에도) 정상 작동하지 않습니다.
[과연 '스마트' 셋톱박스가 맞나 싶네요]
구체적인 앱 지원범위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2) USB 미디어
기대치 않았는데 FAT32 뿐만이 아닌 NTFS, exFAT 포맷 모두 지원합니다. 이제 블루레이를 지원하는 용량 높은 영화도 시청할 수 있겠네요~!
3) 볼륨 조절 문제 : 해결
TV를 시청하다가 -> 유튜브 앱을 사용하면 볼륨이 줄어들었다가 -> 다시 TV를 시청하려고 돌아가면 볼륨이 팍! 올라가는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스마트3도 이 문제를 그대로 계승할 줄 알았는데 왠일로 뚝딱 해결되었습니다 ㅠㅠ
[새 셋톱이 출시된 의미가 있습니다ㅠ]
4) NUGU 음성인식
셋톱박스에 누구(NUGU) 음성인식을 탑재한 것은 대대로 이어져 온 전통입니다. 개인적으로 말귀 잘 알아듣는 건 네이버 CLOVA 엔진이라 생각합니다만 NUGU는 콘텐츠 검색에 더욱 특화되어 있는 게 사실입니다. 즉, IPTV 활용 용도로 쓰기에 결코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막상 그대가 사용할 문장은 아래 4가지 뿐일 겁니다^^;
"TV켜줘"
"TV꺼줘"
"유튜브 켜줘"
"지금 몇시니?"
5) 크롬캐스트 빌트인(bulit-in)
이번 스마트3에는 와이파이(802.11xx) 모듈이 탑재되진 않았습니다만, 스마트폰과 IPTV가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한다면 이더넷(유선)연결로 능히 크롬캐스트 이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요~
1) 딱 "캐스트 전송" 전용이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또한 넷플릭스는 캐스트 전송이 불안정합니다.
5. 결론의 시간
경쟁은 좋은 겁니다.
통신 사업자들의 경쟁은 좀 더 합리적인 요금을 만들어 낼 것이고 더 나은 콘텐츠들로 소비자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할 것입니다! 이게 자본주의 맛 아니겠습니까? ㅎ 하지만 SK의 셋톱박스는 경쟁보다 "폐쇄"를 선택했습니다. AOSP 기반임에도, WIdevineDRM Lv.1 인증을 받았음에도 넷플릭스나 왓챠플레이 등의 OTT가 설치되는게 꼴보기 싫었나봅니다 ㅠ
물론 장점도 많지요.
단 6개월만에 풀체인지 된 스마트3 셋톱박스는 외모, 크기, 스펙 면에서 경쟁사들을 가볍게 눌러버릴 수준이고 전세대인 스마트2보다 뒤떨어짐도 없습니다.
----------
제 점수는요~
100점 만점에 85점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용수정]
2020. 07. 02 : 왓챠플레이(WATCHA PLAY) 스토어 지원 시작.
2021. 12. 27 : 티빙(Tving) 스토어 지원 시작.
2023. 10. 01 : AndoidTV 9 → 10 으로 수정.
2023. 11. 20 : AI2 셋톱박스 → AndroidTV App 지원 시작.
2024. 06. 01 : 넷플릭스 네이티브 앱 지원 시작.
오우 맞습니다!
드디어 스마트3셋톱박스에서 넷플릭스 앱을 지원하여 이제는 SK 셋톱박스로도 넷플릭스까지 즐길 수 있습니다ㅎㅎ
아쉽게도 돌비애트모스는 미지원하지만, 5.1채널(돌비디지털)은 지원하고요 +_+
스마트3 뿐만 아니라 오늘날 출시되는 셋톱박스라면 모두 지원한다 보셔도 무방해요.
그런데 혹시 "스마트3로 변경"이라는 말씀은 SK의 다른 셋톱박스를 사용 중이고, 이번에 스마트3로 변경하고자 한다는 의미일까요~!?
만에 하나 타사를 이용하고 있고, 이번에 SK로 이동하며 스마트3 가입을 하시려는 거라면 저희 백메가를 통해 가입해 주심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