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 있는 진짜 초고속 인터넷은 광(光)케이블 기반의 "대칭형"이고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동축케이블(HFC)기반의 비대칭형이 있습니다.
비대칭형은 속도저하와 끊김등을 야기하는 악명높은 회선이에요;;
데이터전송과정에 오류날 확률이 높아, 재전송하는 과정이 따르고
이때문에 자연스럽게 속도저하, 심하면 끊김까지 발생합니다.
원천회선이 좋지 못하니
인터넷 기반의 와이파이, IPTV 품질에도 안좋은 영향을 미치죠;;
3년간 써야할 상품이니 반드시 대칭형을 지원하는 통신사를 찾아야합니다.
안타깝게도 통신사 홈페이지에는 단순 설치가능여부만 확인될 뿐,
대칭형에 대한 이야기는 숨기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요^^;
주소지를 댓글로 말씀해주시면 조회해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백메가는 본사(센터)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조회해봐드릴 수 있거든요 :)
참고로 번지수하나 차이로도 조회결과가 극명하게 갈리니.. 꼭 정확히 부탁드리구요!
주소지는 남겨주신 것 확인하자마자 잽싸게 가려드리겠습니다 ㅎㅎ
----------------------------
하여 괜찮으시다면 몇가지 질문에 답변주실 수 있을까요?!
1) 설치주소지(번지수까지)를 알려주시면 망 품질을 조회해봐드리겠습니다
2) 결합가능한 휴대폰은 SK 1대 뿐인지요?
더 있다면 총 몇 대까지 결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3) 혹~시나 SK를 오랫동안 써온 장기가입자분이고,
총 가입년수가 20년이상 쌓였다면 꼭 말씀해주시구요!
4) 이전까지 사용하던 인터넷은 없으셨는지,
있었다면 어느통신사였고 / 약정은 만료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 사용할 와이파이 공유기는 갖고 계시는 게 있으신지!
요렇게 다섯가지만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이야기를 풀어보도록 할게유 ㅎㅎ
댓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ㅇ^)/
아****
서울 금천구 **동 ***-**번지 입니다!
결합가능한 휴대폰은 sk에 1대 kt1대 있습니다 ㅎㅎ
sk쓴지는 6년 쯤 된것같아요!
이전에 사용하던 인터넷 통신사는 없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는 있습니다 ㅎㅎㅎ
운영진 이상희
@아리빠른 회신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주말은 당직순번대로 돌아가면서 근무하고 있는데
마침 오늘은 제 차례라 빠른 답변드릴 수 있게 되었네유, 후훗 :)
자아~ 가용조회결과!
거주하신 곳은 SK도 짱짱한 광(光)케이블 기반의 "대칭형"이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조회하는 김에 싹 확인해보고 왔는데
KT도 똑같이 대칭형이고, 유일하게 LG만 비대칭형(HFC)을 지원하더라구요!
어차피 LG는 결합할 휴대폰도 없으니 잘되었습니다 :)
호잉?! 그런데 KT휴대폰이 있으셨을 줄이야 ㅎㅎ
경우에 따라 KT로 가입하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래서 두 통신사의 유불리를 정확하게 비교해보고 싶은데요!
(어차피 똑같은 인터넷.. 조금이라도 싸게 쓰시면 좋을테니까요^^)
1) KT휴대폰 요금제 명칭을 알아봐주실 수 있을까요?!
2) 혹~시 이 휴대폰은 다른장소 KT인터넷과 이미 결합된 상태는 아닌지! 궁금합니다
휴대폰 결합은 오직 한 장소에만 묶어둘 수 있기 때문이에요
양다리걸치는(?) 중복결합이 불가하단 소리죠^^;
이렇게 두가지 질문에 답변주시면 감쏴드리겠습니다~~♡
아****
Y24 54.8 이예요 ㅎㅎㅎ 결합한건없지만 더이상 회선이 안남아있는것같아요 ㅠㅠ
운영진 이상희
@아리아항! 그렇다면 본래 계획대로 SK로 가입하시는 게 더 저렴합니다 :)
SK의 3년동안 납부할 총 비용이 798,800원이였는데 KT는 847,600원이 나오더라구요ㅎㅎ
(월 34,100원 * 36개월) - 사은품 38만원 <- 요렇게 계산한 값이옵고요~
상품기준은 SK : 100메가 + Lite(스마트3) / KT : 100메가 + tv슬림(기가지니2)입니다^ㅇ^)/
가장 대중적으로 잘 나가는 상품 기준으로 잡아드린 것이에용!
다만.. 아리님께서 해외망 서비스를
자주 즐기신다면 KT를 택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이를테면 넷플릭스나 해외에 서버가 있는 게임같은 것들을 즐기신다면 말이에요+_+
왜냐면 국내 통신사는 국가 상호간 "망 접속료" 지불 방식 때문에
사용자의 해외망 접속이 매우 부담스러운 게 사실인지라..
이 때문에 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통신사는 해외망 트래픽에 대한 QoS를 시전했는데요!
유선통신 1인자인 KT만 그나마 관대한 편이고 SK/LG는 이에 못미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