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예전에 오피스텔에 10기가 인터넷 설치하려 문의하고, 현실의 벽에 부딛혀 KT 1기가로 만족한 사람입니다^^
그때 아파트 지어지면 다시 부탁드릴께요! 라고 했는데 그때가 다가왔습니다 ㅋ
주소는 서울 서초구 **로 ** ****** 입니다.
문제는...
첫째. 지금 당장 KT고, SK고 속도를 어느정도 뽑을 수 있는지 알아볼수가 없네요. 주소가 아직 등록이 되지 않았나 봅니다.
아파트 입주가 7월 24일부터 시작이라 그때부터 알수 있는건지... 24일 입주하는 사람들은 인터넷도 못까나 싶습니다.
둘째. 아파트 사전점검시 아마 모든 사람들중에 저만 유일하게 단자함 뜯어본것 같습니다. 2021년 신축 아파트에 자이니까 인터넷은 짱짱하게 좋은선으로 알아서 깔아줬겠지!
라고 생각했던 제가 어리석었습니다...
시공사를 믿지 말고, 재건축 조합 회의할때 건의를 했어야 했습니다. 조합원 분들 평균연령이 너무 높으셔서 아예 인터넷 환경은 요구와 계획에서 완벽하게 빠져 있었습니다.
Cat5e더군요. 집 단자함에서 모든 방으로의 관로포설이...
그래도 뭐... 이야기 안한 내가 바보지, 돈주고 Cat6a이상으로 다시 포설하고... 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고 시공사측에 문의하니...
아파트 분배 단자함부터 모든 케이블이 전부 CAT5e라는 놀라운 이야기와 함께, 만약 그렇게 관로 포설 개인적으로 하고, 빠른 인터넷 쓰시면 대역폭때문에 그 동 인터넷이 느려질수 있어요... 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흠...
저는 집 안까지 광으로 들어오니까 크게 상관 없을줄 알았거든요.
아닌가 봅니다...
그 이후에 백메가 꿀팁 게시판의 10기가 관련 포스팅 보면서 땅을 치며 후회했었습니다... 설마 내가 그 아파트 시공사에 당한 주인공이 될 줄이야...
이제 문의사항인데요.
집이 같은 아파트 단지의 다른동으로 두군데입니다.
한집은 1기가 인터넷, 한집은 5기가나 10기가 고려중입니다.
10기가까지 대응 할수 있게 입주 전에 관로포설은 진행하려 합니다. 컴퓨터도 문제 없습니다.
어차피 10기가로 모든 디바이스에 다 뿌릴수 없는건 아는지라, 메인컴퓨터쪽만 10기가 사용하고 나머지는 느린건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5기가로 만족하는게 나은지 그것도 고민이네요... 무선 공유기들이 속도가 안나오더라고요. 10기가 대응 스위치허브는 너무너무 비싸고...
내부로 묶어서 빠른 속도로 NAS나 여러 컴퓨터 간의 공유를 하고 싶었건만...
현재 휴대폰은 가족이 SK3대, KT3대에(부모님, 저 한대씩)
오피스텔 계약은 아버지 이름으로 KT로 가입되어 할인받는 상태입니다.
SK는 가족합산 50년+
KT는 작년초쯤 인터넷 가입하기 직전쯤에 새로 3명다 개통했습니다.
이랬을때...
두집다 KT(아버지, 혹은 어머니 이름으로)로 가입해서 할인 혜택을 받을수 있을까요?
아니면, 1기가는 SK, 5기가 or 10기가는 KT로 계약하는게 유리할까요?
(서비스가 된다면... 의 이야기입니다. 1기가까지밖에 안들어오나 모르겠네요... 2021년에 지은 신축주제에...)
그리고 KT가 해외망에 강하기때문에 빠른쪽은 무조건 KT로 가입하고 싶습니다만...
SK도 쓸만한가요? 설마... SK가 쓰레기의 약자는 아니겠지요?-_-;;;;
각각 가입시의 혜택도 알고 싶네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아... 그리고 8월 중순쯤 설치예정입니다. 지금까지 U+를 쭉 써오고 있었는데 쓰ㄹ....
정떨어져서 이사 갈 날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