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3532 페이지
  • 궁금이님의 글

기가인터넷 무선 와이파이 속도 문의 드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궁금이
  • 댓글: 6
  • 조회: 9,389

LG 기가 인터넷 신청해서 무선와이파이 속도가 얼마나 나오나요?

물론, 지역마다 특성이 있겠지만,

신규 아파트 이고, 기가인터넷 설치 가능지역입니다.

 

더 정확히 질문 드리면,

기가 인터넷신청시 무선와이파이 접속 (갤럭시 S6)하여

벤치비 어플로 다운로드 속도 측정하였을 시 얼마까지 나오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전체 댓글6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궁금이님 안녕하세요~?
    저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꾸벅! (--)(__)

    매우 심오한 질문을 남겨주셨군요~!
    그런데 아까 동일한 와이파이(AP) 속도 문제로
    질문을 남겨주시지 않았나요~?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138095

    음, 제가 조~~~금 더 쉽게 풀어볼께요!
    "와이파이 속도와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주체는 총 3가지입니다.

    1) 와이파이 공유기의 스펙
    2) 수신자(단말기)의 스펙
    3) 와이파이 주파수가 오가는 환경

    일단 LG에서 제공하는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는
    GAPM-7100 라는 모델이고요~ 듀얼 스트림을 지원합니다.
    즉, 이론상의 최대속도는 866.7Mbps 인 셈이죠!

    그리고 단말기의 경우에는(언급해주신 갤럭시 S6)
    마찬가지로 ac규격을 지원하니 866.7Mbps을 커버할 수 있지요.

    즉, 이론상으로는 866.7Mbps 의 최대속도를 지원하고
    이를 메가바이트급으로 환산하면
    108MB/s 라는 경이적인(?) 속도가 나오는 셈인데..
    실제로는 이런 속도, 절대 나오지 않습니다.

    무선은 커녕.. 일반적인 데스크탑 환경에서도 저런 속도를 보기 힘들어요.

    즉 866.7Mbps나 1000Mbps 등등은
    통신사에서 최대(Maximum)로 지원하는 "이론속 세상"의 속도고요~
    실제 체감레벨에서는 약 60~70%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글을 한번 참고해주시겠어요~?
    - 기가인터넷에 대한 단상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4710

    게다가 와이파이(무선)에 의한 접속은
    3번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즉, 어떤 거리에? 어떤 장애물이? 어떤 무선감도인지? 등등에 따라
    속도가 현격히 떨어지게 됩니다^~^;;

    저희 집에서도 나름대로 좋은 공유기 + LG G5 핸드폰 + 5Ghz(802.11ac) 로 맞춰놓았지만..
    평균 150~300Mbps 정도 나오는 거 같습니다.
    (KT의 기가인터넷(1G)을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스마트폰 환경 특성상..
    866Mbps 에 달하는 속도를  필요로 하지는 않을텐데
    혹시 특별한 목적이 있으신가요~?

    그리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꾸벅!~ (--)(__)
  • 회원님의 사진 궁금이
    800메가가 스마트폰에서 필요하지는 않죠 ㅎ
    그러나 계약자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다보니 허위 과장 광고를 통해서 가입을 했습니다.
    기가인터넷입니다. CJ헬로티비
    기가 무선와이파이 800메가 나온다고 자랑해서요...
    그러나, 실상은 30메가...수차례 문제제기...최종 본사 기술팀 출동하고 등등 해서
    지금 130메가~150메가 정도입니다. (5G로 1미터앞에서 측정, 갤6 벤치비로.)

    KT,SK,LG 모두 이정도라고 합니다.
    KT에 확인해 보니 자기네는 600메가 정도 나온다고 하고..
  • 회원님의 사진 궁금이
    처음엔 몰라서 그랬다고 하더니, 이제는 다른데도 전부 150메가 나오니 이상없다.는 입장이네요.
    해지하려고 하거든요 ㅠ 싸워야 해서..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궁금이아하!  사용자의 권리를 위한 스펙문제 때문이시군요 ㅠㅜ

    이게 참 애매하고 모호합니다.

    통신사들이 과장광고는 엄~~청나게 해놓고...
    실상 최저보장속도(Minimum)은 75~150Mbps거든요?
    500메가급 인터넷이 75Mbps / 1기가급이 150Mbps입니다.

    즉, CJ같은 지역케이블 업체의
    고질적인 뻥은 차치하고
    메이저 통신사들도 진배없는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근데 지역케이블이 더 나쁜게(?)
    광(光)랜도 아닌 HFC(광동축혼합망) 기반의 인터넷으로
    "기가급"을 팔고 있다니.. 완전 고객 농간인 셈이에요.
    (즉, 억지로 대역폭을 영혼까지 끌어올린(?) 것이고요~ 고객 기만입니다)


    약관상 최저보장속도 미만이 발생했을 때에는
    위면해지(위약금을 면제받고 해지할 수 있는 것)가 성립되기에...
    통신사들이 최저보장속도에 엄~~청난 방어기재를 깔아놓은 셈이에요.

    좀 많이 약았죠? 100메가급 인터넷도
    50Mbps 의 최저보장속도를 가지고 있는데.. 참으로 약았습니다.


    음. 일단 싸움에는 명분이 있어야 하는데
    단순 다운로드 속도만으로는 어떻게 싸워서 이기기가 힘들어요.
    그리고 통신사 본사와 싸우시는 게 아니라,
    방통위(방송통신위원회)나 소보원(소비자보호원) 쪽에 민원제기를 하시는 것이 빠릅니다.

    보통 지역케이블의 뻥기가인터넷(?)과 전투를 벌일 때에는
    다운로드 속도(DN)가 아닌 지연시간(Ping) 문제를 거론하곤 합니다.
    실제로도 ping 문제 때문에 굉장히 스트레스 받으실 거에요.

    즉, 고질적인 끊김(Duration 발생 및 접속불가) 현상이죠!
    요약하자면,

    1) 메이저 통신사도 약관상에 방어기재를 엄~~청 깔아놓은 상태에요.
    2) 이론상의 속도를 마치 "언제든 제공가능한 속도" 쯤으로 착각하게 만들지요.
    3) 그나마 메이저 통신사는 양반입니다, 지역케이블은
      근본없는 HFC 기반망으로 기가급 인터넷을 서비스하고 있으니
      정상이라 볼 수 없어요.
    4) 지역케이블과 위면해지로 싸우지 마시고요~ 방통위나 소보원에 민원제기를 하시는 게 빠릅니다.
    5) 또한 다운로드 속도로 하면 명분이 없습니다.
        HFC 의 고질적 문제인 Ping 문제로 싸우셔야 해요.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시나요~?
  • 회원님의 사진 궁금이
    네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궁금이별 말씀을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백메가로 질문주셔요~!^~^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문의게시판
  • 3532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