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실 저도 왠만하면 혼자서 잘 찾아보고 대책을 찾는 편인데 이번에는 케이스가 약간 복잡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최대한 자세하게 적도록 할테니 부디 좋은 방법 찾아주시면 좋겠습니다.
최초 인터넷+tv 서비스 가입 후 3년 5개월쯤 되어 자동으로 재약정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2016년 10월경 재약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재약정시 인터넷쪽 지원금 23만 + tv쪽 지원금 4만 도합 27만원에 해당하는 문화상품권을 2016년 10월경에 지급받았고, 현재 1년이 훌쩍 지난 상태입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 이사를 진행하였으나, 아직 청구서에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후속 문의를 위해 2018년 1월 청구서를 첨부합니다.
-------------------------------------------------------------------------
본격 질문들어갑니다.
1. 인터넷 해지시 발생하는 위약금이 아래와 같은게 맞습니까? 원단위까진 필요 없고 대략적으로 액수가 비슷한지만 알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전 설치비는 최근 이사로 발생하였습니다.
2. 만약 위 금액이 정확하다면, 현 상황에서 해지할 때 위약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까?
3. 가장 최근 이사할 때, 기존 아파트에서는 광기가 슬림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사하는 위치가 주택이라서 광기가 슬림 주택_HFC 로 변경되었는데, 이사 신청시에 상담 직원은 기존 서비스를 특이사항 없이 사용 가능하다고 안내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HFC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대칭 속도를 가지고 있고, 기존 아파트에서는 UTP 랜선을 사용하여 대칭 속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제가 생각하기에, 위 변동 사항은 중대한 변동 사유라고 보여지는데 전혀 안내가 없었고, 또한 특성상 업로드 속도에도 민감한 만큼 해당 서비스를 이대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데 이것이 해지 사유가 가능합니까?
4. 만약 해지가 힘들 경우에, 보통 사용기간이 1년이 지나면 타사로 신규가입하라며 연락오는 사람들을 통해서 위약금 지원받아 통신사 이전하는게 가능한 범위의 위약금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5. 이도저도 어려워서 이대로 그냥 사용할 때, 시간이 지날수록 해지 위약금은 줄어드는지 늘어나는지 궁금합니다.
하... 골치아프네요. 가뜩이나 이사할 때 tv 이전설치비가 13,200원이나 나온거보고 선 두, 세개 연결하는게 그렇게 비싼건가 싶어서 열받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