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일반 웹서핑 정도의 문제라면
-대칭형 기반의 인터넷이라는 전제하에- 100메가급으로도 충분하겠으나..
대용량 콘텐츠들이 즐비하는 오늘날에는
500메가급의 보편화가 시급한 게 사실이죠.
물론 통신속도(응답속도) 자체는 100메가급 vs 기가급 차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크기(대역폭)가 이론상 5배 차이가 나는 셈이기에..
토렌트, P2P, 대용량 다운로드에서는 "매우 시원한 감정"을 느낄 수 있어요.
이는 확실히 체감됩니다^^
500메가급이라 해서 상시 500Mbps 속도를 발휘하지는 않습니다만,
평균 300~400Mbps 정도는 찍어주더군요 ㅎㅎ
게다가.. 엄밀히 따지자면 요금 기회비용은 5,500원이 아니라 3,300원이랍니다.
이유인 즉, 기가급 인터넷(500메가~ 1기가)를 선택하시는 경우에는
핸드폰 결합할인에 2,200원의 가산점(?)을 부여해주거든요~?
하여 3,300원 기회비용 vs 성능 편익 2가지를 대조해본다면
500메가급의 명분이 충분하죠^^
하지만, 1기가급은 약간 오버스펙의 향기(?)가 납니다.
사실 대용량 콘텐츠를 수급(업/다운로드)하는 것은 순간순간의 일이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일이 아니잖습니까~?
게다가 500메가급 vs 1기가급의 사은품 차이가 존재하는 것도 아닙니다.
또한 오늘날 기가급 인터넷 사용자의 8할이 -> 500메가급이라는 것도 좋은 반증이죠!
# 3줄 요약 :
500메가급은 충분히 가성비 괜찮습니다 ㅎㅎ
하지만 단순 웹서핑 수준의 인터넷 사용이거나,
와이파이 셔틀(?) 용도라면 무조건 100메가급 하셔야 합니다.
2. 본래 인터넷과 + 핸드폰을 결합하는 것은
1) 몇대의 핸드폰을 결합하고
2) 각각의 핸드폰 요금제가 어떻게 되며
3) 핸드폰들의 가입년수가 어찌 되는지에 따라 할인되는 금액의 많고 적음이 갈리게 됩니다^^
하지만..
KT는 튀는 걸(^^;;) 좋아하는 통신사입니다 ㅎㅎ
"핸드폰 결합대수"는 전혀 상관없고
"결합하는 핸드폰들의 총 월정액 합산이 얼마인가?" 로
할인금액을 산정하게 되죠!
예를 들어,
1) 데이터 선택 32.8 (월정액 32,890원) 핸드폰 3회선을 결합하는 케이스
2) 데이터 선택 109 (월정액 109,890원) 핸드폰 1회선만 결합하는 케이스
위 2가지 중에서 2번의 케이스가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는 겁니다^^;;
(핸드폰 1회선 결합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