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곽은정님의 글

꼭 읽어보기 와이파이 공유기 구매 vs 임대 (ver2.0)

회원님의 사진
  • 곽은정
  • 댓글: 187
  • 조회: 170,643

오늘날 가정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지 않는 곳이 거의 없지요? 와이파이는 마르지 않는 데이터 샘물이기 때문입니다 ㅎㅎ 우리가 공유기를 취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인터넷을 신청하면서 공유기도 함께 임대하거나 아니면 내가 직접 구매하는 것이지요.

 

 

wz_1893618444_8120b32e40f0a7c5bc6637540800b91d.jpg
[선택지가 간단하죠? 서로간의 장단점도 명확합니다]
 

 

사실 몇년전까지만 해도 통신사의 공유기 임대는 별로 추천드리지 않았습니다. 약정에 발이 묶이게 되니 교체가 쉽지 않을 뿐더러, 사설(구매) 공유기보다 비싸고 + 성능 떨어지며 + 이쁘지도 않았거든요? 특히나 고객지원 체계가 잘 갖추어진 국산 공유기들이 대중화 되면서 통신사 A/S를 의존할 필요도 크게 없었습니다.


  

 wz_1893618444_9c550ed05da7b1733ebb4fb655bee25b.jpg[공유기 세계의 명품. ASUS의 신형 공유기... RT-AC5300 입니다]

 

 

 

 wz_1893618444_b05ed898564bae6545657f0c54fcebd3.jpg 

 마치... 사...우론..?

 

[물론 사설 공유기라 해서 이쁘지는 않습니다. 공유기 제조사들의 미적감각은 정말...]

  

  

최근 풍토는 조금 변했습니다. 각각의 상황에 따라 임대 vs 구입의 유불리가 명확하지요 ^^

 

 

 

 

1장 : 임대냐 vs 구입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일단 통신사 공유기는 유상으로 임대됩니다. 게다가 약정만료 이전에 해지하게 되면 커다랗고 단단한(?) 위약금으로 보답해드립니다 ^^;; 하지만 통신사의 임대 공유기가 절대악은 아닙니다. 가입하는 상품, 프로모션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받을 수도 있고요~ 아예 무료화가 되기도 합니다.

  

이쯤되면 눈치채셨지요?

결국 공유기 스펙(성능)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내가 직접 구매하는 비용보다 통신사 임대 공유기가 저렴하다면 당연히 임대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물론 약정으로 3년간 발목 잡히는 거 빼고요

 

 

 

wz_1893618444_e8e419dca74178509c27659213c98ea2.gif

[질척거리는 3년 약정.gif] 

 

 

KT의 임대공유기를 예시로 비교해봅시다. 

 

 구분

임대방식

구매방식

 모델

 KT 다보링크 DV02-012H

ipTIME AX3000SM

 비용

 0원 ~ 118,800원
 (36개월 임대기준)

 5~6만원

 CPU

1.2GHz Quad core(퀄컴)

 1.3GHz Dual Core(미디어텍)

 RAM

512MB

 256MB

 802.11xx

 802.11a/b/g/n/ac/ax

 802.11a/b/g/n/ac/ax

 MU-MIMO

 ㅇ

 ㅇ

 빔포밍

 ㅇ

 ㅇ

 밴드 스티어링

 ㅇ

 

 

 

기본적으로, 통신사에서 공급하는 기가 공유기는 월 3,300원의 임대료를 각출하고요~ 이를 3년으로 환산하면 무려 11만원 이상이 됩니다. 동급 스펙의 사설공유기 구매가격이 3년 임대료의 절반 수준이니... 차이가 제법 크지요~?

 

그러나 1)가입하는 요금제, 2)상품구성, 3)프로모션에 따라 월 3,300원의 임대료가 => 1,100원 혹은 아예 무료화가 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임대가 더욱 유리하겠지요?

 

 

정리하면 간단합니다.


임대 공유기가 유리한 분 :  

1) A/S가 귀찮고.. 누군가 알아서 해줬으면 한다

2) 프로모션 등에 의해 임대료 할인을 낭낭하게 적용받을 수 있다

 

직접 구매하는 게 유리한 분 :

1) 약정으로 3년간 발목 잡히는 게 싫다

2) 고성능의 공유기가 필요하다

 

 

 

 

2장: 도대체 얼마짜리를 사야하는가?

 

아, 직접 구매하시려고요? 안타깝게도 싸고 + 좋은 건 = 없습니다ㅠ 저렴한 건 몇 만원에 불과하지만, 초호화(?) 기종은 50~60만원에 육박합니다.

 

 

 

wz_1893618444_135007e7085979a7d5b41ce54c0e54d7.jpg

[공유기 가격이 비쌀수록.. 모양새도 범우주적이 됩니다]


 

펌웨어, 브랜드 가치, 성능, 디자인 등에 따라 공유기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은 반면.. 우리는 점심메뉴도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우유부단 전문가 아니겠습니까?

 

걱정마십시오.

"난 정말 귀찮아서 죽겠다" 싶은 분들이라면 아래 3가지 중 택1해주시면 됩니다 ㅎㅎ

  

 

  

1) 나는 "보통사람"이라 믿는 분 : 보급형



EFM ipTIME AX2004 유무선공유기.jpg


*모델명 : EFM ipTIME AX3000SM

* 가격대 : 5~6만원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52066475

 

 

62년생 곽희철님도 이름은 들어보셨다는 바로 그 ipTIME 입니다. (아, 저희 아버지십니다 ^^ ㅎ)

ipTIME은 대한민국 공유기 대중화에 기여했다 해도 무방할 만큼 매우 유명한 브랜드죠. 물론 "유명세"와 "성능"은 딱히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ㅎㅎ

 

편리한 A/S, 대중적 가격, 무난무난한 디자인 = 바로 ipTIME의 시그니처입니다. 어서 지르십시오. 적어도 내리 3~4년은 멀쩡하게 작동할 겁니다.

 

 

 

2) 금전의 여유가, 당신과 함께한다면 : 고급형

 


공유기.jpg


모델명 : EFM ipTIME AX6000M

* 가격대 : 11~12만원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27761495

 

 

당신은 그랜저를 몰고

84㎡ 아파트에 살며 

가족구성원이 3명인가요? 그렇다면 환영합니다, 중산층이시여!

 

당신께 걸맞는 공유기를 사용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공유기는 댁내 24시간 365일 가동되는 아이이고, 우리의 일용할 데이터 통신을 책임지는 수문장입니다. 족히 3년 이상은 사용할 전자제품에 단돈 10여만원 쓰는 것이 결코 과소비라 볼 수 없는 이유입니다. 최신 기술인 와이파이6를 지원하는 것은 덤입니다.


아... 물론 위 시꺼먼 보급형에 비해 2배 비싸지만성능이 2배 차이 나지는 않습니다. 50만원 짜리 와인이.. 5만원 짜리 와인보다 10배 맛있는 건 아니잖아요~? ^^

  

 

wz_1893618444_86c3cbc8cde622a8c725d89a88bdcb96.jpg

[아시면서 ^^]

 

  

 

3) 특별한 삶을 꿈꾸십니까? : 외산 공유기

 

wz_1893618444_1058abae0dc372f4432cbea7fa123512.jpg
 

* 모델명 : ASUS RT-AX86U

* 가격대 : 30만원대

*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12552617


 

- IT를 좋아하십니까?

 

- 독특한 문화를 추구하는 힙스터이신가요? 

 

- 다양한 기능(근데 막상 별로 쓸 일이 없는)이 필요하십니까?

 

- 브로드컴 CPU가 들어가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습니까?

 

- 틀에 박힌 ipTIME은 꼴보기 싫으신가요?


- 과한 소비를 삶의 보람으로 여기는 자본가이신가요?
 

그렇다면 당신에게 걸맞는 공유기가 하나 있습니다. ASUS사에서 만든 RT-AX86U를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단돈 30만원 중반(?)으로 호사를 누릴 수 있지요.

 

 

wz_1893618444_586e508f161f26ce94633729ac56c602.png
["TRY" 해보십시오! ^^] 



사실 ASUS에서 가장 잘 팔리는 모델은 RT-AC68U (86이 아니라 68입니다)입니다만, 출시된 지 오래되었기에 칩셋 스펙이 최신제품들에 비해 떨어집니다ㅠ RT-AC88U 또한 구형 + 발열 + 대기전력 이슈로 추천 제품에서 배제했습니다.

 

 

 

 

3장: 100메가급 공유기는 왜 소외시켰는가?

 

여전히 전체 인터넷 가입자의 약 40%는 100메가급 인터넷을 사용중이긴 합니다만, 공유기까지 100메가급을 쓰는 것은 시대착오적입니다^^; 오늘날의 공유기 제조사들이 "기가급 공유기"를 볼륨모델로 삼기 때문에 100메가급 공유기 스펙은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볼품없거든요? 일반적으로 공유기 성능의 체감차이는 유선(Ethernet)보다 무선(와이파이)에서 발생합니다.

 

 

 

wz_1893618444_a337f4a59cdf0e34351f8504b5d6d317.gif

[댁내 와이파이 주파수 도달범위를 시각화 한 것입니다]

 

 

그런데 시판중인 100메가급 공유기들 대부분은 싱글밴드 기반이고, 무선 품질을 극대화하는 MU-MIMO가 지원되지 않으며, 연산에 필요한 메모리도 협소합니다. 와이파이 품질의 높고 낮음은 대역폭(메가 vs 기가)보다 "도달성능" 자체가 관건입니다. 부디 기가급 공유기를 선택해주십시오^^;

 

 

 

 

4장: 있으면 행복한 4대 옵션

 

 

1) MU-MIMO 

 

공유기의 무선통신은 생각보다 비효율적입니다. 식사로 비유하자면 : 자신의 입이 아무리 크다 한들, 한번에 한 스푼씩만 먹거든요?

만약 공유기의 능력치(위장/입크기)만큼 →

여러 스푼을 동시에 먹을 수 있다면 →

음식 먹는 속도가 빨라질 겁니다! 

그게 바로 MU-MIMO입니다! (반대 개념은 SU-MIMO) 

 

 

 

wz_1893618444_8907856fff314fc5e10f1845a7c6457c.jpg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의 와이파이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여러 단말기가 동시접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MU-MIMO가 진가를 발휘하게 됩니다.

 

 


2) 빔포밍

 

와이파이 무선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주는 신박한 기술입니다!

 

wz_1893618444_67b84ed7a99486f3eb0ba663a8a90fcf.gif

[단말기가 위치한 방향으로 무선신호가 집중됩니다]

 

 

즉, 와이파이를 수신하는 단말기(스마트폰, 노트북 등) 방향성을 탐지하여 해당 방향으로 주파수를 집중해주는 것이죠! 무선 도달거리가 극적으로 넓어지겠지요?

  

 

 

3) 밴드스티어링

 

기가급 공유기는 2가지 주파수 대역(2.4Ghz / 5Ghz)을 지원하는데, 서로 정반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분

설명

2.4Ghz

 5Ghz 

 직진성

 장애물을 잘 뚫는가?

 아니오

 네

 회절성

 장애물을 잘 꺾어다니는가?

 네

 아니오

 대역폭

 한번에 얼마나 전송하는가?

 적음

 많음

 도달거리

 주파수가 멀리가는가?

 네

 아니오

 

 

쉽게 말해,

5Ghz : 대역폭이 커서 대용량 다운로드도 빠릿하지만 -> 멀리서는 잘 안 터집니다;;

2.4Ghz : 정반대로 대역폭은 작지만 -> 더 멀리서도 접속이 잘 되지요.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단말기는 이 2가지 주파수 중 하나를 택해야만 하니 이율배반이 아닐 수 없죠. 

 

밴드 스티어링은 이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단말기의 접속 환경에 따라 더 잘 잡히는(쾌적한) 주파수로 자동 변경해주거든요~?

 

wz_1893618444_edc441821ac392b1093832dfd981cc44.gif[밴드 스티어링은 주파수를 유동적으로 자동 변경합니다]

 



4) 메쉬(mesh) 네트워크

 

여러대의 공유기가 제공하는 와이파이 신호가 1개로 합체(?)되는 거예요! 넓은 장소에서 와이파이를 제공할 때 매우 유용하지요. 물론 여러대의 공유기 SSID를 각각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멀티브릿지를 이용하면 메쉬와 비스무리한(?) 효과를 얻긴 하나..

1) 먼저 접속된 공유기 신호가 완전히 멎을때까지 -> 다른 공유기의 신호를 받지 못하고요~

2) 먼저 접속된 공유기에서 -> 다른 공유기로 접속이 넘어갈 때 순단이 발생합니다.

 

메쉬는 다수의 AP ↔ 단말기간 신호 강도에 맞게 능동적인 Handover가 가능하니 개념적으로 차원이 다릅니다.

 

 

wz_1893618444_3114084f8731f81b49973f318657d9d4.png [Mesh는 고가의 외산 공유기만 지원하던 기능이었습니다만.. 19년 9월부터 IPTIME이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Mesh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요약 : 멀티브릿지가 그냥 커피라면, 메쉬는 TOP입니다 +_+

 

 

 

 

결론은!?

 

공유기는 24시간 내내 쉴 새 없이 돌아가는 고마운 친구이니, 적어도 6~7만원은 투자해야합니다~! 치맥 한 번 먹을 돈을 아끼면 3년이 즐거워요ㅎㅎ

 

 

wz_2949839864_8b30dc2c6e660e3cde8a516c4b530b57.jpg

[망설이지 말고 지르십시오!]

  

 

 

[내용수정]

2020.01.28 : A6004NS-M 단종으로 A8004T-XR 로 변경

2021.05.07 : 제품 변경됨. A3004NS-M → A3004-T (단종 이슈),  A8004T-XR → AX3004ITL / AC86U → AX86U (Wi-Fi 6 대응 이슈)

2021.10.01 : AX86U 수입사 쇼트로 인한 구매 비추천 (가격 상향)

2022.03.01 : AX86U 수입사 쇼트 이슈 해소. 구매 추천으로 내용 원복

2022.11.02 :  A3004TW → AX2004M으로 변경 (802.11ax 지원 기종으로 대체)

2023.09.01 : AX8004M → AX6000M으로 변경 (신형 모델로 교체)

2024.07.17 : KT Wave2 → KT 다보링크 DV02-012H로, AX2004 → AX3000SM으로 변경 (둘다 신형 모델로 교체)

전체 댓글 187
  • 회원님의 사진 박홍연
    안녕하세요 sk500메가 상담 중인데 임대 공유기 말고 아이피타임 ax1500SR 제품으로 쓰려고 하는데 임대 공유기가 유리 한지 아니면 ax1500SR이 더 나은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다른 제품도 추천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박홍연안녕하세요 박홍연님~! +_+
    IPTIME 모델과 SK임대공유기 중에 고민하고 계시는 군요!

    말씀하신 모델이라면 배송비 포함해서 약 3.3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
    SK 임대공유기와 비교해보았을 때 AX1500SR을 구매하시는 게 조금 더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체감할 정도로 큰 차이는 아니지만 성능면에서 살짝 더 우위에 있기도 하고,
    MU-MIMO나 빔포밍 등 기능들은 비슷비슷하게 다 들어가있더라구요 ㅎㅎ

    무엇보다 SK임대 공유기는 월 1,100원 * 3년(36개월) = 약 4만원에 빌려 쓰는 것인데,
    AX1500SR은 3.3만원에 내 소유로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니까요 +_+

    이밖에 다른 모델이라면 꿀팁게시글에 소개된 AX3000SM 이나, AX3000R 모델이 괜찮아 보이긴 하나, 체감할 정도로 드라마틱한 성능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라서요~
    말씀하신 AX1500SR을 구매하셔도 괜찮겠습니다 🥰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