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3606 페이지
  • 보송비님의 글

LG >> 타사 인터넷 티비 이동 문의

회원님의 사진
  • 보송비
  • 댓글: 5
  • 조회: 1,025

현재 LG IPTV(보급형), 인터넷(100M광랜), 글고 제명의 핸드폰 1, 아내 1 이렇게 해서 한방에홈으로 묶여있습니다.


약정 만료일이 이번주 목요일(8월18일)이니까 8월 19일날 LG를 해지할까 고려중입니다.


일단 유플러스 해지부서 상담원이랑 통화를 했는데, 당장 재약정시 상품권 15만원 제공이라는데요..


상담원 왈, '신규로 인터넷 등을 통해 가입할 경우에는 상품권이나 현금 등 혜택은 많을 수 있지만, 한달에 사용하는 요금이 다를 수 있다... 기가인터넷500M로 올리고, IPTV는 그대로 보급형으로 한다고 했을 때, 자기네가  기존 매달 납부하던 TV+인터넷요금 약 2만원에서 2천원 정도 플러스 된 약 2만2천원대에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다.(유무선결합할인받아서) 상품권도 15만원 제공된다'


이것만 보믄 좀 아닌것 같다고 생각해보고 전화주겠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기존에 할인받던 것들 그대로 받으면서 해지방어 차원에서 받는건 상품권 15만원과 매달 -2천원밖에 없다는 말이니.(36개월 기준으로 보면 약 22만원 정도 혜택이네요)


사실 해지방어를 하면서 어느정도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인터넷+TV설치비 굳는 것이랑 매달 할인해주는 금액도 무시못할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아내와 저 휴대폰 약정 끝날때까지 결합요금 할인받는 것도 몇만원 되니까요..


그래서 백메가에서 제공가능한 혜택과 요금이랑 직접적으로 비교해보려니까 잘 안되네요.


만약 이동하게된다면 핸드폰은 약정 만기되는 대로 바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아내는 올해 10월쯤, 저는 내년 1월쯤(글고 올레에서 에그를 제 명의로 하나 가지고 있는데, 이건 결합요금 대상은 아니죠??)


어떤 통신사로 하는게 나을지, 설계 부탁드립니다.

100M과 500M 기준으로 각각 부탁드리며, TV는 자주 보지 않는 관계로 가장 저렴한 요금제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향후 휴대폰과 결합했을 때 할인될 수 있는 금액도 안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체 댓글5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제가 답변드리겠습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 회원님의 사진 보송비
    @유동호넵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보송비님 안녕하십니까!
    저는 백메가의 유동호라고 합니다^^;

    인터넷의 약정만료가 임박했기에,
    이를 유지할 지 vs 교체할 지의 기로에 서 계신 것이죠?

    결론적으로 "핸드폰이 어디로 번호이동 할 것인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게 되어요^^


    어차피 오늘날 시판되고 있는 3사 메이저 통신사들의
    인터넷이나 TV요금은 서로 비슷한 수준입니다.
    (약 1천원 내외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요)

    쉽게 말해 "동급 스펙"의 상품들은
    요금 자체에 차이가 거의 없기에
    핸드폰 + 인터넷 결합을 통해 할인을 추구하는 것이
    인터넷 통신사를 선택하는 최우선 고려사항인 셈이지요^^

    이야기가 좀 길어질 것 같으니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LG유플러스의 해지신공

    LG유플러스에서 제시한 "요금 조건"은
    말씀해주신 것처럼 속보이는 제안입니다^^;;

    이렇게 해지의사를 비출 때에
    통신사에서 발목(?)을 잡는 것을 "해지신공"이라 부르는데요~
    (모든 통신사에 다 존재합니다)
    사실 이것은 부루마블의 "우대권"과 같은 개념입니다.

    우리들이 인터넷을 신규가입 할 때에는
    이 우대권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한장씩 들고 있는 것이라 보셔도 무방한데
    통신사의 해지방어를 받아들이는 순간
    이미 우대권을 소진하는 셈이거든요?

    즉, 인터넷을 신규가입할 때에는
    요금할인을 더 받을 여지(우대권)를 들고 있는 셈이지만..
    이 우대권을 사용하게 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실질가치는 더 낮아지게 되죠.


    2. 타이밍 이슈

    위 1번에서 말씀드린 "해지신공"은
    "3년 재약정"을 다시 설정하기 마련입니다.

    즉, 우리는 핸드폰은 10월 그리고 내년 1월에 교체한 후
    그 통신사의 인터넷으로 교체를 해야 할 텐데..
    해지신공을 받아들이게 되면 위약금이 발목을 잡는 상황이 연출되겠죠?

    그래서 해지신공을 받아들이지 마시고요~
    핸드폰 교체 시기까지 계속 LG유플러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따로 재약정을 취하지만 않는다면,
    사용하시는 요금 그대로 "무약정" 상태로 계속 이용하시는 셈이거든요?


    3. 핸드폰 번호이동 이슈

    결국 우리는
    핸드폰을 번호이동하는 통신사와 + 인터넷 통신사를 일치시켜서
    결합할인을 취해야 하잖아요?

    이 때에는 2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1) 어느 통신사로 갈아탈 지에 대한 문제
    2) 어떤 요금제를 선택할 지에 대한 문제

    왠만하면 2개 핸드폰 모두 같은 통신사로 맞추는 편이 좋을테고요~
    (결합하는 핸드폰 회선이나 요금제가 높을 수록 유리하니까요)

    어떤 요금제를 염두하고 계시냐에 따라
    인터넷을 갈아타는 시점이 달라지게 됩니다.
    "특정 통신사"의 "특정 상품"은 인터넷 개통시에
    핸드폰이 최소 2회선 구비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ㅠ (SK의 온가족플랜이라는 아이입니다^^;;)


    4. 대칭형(FTTH, FTTx) 이슈

    설치하실 주소지에 제대로 된 인터넷 망이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해요.
    (이를 대칭형 vs 비대칭형 문제라고 많이 부릅니다^^;)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겠어요?
    - FTTH 인터넷??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3411

    쉽게 말해 설치하실 주소지까지
    대칭형 방식으로 인터넷을 제공하지 못하는 통신사는
    선택에서 배제를 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만약 비대칭형 기반의 인터넷 망을 제공하는 통신사 쪽으로
    핸드폰 번호이동을 염두하셨었다면?
    모든 계획을 다시 생각해봐야 할 정도의 문제입니다.


    설명이 조금 길죠?^^;;
    제가 몇가지를 여쭤보겠습니다.

    1. 혹시 핸드폰을 번호이동할 통신사를 선정하셨나요?

    2. 이 2대의 핸드폰은 요금제를 염두하고 계신가요?

    3. 인터넷을 설치하실 정확한 주소지를 말씀해주세요^^ (번지/동/호수 단위까지)
      대칭형 기반으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통신사가 어디인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공개된 공간이니 댓글 확인하자마자 지워놓을께요!

    위 3가지의 결론에 따라서 좀 더 명확한 윤곽이 그려질거에요.
    설명이 잘 이해되십니까?^^

    그리고 그밖에 궁금하신 점들도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예측하신 것처럼 에그(Egg) 장비는 결합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ㅠ
  • 회원님의 사진 보송비
    @유동호번호이동 통신사는 아직 정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데이터만 많이 쓰는편이라  에그를 쓰고있어서 요금제는 가장 낮은거 하나, 데이터 1.5기가쯤 지원되는것 하나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주소지는 인천서구 경서로 31번길 47 가이아샹베르2차아파트 ***동입니다. 답변이 없으셔서  찾아봤는데 kt는 100, 500, 1000mb모두 가능이라고 나오고 sk는 500mb만 뜨네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유동호
    @보송비보송비님 안녕하십니까?
    점심식사는 하셨는지요^^

    오늘날 신형 요금제를 기준으로 한다면
    29 요금제 + 39 요금제 가량의
    핸드폰을 개통하실 것이라 가정하겠습니다^^
    (요금제의 높고 낮음에 따라 편차가 상당히 크거든요;)


    # 첫번째 :
    SK와 KT모두 대칭형 망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각각 이밸리망/엔토피아 망이 포설된 것이고 FTTx 라는 방식이죠^^;

    기가급 인터넷이 제공된다 해도,
    비대칭형 방식에서 억지로 대역폭을 증폭시킨
    '가짜 기가인터넷"도 존재하기에
    대칭형 vs 비대칭형을 꼭 확인해야 했습니다^^;;

    결론 : 인터넷의 망 품질 측면에서는 대동소이할 것입니다.


    # 두번째 :
    말씀드린 것처럼 SK / KT인터넷 둘 다
    비슷한 기본료로 제공이 됩니다.

    다만 29 / 39요금제 가량의
    핸드폰 2회선을 결합할 경우
    SK인터넷은 11,000원을 할인받아 ->
    100메가 인터넷 + TV가 33,000원에 제공되고요~

    이와 별개로 핸드폰 요금에서 5,500원의 할인이 이루어지기에
    실제 체감요금은 27,500원이 됩니다^^

    반면, KT는 핸드폰 결합에 의해 31,900원의 요금에 제공이 되고
    이와 별개로 핸드폰 요금에서 3,300원이 할인됩니다.
    즉, 체감요금 28,600원이겠네요.

    쉽게 말해 SK와 KT는
    요금차이 1,100원 내외라고 보시는 게 좋습니다^^

    인터넷에 할인이 되었든 핸드폰에서 할인이 되든
    "실제 지갑에서 나가는 체감요금"이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500메가급을 선택하실 때에는
    위 요금에서 SK는 + 5,500원 / KT는 + 3,300원이 된다고
    환산해주시는 것이 좋아요.

    계산공식은 좀 더 복잡하긴 하나 최대한 쉽게 설명드렸습니다^^;



    # 세번째 :
    요금차이가 별로 없는 전제하에는
    KT를 선택하셔야만 합니다.

    즉, "SK핸드폰으로 번호이동을 고집해야 하는 경우" 가 아니라면
    핸드폰을 KT로 바꾸시는 편이 좋다는 것입니다.

    TV의 품질과 만족도 차이가 현저히 크거든요.
    제 사수인 이수빈님의 답변을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121055

    그리고 KT와 SK의 셋탑박스 리뷰도 꼭 참고해주세요.

    - KT 리뷰: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6953
    - SK 리뷰: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8228

    즉, SK의 TV상품 만족도가 너무 떨어집니다 ㅠ


    아참 SK나 KT나 사은품은 (상품권을 포함해서) 20~22만원 내외로
    매일 변동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입설치비가 차이가 있는데 SK는 35,200원, KT는 (좀 더 비싼) 37,400원이네요.


    요약을 해보면,
    #. 정말 왠만해서 KT인터넷을 사용하시는 편이 좋고요~
    #. 핸드폰 또한 KT쪽으로 번호이동 하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다만 KT는 요금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한 끗 차이(?)로 할인율이 뒤죽박죽으로
      변하기 때문에 요금제를 잘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 500메가급과 100메가급의 갭이 작아서 500메가급을 택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문의게시판
  • 3606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