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두 곳의 통신상황을 재정비하시려는 듯 한데요..
말씀주신 내용만으로는 정보가 쪼끔 부족하여
각각 어떻게 이용하심이 좋을지 편익을 계산해보기 어렵습니다ㅠ
하여 제가 먼저 몇 가지만 여쭙고자 하는데 괜찮으시지요~?!
그래야 좋은 방안을 찾을 수 있답니다♡
1. 각각 사용 중인 인터넷 통신사는 어디인가요?
해지 후 -> 바로 같은 통신사로 신규가입을 할 수 없어서
어느 통신사의 상품을 사용 중이신지 확인이 필요해요.
2. 각각 납부 중인 인터넷+TV, 인터넷 월요금은 얼마인지요?
아주 저렴하게 이용 중이시면
타통신사 이동이 큰 메리트가 없을 수 있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쭙습니다ㅎㅎ
3. 두 곳에서 사용 중인 각각의 상품
즉, 인터넷 / TV요금제(채널) / 셋탑박스 모델명은 무엇인가요?
인터넷 요금제는 100메가/0.5기가(500메가)/1기가(1000메가) 중에서,
TV요금제는 KT라면 tv슬림/tv라이트/tv에센스 중에서,
셋탑박스(TV 옆에 있는 네모난 기기)는
KT라면 NA1100/IC1100 중 하나를 사용하고 계실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TV요금제와 셋탑박스는 통신사마다 다른 이름을 쓰고 있어요 +_+)
자세한 상황을 알려주시면 타사 이동 시 엇비슷한 요금제를
사용하실 거라는 가정 하에 요금 편익을 계산해드리겠습니다~!
만에 하나 TV 확인이 어려우시다면
적어도 인터넷 요금제는 어느 것을 사용하고 계신지 알려주세용
4. 혹시 회사에서 단말기(PC, 노트북) 몇 대를 사용 중이신가요?
인터넷 상품은 크게 "가정용"과 "기업용" 이렇게 2가지가 있는데
회사라고 해서 꼭 기업용을 가입하셔야하는 것은 아니고요,
사용할 단말기 대수에 따라 적합한 상품이 달라집니다 +_+
가정용 인터넷은 단말기(PC, 노트북 등) 2대까지만 허용해주어
3대 이상 사용 시 "인증수 제한"이라는 문제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ㅠ
음... 이를 요약해보면,
① 가정용 인터넷은 인증수 제한 문제가 있다.
② 3대 이상의 단말기가 연결되면 생기는 문제!
③ 즉, 3대 이상의 단말기를 쓰면 추가 1대당 5,500원의 추가비용이 발생
④ 하지만 보통 4~5대 정도는 5,500원(1대분) 요금만 내고 본사와 쇼부(?)를 쳐서 사용
요렇게 되어요ㅎㅎ
총 단말기 4~5대 정도까지는 어떻게든 사용하거나
아니면 5,500원의 추가비용을 내고 써버리면 되는데
다른 사용자분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요즘은 "4번"이 잘 통하지 않는 듯 하더라구요..ㅠ
하여 현재 사용 중인 대수와 앞으로의 청사진을 고려하여
적합한 상품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_+
5. 결합가능한 020님/직계가족분의 휴대폰이 있다면
각각의 통신사와 요금제 이름은 무엇인가요?
오늘날에는 동급 상품 가입 기준으로
3사 통신사의 월요금이 비슷비슷하여
인터넷+휴대폰 결합을 통해 요금할인받는 것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ㅎㅎ
혹시 휴대폰 결합에 대해 잘 모르고 계셨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어 관련 내용을 찬찬히 한 번 읽어주시겠어요?
어떤 이야기인지 아~!!하고 쏙쏙 이해되실 거예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