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터넷에 모르는것이 있을때의 최후의 보루는 백메가 에 문의하는것 이라고 익히 들어와서 죄송한 말씀이지만 문의를 남기고 싶습니다.
집의 와이파이...를 포함하여 셀룰러(lte , 5g) 환경이 지나치게 불안정하고 느려서 문의를 드리고 싶습니다.
인터넷을 3달뒤 약정이 끝나면 기가급 인터넷으로 바꿀 생각이지만....일단 이 밑의 부분을 해결하지 않으면 인터넷을 바꾸는게 의미가 없을것 같아서요.
집에 이사를 들어왔을때 방별로 랜 포트가 다 가용 가능하다고 하여 이사를 들어왔는데 막상 이사를 들어와보니, 거실에 있는 포트 하나만 동작을 하고
나머지는 다 작동을 하지 않아서, 임의의 기술자분께 부탁하여 배전반을 통하여 방별로 포트를 열어두었습니다.
배전반에 포트 작업을 할때, 제가 이전 집에서 사용하고 있던 공유기를 사용하여 허브 라는 것으로 선을 나누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사진 1-배전함)
https://drive.google.com/file/d/1-7JXWU9MIo2vQbh-xJxQMKBXgu3I7HAQ/view?usp=sharing
저것으로 작업을 해도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하여 가지고 있던 공유기로 급하게 후다닥 작업을 했는데요
다행히 실제로 유선인터넷의 속도에 그렇게 큰 불만이 있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많이 쓰지도 않구요.
그런데 문제가 되는것은, 와이파이 자체가 엄청나게 느립니다. 배전함의 문을 닫을 수 없다는 미관상의 문제도 있고요.
(사진2-집 간이 도면 첨부)
https://drive.google.com/file/d/1-7JXWU9MIo2vQbh-xJxQMKBXgu3I7HAQ/view?usp=sharing
거실에서 다운 55mbps 업 83.2mbps... 업이 왜이렇게 높게 찍혔는지는 모르겠지만
방에서는 다운 9.83mbps 업 은 70 정도 뜨네요....
저곳에 원래는 공유기가 아니라 허브 라는것으로 작업을 하여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허브 라는것을 제가 셀프로 설치하고자 하는데,
제가 일평생 문과적 감성으로만 살아온지라 이공학적인 지식이 전혀 없습니다...
허브는 어떤것을 구입해야 하는지요? 더불어 선은 지금 꼽혀있는대로 꼽으면 되나요? 뭔가 이후에 추가적인 세팅 등등이 필요하지는 않나요?
+ 허브로 유선통신망을 해결하고 나면, 와이파이 공유기 는 그냥 거실에 설치해 두면 되나요?
아니면 꼭 어딘가...예를들어 1번 포트(라는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도 모르지만...) 에 설치를 하여야 한다던지 그런것이 있나요?
더위와 폭우,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임직원님들 모두와 가정의 평화와 건강, 업체의 번영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