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2932 페이지
  • pic****님의 글

인터넷가입 문의

회원님의 사진
  • pic****
댓글 1
  • 조회 1,303
몇년 전에 친척, 가족까지 백메가에서 가입했었는데 또 오게 됬습니다.

현 상황이 인터넷만 가입하는게 최선에 운이 좋으면 중고 tv를 들여올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고
기간은 1년 정도 거주할 예정, 결합할 수 있는 휴대폰 회선은 하나도 없습니다..

1. 인터넷 + TV로 신청할 경우 가입할때는 지원금이 얼마고
3년약정으로 걸고 1년후 해지시 위약금이 얼마가 나오는지요

2. 지금 당장은 집에 tv가 없는 상황인데 TV 셋탑 설치가 가능한가요

3. 대전 중구 중촌동 주공아파트 3단지 (1999년 준공 아파트) 의 회선이 대칭형인지 비대칭형 인지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pickles님 안녕하세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꾸벅! (--)(__)

    잊지 않고 백메가를 찾아주시니 감개무량할 따름입니다 ㅠ
    (이거 다 진심인 거 아시죠~? 호호)

    일단 위약금이란 "할인 반환금"의 개념이라 볼 수 있는데요~
    할인 반환금은 어떤 상품을 청약하는지에 따라
    큰 편차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물론 오늘날 시판되는 통신사 인터넷 요금이
    대동소이 + 천편일률의 극치를 달리고 있긴 합니다만,
    세부규약(원천요금 및 부가사항)에는 큰 차이점이 있지요^~^

    쉽게 말해,
    어떤 통신사의 어떤 상품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위약금 볼륨에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

    흑 ㅠㅠ 통신상품이 이리 복잡합니다 ㅠ


    한편으로,
    위약금을 정확히 셈해보는 것 또한 애매한 일입니다 ㅠ

    위에 말씀드린 것처첨
    1) 어떤 인터넷 회사의 2)어떤 상품인지에 대한 문제도 있거니와..
    가입당시의 프로모션, 정확한 해지 시점(타이밍),
    통신사 내규 변경 등에 따라 매우 편차가 심해지거든요~?

    또한 오늘날의 위약금 공식은
    2016년 4월에 개편된 "4세대 제도"를 기반으로 하는데요~
    과거와 달리 상당히 복잡스러운 계산 공식을 자랑합니다;;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9251

    그래서 정확한 위약금은 본사 고객센터 조회만이 해법이지요 ㅠ


    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략적으로 환산해보자면
    13개월차 + 100메가급 인터넷 위약금은
    약 20~30만원 전후로 예상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물론 TV가 포함되어 있다면 -> 위약금도 정비례하여 훅!! 증가합니다!)

    물론 정확한 금액이 아니니 단순 참고만 해주시와용~~!


    흠.. 그러노라면 생각보다 복잡한 상황입니다
    변수가 무진장(?) 많거든요~?

    자! 이 복잡한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몇가지 상황을 환기할 필요가 있을 뿐더러
    적절한 타협점도 필요하답니다. 제가 하나씩 정리해볼께요^~^


    1. 안타깝게도 TV수상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TV상품의 설치와 개통이 불가능합니다 ㅠㅜ

    설치기사님께서 TV 설치 및 신호 테스트를 필수적으로 해야 할 뿐더러,
    셋탑박스 인증 절차까지 완료해야만 하거든요~?
    즉, TV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 아무런 액션도 취할 수 없는 것입니다 ㄷㄷㄷ

    하지만 대안이 있습니다.
    셋탑박스의 영상/음성 출력은 HDMI 규격의 케이블을 이용하기 마련인데
    일반적인 PC용 모니터가 HDMI 규격을 지원하잖습니까~?

    해서 TV가 위치할 장소에 미리 PC 모니터를 배치한 후,
    설치기사님께 아래와 같이 말씀해주시면 만사 오케이입니다^~^

    "기사님! TV가 배달되기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집에 HDMI 규격을 지원하는 모니터가 있으니,
    여기에 셋탑박스를 연결하시어 설치를 해주십시오! 어차피 나중에 TV가 도착하면
    케이블만 바꿔 달면 그만 아니겠습니까?"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십니까~?


    2. 어차피 오늘날 통신요금은 통신사마다 대동소이합니다!

    이게 자본주의 경쟁의 산물인지,
    아니면 호형호제(?) 사이인 통신사 담합의 결과물인지,
    우리는 미처 알 순 없지만..
    모든 통신사들이 천편일률에 가까운 가격으로 인터넷을 공급하고 있으니 참으로 재미있을 따릅입니다!

    그래서 핸드폰 + 인터넷 결합을 통해
    요금할인을 도모하는 것이 최우선 고려사항이지만..
    핸드폰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 보조금(사은품) + 만족도가 핵심이겠죠!

    이 때 보조금은 "TV를 동시가입하는지?" 여부에 따라 편차가 현저합니다;;

    SK를 예시로 들자면,
    - 인터넷만 단독으로 가입할 때 9만원의 보조금이 지급되는 반면
    - 인터넷 + TV를 동시가입 할 때에는 35만원의 보조금이 지급되거든요?

    비단 SK뿐만 아니라 3사 통신사들이 마찬가지입니다^~^;;
    KT는 13만원 vs 22만원,
    LG는 11만원 vs 35만원이지요!

    그래서 "TV의 동시가입 여부"가 매우 중한 것이지요.
    또한 TV를 동시가입 하는 경우에 한해,
    보조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KT는 거르는(?) 편이 좋겠습니다.


    3. 한편 만족도에 대한 측면도 매우 중요합니다!
    만족도는 크게 2가지로 갈립니다.

    - 인터넷의 만족도 : 대칭형 vs 비대칭형
    - IPTV에 대한 만족도 : UX(UI 및 인터페이스), 콘텐츠 풀(볼륨), 최적화 수준


    먼저 중촌동 주공3단지는
    SK와 KT에서 대칭형 기반의 선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후후후)
    안타깝게도 LG유플러스의 전산 조회 결과는
    유달리 아파트에 한해 매우 부정확합니다.....ㄷㄷㄷ
    (아파트만 대칭형 vs 비대칭형 구분없이 뭉뚱그려 추상적으로 전산 기재가 이루어지거든요~?)

    해서 유플러스의 경우에는 설치기사님께서 내방하셨을 때에
    제대로된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에요 ㅠ

    만약 주공3단지 아파트가 2000년대 이후에 준공된 곳이고,
    아파트 정보통신 2등급 이상을 취득했다면
    이 모든 사항이 기우에 불과했겠지만, 90년도에 준공되었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ㅠ

    수빈이와 + LG전산을 매우 치소서!! 퍽퍽!!


    한편 IPTV에 대한 만족도 측면을 생각한다면?
    SK는 믿고 거르는 것이 좋습니다!

    - LG의 측면 :
    전통적으로 LG의 셋탑박스(하드웨어)는 깨알같은 부가기능으로 명성이 자자한데요~
    뭐.. 사실 안드로이드 기반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으니 당연해보이기도 하지만,
    타 통신사들은 폐쇄적인 정책의 운영체제를 사용중이니 돋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LG유플러스에서 전설의 레전드(?)였던 ST940I-UP 모델을 대체할
    신형 셋탑박스(S60UPI)가 작년 3월에 새로 나왔다는 장점도 있지요!

    사이즈 작아지고 + 성능 좋아지고 + 대기전력 낮아지고 + 이뻐졌기에
    더 할 나위 없습니다. (게다가 신상 아니겠습니까!)
    다만,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에..
    지원되는 소프트웨어(앱)이 적은 단점이 있긴 하나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개선될 것입니다.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0539


    - SK의 측면 :
    SK의 셋탑박스(하드웨어)는 정말 무지막지합니다!
    그나마 신형 UHD 3세대(UHD셋탑박스 출시하고 ->벌써 3번이나 세대교체됨)으로
    넘어오면서 반응속도(Latency) 등이 아주 개선되긴 하였으나...

    1) KT나 LG에 비해 떨어지는 인터페이스
    2) KT에 비해 떨어지는 반응속도 (참고로 KT는 듀얼코어 CPU를 사용하는 주제에 -> 3사중 제일 빠릿빠릿합니다;;)
    3) 3사 통틀어 가장 떨어지는 확장성

    뭐.. 이런 단점들이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ㄷㄷㄷ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8228


    - KT의 측면 :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TV입니다.
    단일 반응속도 면에서는 LG보다 우세하지만,
    LG의 다양한 확장성과 부가기능은 KT에서 따라오지 못하는 부분이죠.

    하지만 KT는 압도적인 콘텐츠 규모를 보유하고 있어요.
    KT는 돈이 진짜진짜 많은 통신사거든요?
    (한국통신 출신의 인프라, 자본, 정경유착(?!) 등으로 다져진 통신사이기 때문입니다^~^;;;)

    즉, KT는 TV 본연의 "맛과 멋"에 치중했다고 볼 수 있어요.
    즉, 빠르고 다양하고 심플합니다.

    그게 KT이고, KT만의 강점이죠.
    안그래도 제가 예전에 작성한 리뷰가 있는데 꼭 봐주시겠어요~?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6953



    - 마저 후드려 까자면... :
    IPTV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셋탑박스라는 하드웨어 측면의 문제 뿐만 아니라
    "통신사 자체의 정책 문제(소프트웨어 측면의 문제)" 도 있습니다.

    SK는 동일한 1080i~P급 화질이라 해도,
    KT와 LG에 비해 실제 송출화면 자체의 품질이 좋지 못한데요~
    (끊김 문제를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그냥 품질 자체가 떨어진다는 겁니다 ㄷㄷ)

    이는 SK가 LG/KT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압축방식(인/디코딩) 으로 동영상을 송출하기 때문인데요~
    이 모든 이유는 "원가절감"입니다.

    데이터(통신)을 취급하는 기간망 통신사들은 결국..
    사용자들이 데이터의 이용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이익이거든요~?
    그런데 IPTV는 동영상을 수신받는 녀석이니
    제법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런고로,
    원본 동영상 소스에서부터 -> 무지막지한(?) 압축을 해야
    데이터 이용량이 적어지게 되고 (전송량 자체가 적어지니까요) ->
    무지막지한(?) 압축은 필연적으로 품질 저하를 야기하게 되죠.

    즉, SK가 원가절감(데이터 이용량을 적게 하는 것)을 위해
    엄청나게 노력한 산물이라고 볼 수 있지요.

    사실... 영상의 무자비한 압축은 그렇다 치고..
    음성(소리)쪽은 더 심하기 마련입니다^~^;;;
    (DOLBY / DTS 등은 꿈도 못꾸죠)


    자, pickles님!
    결론적으로 3사 메이저 통신사의 IPTV상품을 비교할 때
    SK는"어느 쪽에서도 낙제점을 면치 못하는" 그런 존재입니다 ㄷㄷㄷ

    그래서 SK쪽 핸드폰 결합이 존재하는 상황이 아니고서야..
    백메가에서 SK를 제안드리는 일은 흔치 않습니다.

    결국 TV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LG vs KT의 구도가 되겠지요~?


    --------

    여기까지 읽어주셨다면,
    눈은 침침하고 + 머리는 무거우실 것이라 믿습니다^~^;;

    그래서 제가 멋들어지게 정리해볼께요~!

    1. 인터넷만 단독으로 취할 경우에는 KT를 가시는 것이 정답입니다!

    2. 인터넷과 TV를 동시가입하는 경우에는 LG를 취하는 것이 정답이나,
    인터넷 접수 후에 -> 설치기사님 오시면 -> 대칭형이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셔야 해요.
    (어차피 설치가 완료되기 이전에 취소하시면, 요금 /위약금 나가는 일 없이 무사히 해지처리 됩니다^~^)


    흐흐...위 2가지 선택지를 만들어 내기 위해
    다소 긴 분량의 이야기를 적었네요 ㄷㄷㄷ
    귀엽게 봐주실 거죠~?

    인터넷이란 자고로 한번 가입하면 내리 1~3년을 사용하는 상품 아니겠습니까?
    첫단추를 잘 꿰어야 만사가 형통한 법입니다!! (당당)


    그런데 말입니다, 3번 선택지도 있습니다 ㄷㄷㄷ
    (이게 마지막이니, 마저 읽어주셔요 ㅎㅎ;;)

    바로 평화로운(?) 중고나라를 이용해 ->
    1년 정도 약정기간이 남은 인터넷을 양도받아 사용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에는 출장, 이민, 해외 파견 등의 불가피한 사정으로
    약정기간이 임박한 인터넷을
    양도하는 분들이 적지 않거든요~?

    하여 네이버 중고나라에서 "인터넷 양도"라고 검색해보시면
    수~~많은 양도글들을 조우하실 수 있을 겁니다.
    가감없이 솔직하게 말씀드립니다 ㅎㅎ


    pickles 님께서는 3가지 길 중, 어느 길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잊지 않고 백메가 찾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꾸벅! (--)(__)
  • 문의게시판
  • 2932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