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3019 페이지
  • 민****님의 글

인터넷 + TV + (인터넷전화: 옵션) 가입 문의

회원님의 사진
  • 민****
댓글 7
  • 조회 2,187

[요청사항 

개인정보로 생각되거나 다른 곳에 오픈되면 민감한 금액적인 부분은 확인 후 가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금액 부분이 민감한 정보가 아니면 그대로 두셔도 무방합니다 ^^]

 

현재 U+ 에서  인터넷+TV+전화 를  27280원(VAT포함)에 이용중입니다. [2009년 가입]

인터넷,TV,전화 약정 기간 3년 경과. LG휴대폰 결합을 위한 WiFi 임대 약정이 남아있고, 위약금은 20451원

휴대폰 2년 약정 경과.

 

사용주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3동 신동아영남아파트 ***동 ***호

사용상품 : 광랜(19), IPTV-Live 방송(tvG - 일반형), 010일반형_표준, 

            휴대폰 LGT LTE62요금제( 한방에yo 결합 으로  8800 원 휴대폰 요금에서 할인 중)

  특이점 :  tvG - 일반채널인데, 채널확대 서비스(?)를  주고 있다라고 하였음 

             인터넷 전화는 오래전에 가입하여 기본료 2천원도 사용하지 않아도 내지 않고 있음

 

101에 전화하여 문의한 결과 (금일 오전)

=> 현재 상품(100M, tvg)으로 3년약정시  27170원   상품권 25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500M, UHD 2세대 셋탑으로 변경시   40590원   상품권 28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설치비 1만1천원]

    500M, UHD 1세대 셋탑으로 변경시   38390원   상품권 28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설치비 1만1천원]

    500M로 변경, tvg 유지시              36190원   상품권 28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설치비 1만1천원] 

를 제시 받았습니다.

 

추가적으로 와이프 휴대폰(약정 만료)도 신규 가입을 할수 있는 상황으로

가족무한사랑 결합을 위해 와이프를 LGT로 가입시키고, 65890 이상의 요금제에 가입을 시키고, 제꺼를

더 낮추어 데이터를 나누는 것도 고려중입니다.

 

===========

타사 개통시  생각중인 개통상품

인터넷 500M 이상, UHD 셋탑

 

SKT에 어머님의 휴대폰 1개(1만원대 요금, 가입경력 많지 않음)

 

질문0)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90년대 초반의 아파트입니다. 지하1층에 허브룸 장비들이 들어있는것을  LGT개통시

       살짝 본적이 있기는 한데,  대칭형 인터넷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질문1)  SK로 신규 개통시 월 사용요금과 수령가능한 상품권은 얼마인가?

질문2)  KT로 신규 개통시 월 사용요금과 수령가능한 상품권은 얼마인가?

 

넋두리) u+은  100M 인터넷에서  500M로 변경하는데  1만원 가까이 월 사용요금 인상이 되는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인터넷 단품일때에는 1만원 차이가 나지만, TV랑 결합할인 하면  5천원정도 차이던데,( 단체할인 3,400 원이 있는데,  100M일때 단체할인 부분이 500M로 가면서 사라진것인지) 우선은 이해가 되지 않네요. 

 

SKT로 가면  회선 3회선, KT로 간다면 회선 2회선이 됨

와이프와 저는  6G정도의 데이터에 저렴한 요금제를 선호. 어머님 요금제는 그대로

결합 할인 조건때문에 부부 중 한사람에게  높은 요금제가 필요하면 한쪽은 올리고 한쪽은 내리는것도 무방.

..

 

wz_1025856091_7e43bcb6d60b30a8ef41da51586c2d18.jpg
wz_1025856091_a7baad010fd24428ef74d165c590e08f.jpg
 

 

 

 

 

 

전체 댓글 7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민이님! 저는 백메가의 유동호라고 합니다^^
    장문의, 그리고 정성들인 문의글을 조우하고 살포시 미소지었습니다 ㅎㅎ

    게다가 백메가가 곤란해질 상황까지 우려해주시니
    죄송스럽기까지 합니다 ㅠ
    허나 백메가 게시판은 공개 질의가 원칙이니 우려치 않으셔도 됩니다^^
    (남겨주신 주소지만 블라인드 처리해놨어요 ㅎㅎ)

    저 또한 정갈한 답변으로 보답하는 것이 인지상정이겠지요~?
    최대한 어렵지 않게 + 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일단 LG유플러스에서 제시한 건 "재약정 조건"인데
    적당하고 + 적절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상식과 논리대로라면,
    100메가급 -> 500메가급 전환시 약 4천원에서 ~ 5,500원 정도의
    추가가 되어야 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해 당황스러우셨지요~?

    이는 통신상품이 가진 복잡한 논리 때문입니다^^;

    엄밀히 말해
    1) 현재 가입되어 있는 상품
    2) 재약정할 상품

    위 2가지는 "전혀 별개의 것"에 해당합니다.
    (통신용어로는 "코드가 별개다" 라고 하지요)

    1) 즉, 지금 유지중인 조건을 계승하거나
    2) 지금 유지중인 조건에서 + 영혼까지 끌어모은(?) 코딱지 만한 할인을 추가로 반영하거나
    3) 아예 "코드"가 다른 새로운 상품(기가급 인터넷)으로 변경하거나

    위 3가지중 하나를 택할 뿐이죠.

    그리고 500메가급 선택지가 3가지나 되는데,
    이는 셋탑박스 재고떨이(?) 정도라고 해석해도 무방할 수준이라
    쿨하게 무시하셔도 됩니다 ㅎㅎ

    만약 스펙과 만족도(가치)를 높게 여기신다면 UHD 2세대를 택하셔야 하고요~
    그렇지 않다면 UHD 1세대를 택하시면 됩니다.
    TVG (검은색 구글형 셋탑박스)는 UHD 세대에 비해 너무 스펙이 떨어집니다 ㅠㅜ



    2. 하지만 이 모든 것들,
    이를테면 LG유플러스에 재약정하거나 / KT를 가입하거나 / SK를 가입하는 것 등등은
    핸드폰 상황에 따라 선택의 유불리가 정해지게 되어요.

    그리고 이 때 변수가 있습니다.

    1) 몇대의 핸드폰을 결합할 지?
    2) 결합한 핸드폰들이 어떤 요금제인지? 에 따라
    결합상품 종류가 달라질 수도 있고,
    할인되는 금액에 변동이 생기기도 하거든요? ㅎㅎㅎ

    좀 복잡하지유~?

    하여 단순히 표면적인 요금과 사은품만으로는
    인터넷 통신사를 특정할 수 없는 단계입니다 ㅠ


    일단 하나씩 정리해보자면,

    - 민이님 핸드폰 : 핸드폰은 이미 약정만료되었으나
    유플러스 공유기 결합이 발목을 잡고 있음 (Lock-in 효과)
    하지만 위약금이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라 쿨하게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 와이프님 핸드폰 : SK 혹은 KT핸드폰을 사용중이신거죠~?
    '단순 기기변경'보다는 '번호이동'의 편익이 높을 것입니다.
    허..허나 번호이동 대상 통신사가 LG 그리고 또 하나가 어디인지 알 수 없습니다 ㅠ
    (즉, 와이프님 통신사가 어디인지요~?)

    - 어머님께서는 SK에 완전 귀속!
    1만원대 요금이니 = 3G 계열 표준 요금제를 사용중이실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데이터 6GB가 제공되는 핸드폰 요금제는
    월정액 56,890원이라고 보셔도 무방하고요~

    이 때,
    - KT는 54,890원 X 2회선만 결합해도 19,800원 (기가급은 22,110원)이 할인되고
    - SK는 3회선 핸드폰을 억지로(?) 꾸겨넣어야 => 22,110원에 준하는 할인이 제공되어요.
      (굳이 요금제를 상향 조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ㅎㅎ)

    뭐... 생각해보면 동급이라 볼 수 있겠지만
    (사은품도 22만원 수준으로 거진 동일합니다)

    3회선 핸드폰이 귀속된 것 보다는
    2회선 핸드폰 귀속 상황이 비교적 자유롭다(?)고 볼 수도 있지요 ㅎㅎㅎ



    3. 핵심 변수는 "품질"입니다.

    영남아파트는 93년도에 준공된 곳이긴 해도,
    각 통신사의 L2 스위칭 장비가 들어서있습니다.
    즉, 메이저 통신사 모두 대칭형 선로가 구비되어 있다는 말씀!


    하여 인터넷 본연의 품질은 대동소이할 것입니다.
    허나 IPTV 품질은 차이가 있습니다^^;


    메이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TV상품은
    "IPTV" 라고 부르는데..
    말그대로 '인터넷 기반의 TV'상품입니다^^ (internet protocol TV)

    그리고 IPTV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1) 셋탑박스라는 하드웨어 측면의 문제
    2) 통신사 자체의 정책 문제(소프트웨어 측면)
    3)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얼마나 최적화 하였는지에 대한 문제

    이렇게 3가지로 나눠집니다.
    그리고 IPTV의 셋탑박스도 컴퓨터와 진배없습니다!
    (CPU, 메모리, 저장소 들어가고 -> 이를 바탕으로 연산(?)을 수행하니까요;;)

    즉, 하드웨어 스펙의 높고 낮음에 따라
    반응속도 차이가 발생할테지요? ㅎㅎ


    최적화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좋은 하드웨어를 사용했다 해도
    제대로 된 설계가 되지 않았다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ㅠ

    참고로 현재 최적화가 가장 우수한 통신사는 KT입니다.
    경쟁사인 LG의 UHD 셋탑박스(3세대)가 쿼드코어이고,
    KT가 듀얼코어 CPU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KT쪽의 지연시간이 더 짧은 것을 보면 그 최적화 수준을 짐작할 수 있지요^^

    하지만,
    SK는 아예 논외라고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집니다;;


    다음은 소프트웨어(정책)적인 문제입니다.

    SK는 동일한 1080i~P급 화질이라 해도, KT와 LG에 비해
    실제 송출화면 자체의 품질이 좋지 못한데요~
    (끊김 문제를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그냥 품질 자체가 떨어진다는 겁니다)

    이는 SK가 LG/KT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압축방식(인/디코딩) 으로 동영상을 송출하기 때문인데요~
    이 모든 이유는 "원가절감"입니다.

    데이터(통신)을 취급하는 기간망 통신사들은 결국..
    사용자들이 데이터의 이용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이익이거든요?
    그런데 IPTV는 동영상을 수신받는 녀석이니
    제법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원본 동영상 소스에서부터 -> 무지막지한(?) 압축을 해야
    데이터 이용량이 적어지게 되고  ->
    무지막지한(?) 압축은 -> 필연적으로 품질 저하를 야기하게 되죠.

    즉, SK가 원가절감(데이터 이용량을 적게 하는 것)을 위해
    엄청나게 노력한 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영상의 무자비한 압축은 그렇다 치고..
    음성(소리)쪽은 더 심합니다^^;;


    요약하자면 "화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하드웨어가 처리능력, 통신사에서 동영상을 어떻게 송출하는지?
    또한 이를 얼마나 최적화해서 조밀조밀하게 만들었는지?
    이 3가지라 볼 수 있고요~ SK는 3가지 모두 낙제점입니다.

    자! 간단히 통신사 별로 장/단점을 정리하자면,

    - LG
    깨알같은 기능들과 다양한 확장성을 두루 갖춘 IPTV입니다.
    구글 안드로이도 O/S의 장점을 잘 취합한 녀석이고,
    따끈따끈하게 나온 신상입니다 ㅎㅎ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0539

    만약 LG재약정을 택하신다면,
    비용 부담이 다소 있더라도 이 신상(UHD 2세대)를 택하시는 게 좋아요.
    하지만 재약정을 할 이유가 딱히 없겠죠? 하하


    - SK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논외입니다;;

    하도 IPTV가 안팔려서 근 1~2년 사이에 몇번이나 TV상품 및 셋탑박스를 재편하였지만,
    전혀 나아진 바가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시대를 역행하는 만족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절대 절대 절대 권유드리고 싶지 않은 통신사죠.

    보통 핸드폰과 결합해서 요금할인을 도모하시는 경우가 아니라면,
    SK는 절대 권유드리고 있지 않을 정도입니다;;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8228


    - KT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TV입니다.
    단일 반응속도 면에서는 LG보다 우세하지만,
    LG의 다양한 확장성과 부가기능은 KT에서 따라오지 못하는 부분이죠.

    하지만 KT는 압도적인 콘텐츠 규모를 보유하고 있어요.
    KT는 돈이 진짜진짜 많은 통신사거든요?
    (한국통신 출신 인프라, 자본, 정경유착(?)으로 다져진 통신사이기 때문입니다^^;;;)

    즉, KT는 TV 본연의 "맛과 멋"에 치중했다고 볼 수 있어요.
    즉, 빠르고 다양하고 심플합니다.

    그게 KT이고, KT만의 강점이죠.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6953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LG는 안드로이드의 확장성을 갖추고 있고,
    깨알같이 소박한 기능들이 매력이에요.
    하지만 지원되는 채널수가 다른 통신사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KT의 경우에는 LG와 같은 확장성은 없습니다.
    단순 + 명료의 끝판왕입니다.
    대신, 압도적인 콘텐츠 볼륨을 자랑하고 빠릅니다^^

    즉, LG vs KT 모두 각각의 개성을 뽐내지만..
    SK는 핸드폰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선택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지요^^;



    4. 마지막 변수 : 100메가 vs 500메가

    오늘날 인터넷 상품의 종류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100메가급
    2) 500메가급 (0.5기가급)
    3) 1000메가급 (1기가급)

    저는 개인적으로 500메가(0.5기가)를 매우 선호하는 편입니다.

    100메가 -> 500메가 -> 1기가

    위 각 단계별 요금차이는 5,500원인데요~
    매달 스타벅스 커피(?) 1잔을 안 먹는다는 셈 쳐보면
    500메가급이 생각보다 합리적인 요금입니다^^ (ㅎㅎ)

    물론 일반 웹서핑 정도의 문제라면
    100메가급으로도 충분하겠으나..
    대용량 콘텐츠들이 즐비하는 오늘날에는 500메가급의 보편화가 시급한 게 사실이죠.


    물론 통신속도(응답속도) 자체는
    100메가급 vs 기가급 차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크기(대역폭)가 이론상 5배 차이가 나는 셈이기에..
    토렌트, P2P, 대용량 다운로드에서는 "매우 시원한 감정"을 느낄 수 있어요.
    이는 확실히 체감됩니다^^
    500메가급이라 해서 상시 500Mbps 속도를 발휘하지는 않습니다만,
    평균 300~400Mbps 정도는 찍어주더군요 ㅎㅎ

    하여, 5,500원 기회비용 vs 성능 편익 2가지를 대조해본다면
    500메가급의 명분이 충분하죠^^

    게다가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KT의 경우 100메가 vs 500메가 핸드폰 결합할인의 차이가 존재하기에
    실제 체감요금 차이는 3,300원이겠지요~?


    하지만, 1기가급은 약간 오버스펙의 향기가 납니다.
    사실 대용량 콘텐츠를 수급(업/다운로드)하는 것은 순간순간의 일이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일이 아니잖습니까~?

    또한 오늘날 기가급 인터넷 사용자의 8할이,
    500메가급이라는 것도 좋은 반증이죠!


    --------

    자, 여기까지!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긴 내용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1. 어차피 KT와 SK의 요금 편익 차이는 거의 없다 봐도 무방합니다.
      핸드폰 3회선(SK) vs 핸드폰 2회선(KT)의 결합할인 차이도
      미세한 수준이죠.

    2. 인터넷 원천 품질도 대동소이하지만, IPTV는 예외입니다.
      해서 KT를 선택하는 쪽을 강력하게 권유드리고 싶습니다.

    3. 500메가급 <-- 나쁘지 않습니다. 핸드폰 결합할인 편익이 증가하니
      100메가급과 3,300원 차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나름 쉽게 정리해보려고 했는데 많이 길어졌어요^^;
    민이님! 여쭙고 싶습니다.

    KT로 번호이동하는 것,
    그리고 KT인터넷을 이용하시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또한 500메가급에 대한 의중은 어떠하십니까?

    고견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좀 더 디테일한 단계로 넘어가보겠습니다!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 회원님의 사진 민****
    우선, 장문의 진솔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와이프 휴대폰 헬로우 모바일 입니다.( 알뜰폰은 KT, LGT 어디로든 번호이동인거죠? ^^)

    KT로 번호이동  무방
    KT 인터넷은 사용해보고 싶었습니다.(해외망도 대역폭이 넓게 안정적이라 들음[해외망이용하는 게임 안함])
      ( 해외주소 웹서핑은 가끔 함)
    500메가를 염두해두고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

    단, 현재 사용료보다 어느정도 올라가는지를  감안하여 결정하려 했습니다.
     (현재 u+에서  집에서 5세전후 애들에게  뽀로로 등을 보여주는것 괜찮았고)
     ( TV를  잘 보지 않는 환경입니다.)
     (인터넷 전화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비상시(휴대폰 배터리 아웃,애들의 폰 숨기기)를 대비하여
      가지고 있는것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가격적인 측면이 많이 가중된다면  빼버려도 무방)

    저는  현재 6기가 상품을 사용하는데, 절반정도 밖에 안쓰고 있는데  와이프는  2.4기가(?) 정도의 데이터를
    부족해하고 있습니다.  통신사별로  상황이 나오면  결합할인 금액과  휴대폰 요금제, 상품권 금액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려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추가 질문 드려봅니다.

    KT  UHD 에서
      youtube 고해상도를  지원하나요? 
      브라우저에서 직접 주소를 치고 들어가는 방법말고  앱이나 채널에서 지원하나요?
      youtube 캐싱 서버가 KT내부에는 있나요?

     여기 백메가에서  u+ 2세대  UHD셋탑 후기를 읽은 내용과  여기저기서 읽은 내용이  머리에 섞여서
     정리가 안되어 편히 질문 드립니다.
    ..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십시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민이민이님 빠른 회신에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1. 와이프님께서 MVNO를 이용중이셨군요! (생각치도 못했습니다 ㅎㅎ)

    본래 인터넷과 + 핸드폰을 결합하는 것은
    1) 몇대의 핸드폰을 결합하고
    2) 각각의 핸드폰 요금제가 어떻게 되며
    3) 핸드폰들의 가입년수가 어찌 되는지에 따라 할인되는 금액의 많고 적음이 갈리게 됩니다^^

    하지만..
    KT는 튀는 걸(^^;;) 좋아하는 통신사입니다 ㅎㅎ

    "핸드폰 결합대수"는 전혀 상관없고
    "결합하는 핸드폰들의 총 월정액 합산이 얼마인가?" 로
    할인금액을 산정하게 되죠!

    예를 들어,
    1) 데이터 선택 32.8 (월정액 32,890원) 핸드폰 3회선을 결합하는 케이스
    2) 데이터 선택 109 (월정액 109,890원) 핸드폰 1회선만 결합하는 케이스

    위 2가지 중에서 2번의 케이스가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는 겁니다^^;;
    (핸드폰 1회선 결합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자! 민이님과 배우자님의 데이터 이용량에 맞춰 ->
    요금제를 특정하고 ->
    이에 따라 할인되는 금액을 셈하면 될텐데요~

    이 때 중요한 것은, "월정액의 합산이 최소 108,900원 이상"이 되면 쿨합니다!
    108,900원 이상 / 미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할인금액 차이가
    무려 1만원 이상이거든요 ㄷㄷ
    (네, 그렇습니다;; 이 모든 논리는 KT의 고가요금제 종용(?) 정책이라 볼 수 있지요 ㅎㅎ)

    자! 이렇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와이프님께서는 6GB의 데이터로는 부족합니다 ㅠㅜ
    6GB 요금제는 월정액 54,890원 짜리인데요~
    바로 다음 단계(레벨)은 월정액 65,890원 짜리이며,
    이게 그 유명한 "데이터 무제한 계열"입니다 ㅎㅎ

    이는 매월 10GB의 데이터가 제공되고요 ->
    이 데이터를 모두 소진해도 매일 2GB의 데이터 여유분이 제공되며 ->
    하루 사이 2GB까지 소진한다 쳐도 ->
    "속도제어"(QoS)가  걸린 데이터 통신이 무제한으로 제공됩니다!

    이 속도제한은 무...무려 3Mbps (100메가급 인터넷의 3%속도)인데..
    "무료려니~~" 하는 마음으로 접근하시면 나름 합리적이지요^^;;


    - 민이님의 경우에는 6GB가 약간(?) 과한 데이터이죠?
    이보다 한 단계 아래는 월정액 49,390원 짜리인데
    데이터가 3GB 제공됩니다. 살짝 아슬아슬하지요?^^;;

    만약 위 구성 (65,890원 + 49,390원)으로 하신다 해도,
    월정액 108,900원의 허들을 넘을 수 있기에 할인액은 22,110원이 유지됩니다.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십니까~?


    2. 북미까지 이어지는 대평양 광케이블 해저대역의 소유권,
    그리고 원천기술은 대부분 KT가 독점하고 있습니다.
    하여 SK나 LG유플러스 망에서는 북미쪽 인터넷 접근에 많은 제약이 있어요 ㅠ

    한발 더 나아가자면,
    국가 대 국가간의 인터넷 트래픽 접속에는
    각 국가의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사)가 상호 비용을 지불하는게 원칙입니다.

    만약 국내 SK망 사용자가 미국 버라이즌 망의 특정 웹서비스에 접근했다면?
    ->SK ISP는 버라이즌에 비용을 망사용료를 지불해야 하고요~
    역으로 미국 AT&T망 사용자가 국내 SK망의 특정 서버에 접근한다면,
    -> 당연히 AT&T에서는 SK에게 망 사용료를 지불하겠지요? ㅎㅎㅎ

    그런데 말입니다?

    SK와 LG는 해외서버 접속시  ->
    망 사용료의 비용지불을 아끼기 위해  ->
    "인터넷 원천 대역폭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즉, 100Mbps급 인터넷을 이용한다 해도,
    해외 접속시에는이 100메가급 대역폭을 오롯이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이에요.
    (100메가는 커녕.. 킬로바이트급 대역폭을 목격하실 수도 있습니다 ㅎㅎ;;)

    좀 찌질(?)하죠..?
    이게 우리나라 통신 대기업의 현실입니다 ㅠ

    그....그런데 말입니다?
    해외망 대역폭 제한은 사실 KT도 마찬가지고요~
    딱!!! 100Mbps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하여 기가급 인터넷을 이용한다 해도,
    해외 접속시에는 100메가급 인터넷을 만끽하는 격이죠^^;
    하지만 웹서핑 정도의 트래픽은 전혀 문제없으니 걱정하지 말아주셔요 ㅎㅎ


    3. 집전화(인터넷전화)는 극구 반대하고 싶습니다.
    인터넷전화 단말기 할부금과 월요금을 포함하면,
    매월 3,850원이 추가되는 격인데요~
    비상용(?) 통신망의 댓가 치고는 너무 비싸지 않겠습니까? ㅠㅜ

    그...그리고 자녀분들의 폰 숨기기 미션은 저도 매일 경험하는데,
    나름(?) 즐거운 미션이라 믿습니다 ㅎㅎㅎㅎㅎ;;;

    결론적으로, 인터넷 전화 너무 비싸요 ㅠ


    4. KT가 유튜브의 캐시서버(Google Global Cache)를 도입 안하고 뻐팅기고 있었는데..
    결국 재작년 즈음에 반영하였어요 ㅎㅎ
    해서 유튜브 쾌적함은 이루 말할 데 없습니다^^

    다만, 셋탑박스가 안드로이드 기반 운영체제가 아니고
    KT에서 유튜브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마련한 것도 아니라..
    브라우저에서 => 직접 주소를 치고 들어가는게 해법입니다 ㅠ

    해상도는 브라우저의 인증(시큐리티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데,
    KT 탑재된 순정 브라우저가 1080P까지 지원됨은 확인했습니다!
    (2160P는 아직 확인 못했는데, 오늘 집에가서 확인해볼께요^^;)

    저 같은 경우에는,
    구글에서 만든 크롬캐스트(스마트폰과 TV화면을 무선으로 동기화 하는 하드웨어) 제품을
    구매하여 -> 스마트폰으로 아이들의 혼을 쏙~~ 빼놓고 있습니다^^

    즉, 유튜브나 동영상을, 셋탑박스로 제어하지 않고
    스마트폰 + 크롬캐스트로 제어하고 있어요.

    저의 휴식(?)을 책임지는 고마운 도구들이죠^^;;


    ----

    그런고로, 저는여전히 KT의 압승이라 평가합니다.

    자녀분들의 정신을 쏙~ 빼놓는 도구가,
    LG유플러스 처럼 안드로이드 기반 셋탑박스였다면 더 할 나위 없었겠지만..
    대안이 충분하고, KT 셋탑박스만의 장점이 명백하지요^^


    요금은 단순명료합니다.

    1) 500메가 인터넷 : 27,500원
    2) OTV10(UHD) : 15,400원
    참 쉽죠? ㅎㅎ

    총 42,900원의 요금이 되고,
    핸드폰 2회선 결합(월정액 108,900원 이상)이 취해지면
    1) 인터넷 요금에서 5,500원이,
    2) 이와 별개로 핸드폰 요금에서도 총 16,610원이 쪼개어(?) 할인됩니다^^

    즉, 실제 체감하는 요금은 42,900 - 5,500 - 16,610(핸드폰) = 20,790원이 됩니다!

    사은품은 24만원(18만원 현금과 6만원의 상품권)이 지급되고요~
    하나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재작년부터 설치비 제도가 부활해서 ->
    가입하신 맨 첫달에 ->
    37,400원이 설치비 명목으로 합산 청구된다는 점입니다^^;;

    마치.. 설치기사님 월급을 고객님 지갑에서 각출하겠다는 의지같아요 ㅎㅎ
    참고로 상품권은 100% 현금화가 가능하니, 현금과 진배없습니다^^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29637


    민이님의 의중은 어떠하십니까~?
  • 회원님의 사진 민****
    비밀글 처리 없나요? ^^  하단은 고민을 위한 저의 정리입니다.
     
    U+ 본사  100M, tvg  3년 재약정    27170원  상품권 25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U+ 본사  500M, UHD(2세대) 3년    40590원  상품권 28만원 (추가 영화쿠폰 1만원) [설치비 1만1천원]
    백메가 KT  500M, UHD 3년 약정      42900원  사은품 24만(현금18, 상품권 6) [설치비 37400 원]
    타업체 KT  500M, UHD 3년              42900원  사은품 35만( 진짜??)   

    패밀리 결합있던데, 가족중 KT인터넷 쓰는사람 있나? 패밀리 상품이면 사은품 변경 되나?
    폰도 알아보자.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민이민이님 반갑습니다!^^

    백메가는 2008년부터 운영을 시작했는데,
    08년부터 현재까지 100% 공개상담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지라,
    비밀글 기능을 따로 만들지 않았어요^^;;
    이해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부디 관용의 마음으로 헤아려주십시오~~ ㅎㅎ)


    자! 일단 요금편익으로 보았을 때에는 KT로 가는게 능사겠지만,
    안드 운영체제의 편의성이 아쉽지요 ㅠ

    저도 자녀 있는 입장에서, 유플러스의 편의성 (자녀들 홀리기) 기능들이 끌리거든요 ㅎㅎㅎ
    지금은 대안 장치(크롬캐스트)를 이용하여
    KT 셋탑박스의 부족분을 상쇄하고 있을 따름이죠!


    한편 KT만 보았을 때는 사은품이 문제지요.
    배춧잎 한 장이라도 더 쥐어드리고 싶은 마음이야 인지상정이겠으나
    "다른 무언가"를 쥐어짜내야 사은품을 많이 드릴 수 있는 구조인데
    그걸로 생색내고 싶진 않습니다 ㅠ

    당연히 사은품이 신뢰의 큰 척도이고, 돈만큼 중요한 것이 드물다는 걸
    뼈저리게 잘 알고 있습니다.

    허나 안타까운 딜레마가 존재하더군요.

    세금작업 등 갖은 수를 동원하거나
    (업계에서는 부가가치세 작업이라고 불리웁니다)
    근무하는 직원분들을 열정페이로 착취하지 않는 이상
    사은품으로 드릴 수 있는 금액이 한계가 있습니다.

    돈이 신뢰의 척도고, 돈이 많아야 웃음꽃(?)이 피는 아름다운 그림이 그려질텐데요
    결국.. 다른 누군가에게 착취를 가하지 않으면 그게 불가능하더군요.

    때마침 단통법이라는 이상한 괴물이 등장해서,
    사은품에 "가이드라인"이라는 것을 부여하고
    언제 터질지 모르는 벌금 시한폭탄을 던지고 가기도 했지요^^:;

    제가 올해 입사한 지 5년차가 되었지만,
    백메가 이외에 제대로 된 급여를 받은 곳이 없습니다.
    이게 심지어는 본사고객센터도 마찬가지에요.
    (저희 근무자의 약 30%가 본사 메인 고객센터 출신이고 설치기사님 출신도 있습니다 / 그 설치기사가 접니다 ㅎ )

    백메가 사장인 신정권씨는 직원들을 낮은 급여로 기만하거나
    탈세를 하면서까지 겉보기 좋은 모습을 취하기 보다는
    롱런(?)하기 위한 길을 택한 것 뿐이겠죠.


    혹시나 하는 사족이지만 오해하지 말아주십시오^^;
    가입하지 않으셔도 실망하거나 소원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은품을 더 낭낭하게 맞춰드리지 못해 죄송할 뿐입니다 ㅠ

    가입과 상관없는 부분이라도 언제든지 성실히 답변드리고,
    민이님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정갈하게 안내해드릴 것이니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여쭤봐주세요^^
    (사실 백메가의 문의 중 많은 수가.. 가입과 별 상관(?)이 없는 문의거든요 ㄷㄷ )

    참고로 어느 업체의 35만원이라는 금액, 진짜로 지급되는 금액일 겁니다^^

    아웃바운드 불법 TM업체들이 아니라면
    사은품 지급액으로 기만을 하는 경우가 드물 뿐더러,
    KT는 더더군다나 이에 예민한 통신사거든요?

    하지만 백메가가 현재 취하는 구조에서는 35만원의 지급이 불가능합니다^^;
    제 선에서 설치비에 보태쓰시라고 4만원 드릴 수는 있겠으나
    딱 그 선이 한계에요 정말 죄송합니다 ㅠ

    하지만 열정페이가 되었든
    세금 탈루가 되었든
    다른 무언가를 착취할 수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ㅠ


    p.s: 패밀리 제도의 매커니즘이 상당~~히 복잡한데요~
    혹시 가족분 중에서 KT인터넷을 이미 사용중이신 게 있다면,
    1) 가입년수가 어찌 되시는지
    2) 혹시나 핸드폰 결합상품에 엮여 있진 않은지 확인해주시겠어요? ㅎㅎㅎ
  • 회원님의 사진 민****
    어머나, 몇일 지나면 제가 기억을 못해서  메모성격으로 적어둔것인데.  이렇게 또 장문의 답장을 남겨 주시면,
    혹시나 여기서 가입하지 않으면 너무 미안하잖아요.  ㅜㅜ
    KT는 결합 할인이 요금제 말고는 없나 하고 홈페이지 들어가봤던건데요.
    한번 패밀리도 가입이 되면,  LG의  한방에yo처럼  같이 모여있을때는  혜택을 받고,
    원 회선이 해지되면  받던 혜택만 사라지는 (다른 불이익 없이)  그런거면  더 알아보겠는데요,
    뭔가가  있을거 같아요..  ^^

    사은품 차이가 더 심하게 주는곳도 있어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니,  개인정보 팔아먹기, 바지사장 내세우기
    관련글만 살짝 읽었구요. 그래도  개인정보 팔기와  폐업 신공만으로는  이해가 안 되더라구요.

    건전한 사회 문화정착을 위한 백메가에 박수를 보냅니다.

    남은 선택지는 LG 유지냐, KT로 이동이냐 입니다.
    [KT로 이동이면  설치비 추가 지원 조건에 백메가 에서 신청하려합니다.]
    [차이가 두자리로 넘어가면 저도 인간인지라. ㅜㅜ]

    현재는  LGT휴대폰 번호이동(1회선), 기변(1회선) 과  KT번호이동(2회선) 등에서  좋은 조건을 찾고 있습니다.

    1달 정도는 차분히 생각을 해야 할거 같기도 하구요..
    (그러다가 인터넷 사은품 조건이 더 내려갈수도 있지만, 휴대폰 기계가 2대 라,  조금 더 보려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민이민이님, 제가 민망해집니다^^;
    그저 편한 마음으로 만나주시면 좋겠어요 (진심입니다 ㅎㅎ)

    kt의 패밀리 제도가 상당히 묘한 제도인데요~
    변수가 다소 많아요.

    1) 모(母)회선과 자(子)회선을 어떻게 편성할 지?
        (오래된(?) 회선이라 해서 무조건 모회선이 되는 게 아니거든요?!)

    2) 결합상품과 패밀리 제도를 중복적용할 수 있는지?
      (구형 결합상품은 중복이 안되고, 신형 결합상품은 중복이 됩니다 ㅎㅎ)

    위 2가지 요소에 따라,
    불이익이 생기기도 하고 / 불이익 없이 프리패스(?) 할 수도 있습니다.

    해서 KT인터넷이 존재한다면,
    1) 가입년수(+남은 약정기간)과
    2) 인터넷 + 핸드폰 결합상품에 종속되었는지 여부를 여쭈었던 겁니다^^

    이를 알려주시면 제가 소상하게 정리해드릴 것이니
    우려치 말아주셔요. 직접 알아보시다 보면... 머리에 쥐납니다^^;;
    (통신상품 너무 복잡해요 ㅠ)

    또한 인터넷이라는 게..
    한번 단추를 꿰면 내리 3년 이상 사용해야 하는 상품이에요.
    부디 천천히 + 진득하게 고민해주시고, 궁금하신 점들은 기탄없이 여쭤봐주십시오~!


    민이님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사실 백메가 사장님께서는
    보조금에 대한 이야기들, 핑계조로 들리기 쉽상이니,
    거창하게 이것저것 이야기하지 말라시곤 합니다^^;

    꾸준히 잡초처럼 성실하게,
    서비스업의 본질과 가치를 키워가겠습니다!
  • 문의게시판
  • 3019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