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3939 페이지
  • 소피스트님의 글

skt-kt 인터넷변경문의

회원님의 사진
  • 소피스트
  • 댓글: 9
  • 조회: 1,790

거주지 인천남구입니다. 

 

현재 sk브로드밴드 비대칭형 100메가 광랜 으로 10년넘게 12000원 요금제로 쓰고 있습니다. 

가족4명중 3개의 pc와 노트북 1대이고 3개는 공유기연결해서 쓰고 있고 노트북은 와이파이 연결및 핸드폰 테더링으로 쓰고 있습니다. 

 

웹서핑이나 간단한 영상확인정도까지는 무난하게 할수 있는데 문제는 동생과 제가 게임을 할따 발생합니다. 동생은 스타2

저는 롤..오늘 핑이 1000까지 올라가더군요.. 더구나 공유기 설정으로 3대중 1대가 웹하드에서 다운로드 받을경우..핑이..후

 

어쨋든 오늘 핑상태가 1000이상 올라가길래 울화통터져서 인터넷을 변경하려고 알아보던중 여러업체들 다 보니까 그나마

여기 대표 신정권씨가 양심적인거같아 글을 남깁니다. 핵심만 남길게요.

저희집 가족들 핸드폰은 kt 빼고 다른곳에 다 있습니다. 

 

1.kt다이렉트 인터넷100메가급 만 신규가입시 드는 비용과 월내는비용과 받을수 있는 사은품 알려주시구요.

2.다이렉트 인터넷+일반전화 묶어서 하면 월내는비용 과 받을수 있는 사은품 알려주세요. 

3.참고로 부모님 둘다 장애등급이 있는데 30%중복할인이나 30%할인 기본으로 되는지 알려주세요.

4.500메가급인터넷과+일반전화 가입 시 내는비용과 받는 사은품과 복지할인 적용

5.500메가 인터넷단독가입시 내는비용과 사은품 복지할인 적용

 

6.100메가 혹은 500메가를 할경우 모뎀하나와 아이피타임 공유기설정해서 3대의 피시를 쓴다고 가정하면 요금은 기본인가요? 아니면 공유기로 2대가 더 들어갔으니 2대요금이+ 되는건가요?

 

7.인터넷 최저품질속도? 하여튼뭐 그거.

현재 sk품질측정 벤치비로 하니 다운로드 92(11.56mb) 업로드10(1.25mb) 핑테스트는 평균11.70 인데 최저품질속도 보장이라는건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거죠? 

 

전체 댓글9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소피스트님 안녕하세요~?
    저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먼저 양질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가계 통신상황이 한 눈에 들어올 정도로 잘 정리해주신지라,
    저도 양질의 답변으로 보답드려야겠죠?

    내용에 다소 여러가지 변수가 있어서,
    각 주제별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으로 할게요~!


    1. 인터넷 품질의 최저보장속도(SLA)는,
    메이저 3사 통신사(SK,LG,KT) 모두 하향(다운로드) 50Mbps를 한계로 하고 있어요.

    이게 무슨의미인고 하면,
    지연시간(Ping), 상향(업로드) 등은
    약관상에 최저보장속도 명시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죠!

    이유는 비대칭형 방식의 인터넷(HFC, xDSL 기반)회선들에 대한
    통신사들의 방어기재라고 볼 수 있는데요...
    소피스트님이 남겨주신 측정결과를 본다면
    100% SK의 비대칭형 방식 망이로군요 ㄷㄷㄷ
    (아마 광랜W 혹은 광랜V 계열의 상품이겠죠?)

    하지만 약관이 하향속도만을 규정하고 있다 한들,
    상식적인 선상에서 납득할 수 없는 끊김과 장애 혹은
    터무니 없는 지연시간(Duration, Ping)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역시 상식적인 선상에서 장애처리를 해주게 되어 있습니다~!

    이런 장애처리를 통신사에서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심지어 위면해지(위약금을 면제받고 해지를 처리해주는 제도)까지도 가능하죠!

    소피스트님께서 인터넷 신규가입에 대한 질문을 해주시긴 했지만,
    이것보다 급한 부분은 소비자로써의 권리를 찾으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즉, SK를 통해서 장애신고를 취하셔야 하고요,
    평균 Ping이 11ms로 측정되긴 하나, 실제 체감 사용중에는
    절대 평균대로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게임하실 때 가장 크게 체감하시겠죠)


    2. 사용중이신 SK의 인터넷 요금이 너무 저렴합니다^~^;;
    혹시 핸드폰과 결합하셨거나
    온가족할인(가입년수에 따라 할인을 취하는 제도)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없으신가요?

    오늘날의 3년 약정 인터넷의 기본료는 22,000원(LG는 20,900원)으로 편성되어 있거든요~
    과거에 해지신공(방어)를 통해서 요금할인을 취하셨다 해도..
    너무 저렴한(?) 금액인지라 혹시나 해서 여쭙습니다~!


    3. 중요한 문제가 하나 더 있는데요~  이는 "인증수 제한 조치" 입니다.
    오늘날의 메이저 통신사들은 1개의 가정용 인터넷 회선에
    3대 이상의 단말기(PC)를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요.

    그렇다고 연결(접속)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경고메시지를 목격하실 수 있게 되죠~!

    즉, 인터넷 1개 회선에 연결된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단말기
    (PC, 노트북, 태블릿 등)가 4대이시니.. 분명 경고메시지를 목격하실 겁니다!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244

    지금 사용중이신 SK인터넷에서 인증수 제한 조치가 따로 없는 것은..
    워낙 과거회선이라서 별다른 터치(?)를 하지 않고 있어나
    아니면 과거에 이미 인증수 제한에 대한 클레임을 제기하셨기에.. 묵인되어 있는 것이리라 추정합니다.

    즉, 새로운 인터넷 통신사 회선을 설치하시게 되면
    언젠가 "5,500원을 내고 추가단말을 접속하라!" 라는 경고 메시지(팝업)을 보실 수 있고요~
    이는 제법 스트레스를 야기하게 되죠~!

    물론 그 시점에서 현명히 해결하면 그만입니다^~^
    최악의 경우라 해도 월 요금 5,500원 인상될  따름이기에..
    인터넷 회선 1개 더 추가로 들여놓는 것보다 저렴하게 먹힙(?)니다^~^;;


    4. 초고속인터넷 통신 계열에서
    복지할인을 적용하는 것은 무의미에 가깝습니다 ㅠ

    좀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자면..
    복지할인은 정부에서 법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인데
    통신사들은 이를 교묘하게 우회하고 있어서 요금 메리트가 없거든요!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1) 복지할인으로 가입하시는 상품이,
    일반적인 3년약정 상품에 비해 오히려 요금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정부에서 30% 할인을 보장하라고 한 부분을
    살짝 비틀어 "무약정 요금제에서만 적용된다"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해서 무약정 인터넷 요금인 3만원 후반대 요금에 30% 할인을 적용하더라도
    3년 약정의 인터넷 요금 22,000원 보다 비싸게 되는 셈이죠~!

    2) 또한 무약정 상품은(복지할인을 적용하려면 무조건 무약정 상품으로 해야하니)
    핸드폰 결합이 불가능합니다!
    오늘날의 인터넷 통신사를 선택하는 0순위 고려사항은
    "핸드폰 + 인터넷 결합을 통해 요금할인을 도모하는 것"인데,
    이게 불가능하다면 매우 재미가 없어지거든요 ㅠ

    혹시 핸드폰 결합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시겠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시겠어요~?

    -[참고글] 인터넷+핸드폰 결합은 필수!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878

    3) 핵심적으로, 무약정 상품은 본사를 통해서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즉, 백메가와 같은 대리점, 혹은 영업점에서 가입이 되지 못하기에..
    사은품이 별도로 없습니다 ㅜㅠ

    무선통신(핸드폰) 시장에서는 일반 요금제와 복지할인이 중복됩니다만..
    초고속인터넷 시장에서는 복지할인이 유명무실하기 때문에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죠 ㅠ


    5. 4번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핸드폰 결합을 통해 요금할인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결합할 핸드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금할인 측면보다 < KT인터넷 품질 쪽에 손을 들어주신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피스트님의 가족구성원 핸드폰 통신사와
    정확한 요금제를 댓글로 말씀해주시겠어요?
    6번 사항과 연계되는 문제에 봉착하기 때문입니다.


    6. 남겨주신 글을 보아하니, P2P 서비스를 사용하고 계신 듯 합니다.
    허나.. KT의 인터넷은 그리드 딜리버리 패킷을 인정하고 있지 않은 통신사이기 때문에
    P2P 서비스 이용하시면 스트레스 엄청나게 받으실거에요^~^;;;

    KT의 그리드 딜리버리 이슈는 아래 질문/답변 글을 참고해주시겠어요?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93569


    내용이 다소 길어졌습니다.
    정리해야 하는 부분도 많고, 전달하고자 하는 제 욕심(?)도 다소 많이 작용했기 때문이죠.
    이해해주시겠어요?

    여러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있는데 정리하자면,

    1) 인터넷을 갈아타는 문제는 차치하고 권리찾기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즉, SK에서 장애를 복원해야만 하는 것이죠.
    하지만, HFC 기반의 광랜V~W 망이 들어가 있을 것이니.. 아마 복원불가능한 상황으로 유추됩니다.

    2) SK의 요금은 어찌 이렇게(?) 저렴하게 사용중이신 건가요?

    3) 인증수 제한 조치에 대해 인지하셔야 합니다 ㅠ
    시대착오적인 정책이지만, 규정이기 때문에 경고메시지를 안 볼 수는 없죠!
    물론 클레임(?)을 통해 해소할 수도 있고 매월 5,500원의 요금 추가로 해소할 수도 있긴 합니다.

    4) 복지할인... 인터넷 분야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ㅠ

    5) 성능 문제 때문에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KT의 망을 선호하시는 상황일텐데,
    그리드 딜리버리 패킷 제한 이슈가 있어서 문제입니다.
    차라리 핸드폰 결합을 취하면서 LG로 갈아타시는 편이 나을 수도 있어요.
    허나, 전제조건은 소피스트님 댁에 LG망이 FTTH(대칭형)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어야만 하죠!

    KT라 해도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는 의미가 되겠지요?
    일단, KT의 요금과 사은품은 매우 단순합니다.

    가.100메가급 인터넷 요금은 22,000원이고요~
        500메가급은 여기에 + 11,000원이 됩니다 (즉 33,000원이죠!)

    나. 다만 전화를 추가하시게 되면 약~간 공식이 달라지는데
      - 100메가급 = 22,000원 + 4,400원(전화)
      - 500메가급 = 30,800원(요금 일부할인) + 4,400원(전화)
      이렇게 되죠!

    다. 집전화를 추가하거나 아니냐? 는 사은품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아요.
    오히려 집전화는 사은품에서 -1만원의 요소가 됩니다 ㅠ
    그만큼 집전화 상품 자체가 소외받고 있다는 것이죠 ㅠ

    라. 사은품의 많고 적은 척도는 TV 여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늘날의 통신사들은 IPTV를 파는 것에 혈안(?)이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마. 100메가급 인터넷은 8만원(상품권 4만원, 현금4만원)이 제공되고
    500메가급 인터넷은 13만원(상품권 4만원, 현금 9만원)이 제공되고 있어요.
    전화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위 금액에서 -1만원이 되죠!

    그리고 가입하신 맨 첫달 요금에서 (100, 500메가급 모두) 가입설치비 명목으로
    22,000원이 합산 청구되는데 이는 작년 3월부터 설치비 제도가 부활했기
    때문입니다 ㅠㅜ


    으헉;;; 써놓고 보니 엄청 길어졌네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말씀해주시겠어요~?
    아무쪼록 행복한 목요일 되시기 바랍니다! 꾸벅! (--)(__)
  • 회원님의 사진 소피스트
    풍부하고도  쉬운설명 감사드립니다. 해서 sk요금 엘지 인터넷가입유무 확인해본결과를 말씀 드리죠.
    1.sk 광랜 14년차 복지할인과+장기고객할인으로 무약정 위약금없이 현재 1만2천원 요금 나오고 있습니다.(핸드폰결합은 하지 않은상태입니다.)
    2.엘지 인터넷 조회 결과 기가인터넷은 주소상 안되고 주택용100메가 광랜은 되는데 여기도 비대칭형이라고 합니다.
    본사문의결과 100메가 광랜 엄마 핸드폰 결합시 1만5천 5백원 이라고 하고 사은품은 없다네요. 근데 비대칭형광랜이라고해서 실망하니까 본사에서 말하길 자기들은 sk처럼 망이 없는것이 아니고 kt랑동일한망에서 비대칭형을 쓰고 있기 때문에 게임할때 핑이 sk보다 증폭되는 건 없을것이다라고 호언장담하는데..글쎄..비대칭형이라는것을 전제로하니까 전혀~신뢰가 안간다말이죠..심지어 자기들에게 전화주시는 게임하시는 분들 이 sk쓰다가 자기들 안전한 망을이용하여 비대칭형으로 광랜쓰는데 도중에 해지하시는분들이 없었다. 라고 자신있게 말을 하니 정말인가?

    혹하게 되더군요. 단 1만5천5백원(엄마핸드폰과 인터넷결합시) 이고 사은품이나 현금은 없다네요...
    이렇게되면 저희부모님은 게임은 일체안하고 웹서핑과 인터넷영상 보는거니 기존에 쓰던 sk1만2천원으로 쓰자고 할것이 당연한데..거참

    3.백메가를 통해 엘지인터넷100메가를 엄마핸드폰+인터넷결합 시 내는비용과 사은품 유무를 다시알려주세요.
    4.현재 비대칭형광랜 엘지로 하면 정말 핑이 sk보다 없는지..의심스러운데 어떻게 확인할 방법은 없으니..아신다면
    답좀해주시구요.
    5.웹하드나 토렌트 다운로드는 아버지가 많이 합니다. 따라서 엘지로 가입한다면 kt처럼 제한 유무가 있나요?
    6.엘지는 인증수 제한조치가 있나요?있다면 위에 처럼 월 5천5백원 내야하는거?
    7.엘지 핑의 대한 진실만 안다면..그냥 케이티로 갈아타야겠네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소피스트소피스트님 안녕하세요~?
    빠른 피드백에 감사드립니다^~^

    오호..! 무약정 복지할인 + VIP 할인으로
    이렇게나 많은 할인을 받으시는 분은 정말 오랜만에 뵙는 거 같습니다~~! ♡

    일단 LG의 비대칭형은 성능을 보장할 수가 없어요.
    제가 들어도 혹(?) 할 정도의 호언장담을 고객센터에서 하기는 했지만,
    기존 고객님들의 피드백을 받아보면... 흠....;;;;
    물론 SK의 HFC망이 상대적으로 "더욱 지옥"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KT로 하기에는 요금할인이 아깝고,
    그리드 딜리버리 이슈가 있어서 아버님께서 불만족(?) 하실 수 있답니다~!

    다만, LG의 경우에는 해외망(Oversea)대역폭 제한(?)이 있기 때문에
    토렌드 시드 중에서 해외사용자의 시드는 포기하시는 것이 좋죠.

    야~~! 이거 참 여러모로 장단점이 각각 나뉘죠?

    하지만 토렌트의 대역폭 이슈는 별로 크게 우려치 않아도 되는 것이
    대부분 국내 사용자의 시드가 있기 때문이고요~
    오히려 그리드 딜리버리 불만족이 더 클 것입니다. 즉, LG에 한 표입니다!
    또한... 인증수 제한 조치는 모든 통신사 마찬가지입니다...
    원래 LG는 따로 경고메시지 송출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는데요~
    작년 6월부터 노선을 변경했습니다 ㄷㄷㄷㄷ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1. P2P의 이용을 위해서라면? : LG
    2. 토렌트의 해외 시드 측면에서는? : KT
    3. 대칭형 측면으로는? : KT
    4. 요금할인 편익에서는? : LG
    5. 사은품이 높은 곳은? LG
    6. 인증수 제한 조치 문제? : 마찬가지 ㅠ

    뭐.. LG를 이용하는 게 정답이겠죠?
    월 요금은 부가세를 포함해서 20,900원에 제공되고 있고요~
    사은품은 16만원이 전액 현금으로 지원되고 있어요!
    (가입설치비는 22,000원인데 맨 첫달 요금에 합산 청구된답니다)

    그리고 어머님께서 사용하시는 LG핸드폰이
    3G/LTE 34요금제 이상 ~ 62요금제 미만이거나
    혹은 순액(데이터) 21요금제 이상 ~ 44요금제 미만이신 것이죠?

    이렇게 되면 매월 핸드폰 요금에서 (결합으로) 5,500원이 할인되니
    실제 체감요금은 20,900원 - 5,500원 = 15,400원이 되는 것입니다^~^

    우하하하! 이해가 잘 되시나요?
    몇 줄 안 적은 거 같은데 엄청 오래걸렸네요 ㄷㄷㄷㄷㄷ

    마지막으로,
    1) 인증수 제한 조치는? : 팝업 뜨는 시점에 조치하시면 됩니다.
    미리 요금을 내실 필요가 없어요.
    2) 속도 문제는? : 사용하시다가 이거 도저히 "노답"이다 하시면
    역시 장애신고를 통해 조치를 취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LG에서 장애를 복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플랜B로 넘어가면 되죠!
  • 회원님의 사진 소피스트
    플랜b가 뭐죠?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소피스트커헉! [플랜B]의 언급이 부족했군요!

    맨 처음 댓글에 설명드린 것처럼,
    통신사의 인터넷 이용약관이 하향(다운로드)속도만을 규정하고 있다 한들,
    상식적인 선상에서 납득할 수 없는 끊김과 장애 혹은
    터무니 없는 지연시간(Duration, Ping)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역시 상식적인 선상에서 장애처리를 해주게 되어 있고요~

    이런 장애처리를 통신사에서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위면해지(위약금을 면제받고 해지를 처리해주는 제도)까지도 가능하다는 것이
    플랜B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상식적인 선상"의 기준잣대로 모호할 수 있긴 하나
    장애가 발생할 때에 =>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속도측정 솔루션에 기록을 남겨놓고
    더불어 유선으로 장애신고를 취하게 되면(장애신고부서는 24시간 열려있습니다)
    거증(입증)할 수 있는 자료도 담보되는 것이기에..
    적어도 위약금의 일부 면제까지는 능히 가능하겠지요!
  • 회원님의 사진 소피스트
    @이수빈오늘kt본사통해서 가입하려고 전화했더니 수빈님의 말처럼 그대로 적용되더군요..(이놈의의심병) 세상에 집전화 06년부터 아버지 명의로 썼는데도불구하고 기본료 5700원에서 10프로할인..인터넷 100메가 복지할인적용해서 2만2천원..결국 포기했습니다. 엘지인터넷가입도생각을해봤지만 sk나 엘지나 둘다 비대칭형광랜에..엘지는 1만5천5백원..기존금액보다 3천원많은금액..상품권도없고...

    그래서 저는 조만간 제 명의로 단독으로 kt 가입해서 100메가 2만2천원+핸드폰생각중입니다. 여기서 질문드릴것이.

    1.현재 핸드폰 기기값 할부기간과 노예약정기간이 다끝나가는데요. 폰 통신사를 kt로 바꾸고 요금제를 중간요금제로 해서 한다면 할인얼마나 받을까요?

    2.더불어 위에 댓글중에 토시하나틀리지않고 kt본사와 같이말하게되서 소름끼치게 고맙습니다.

    3.제명의로 조만간 단독가입할때 이곳 백메가를 통해서 가입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소피스트소피스트님 안녕하세요~?
    벌써 불타는 금요일이 왔습니다~!! 두둔...

    으흐흐..복지할인이 참..뭔가 그렇죠~?
    일단 KT의 경우에는 요금제에 따라 할인되는 양의 편차가 좀 심합니다;;
    1,650원에서 ~ 11,000원까지인데요~

    주요 요금제를 기준으로 쉽게 설명드리자면
    - 데이터 599요금제가 11,000원 할인
    - 499요금제가 8,250원,
    - 349~399요금제는 2,750원...
    - 그리고 그 이하는 1,650원입니다 ㄷㄷㄷㄷ

    아주 쉽죠!? 저는 참고로 599요금제랑 결합해서 쓰고 있어요.
    데이터를 엄청 쓰기 때문에 ㅠㅜ
    적어도 499요금제 이상을 사용하실 때 부터 할인이 낭낭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리. 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
    좋은 말씀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려요~!
    덕분에 즐거운 불금을 만끽할 에너지가 되었습니다~! 호호호
  • 회원님의 사진 소피스트
    @이수빈오늘 궁금한게생겨서요. 저희가족중에 저와 제 동생이 skt통신사 lte 32(3년미만 가입이에요)요금제 동일하게쓰고 있어요. 현재 인터넷이 무약정의 vip 복지할인적용해서 1만2천원대로 쓰고있는데 인터넷+핸드폰두개 결합이 가능할가요?

    1.인터넷+핸드폰두개결합 가능한지?
    2.결합한다면 3년약정같은것을 무조건 해야하는건지?
    3.인터넷과의 결합이 안된다면 핸드폰2개에서 나가는 요금을 줄일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4.만약인터넷과 핸드폰결합이 되었는데 살다가 통신사를 해지하거나 인터넷을 바꿀경우 위약금같은것을 내야하는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뭐 어쨋든 내일 skb에 전화할생각이긴 하지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소피스트소피스트님 안녕하세요~?
    좋은 아침입니다~!

    복지할인은 위 댓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핸드폰 결합이 불가능해요. 복지할인이라기 보다는..
    무약정 요금체계 자체가 핸드폰 결합을 지원할 수 없다고 보시는 것이 좋죠!

    그리고 동일 통신사의 인터넷을 해지후 ->
    곧바로 재가입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3년 약정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본사를 통해 상품전환을 신청하시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동일 명의자 혹은 동일 주소지 설치는 해지후 3개월의 유휴기간이 있어야 가능해요)

    어차피 오늘날 통신사들의 결합상품은
    "우리 통신사의 상품을 이렇게나 많이 이용해줘서 고맙소~"의 개념이기에
    핸드폰 결합이 약정기간 중도에 해제된다 하더라도 별도의 위약금이 발생하거나
    하진 않습니다~! (KT만 예외)

    마지막으로 핸드폰의 요금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1) 선택약정할인(20%) 제도를 취함
        -> 취할 수 있는 단말기가 제한적이고, 이를 취하는 순간 약정 연장하겠다는 의미가 됩니다.
    2) TB결합(온가족할인)을 취함
      -> 가입년수 30년차부터 의미가 있어서 해당이 크게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핸드폰 요금약정할인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중복으로 작용하지 않아요.

    위의 2가지가 대표적인 방법이죠!
  • 문의게시판
  • 3939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