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라면 한국통신 시절부터 가장 많이 광랜을 구축해왔고
매년 엄청난 예산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와 품질 걱정이 거~~~~의 없지만
이보다 가난한(?) SK는 "비대칭형"으로 깔려있거나
아예 망 조차 구축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ㅠ
저에게 인터넷을 설치하시려는 곳의 정확한 주소지를 말씀해주시면
이 부분도 함께 고려해보고 말씀드릴게요~!
(공개된 공간이니.. 주소 남겨주신 거 확인하자마자 블라인드해드리겠습니당)
같은 건물이어도 집집마다 깔려있는 망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주소지에 동/호수가 있다면 꼭! 함께 알려주세요 +_+
그래야 더 정확히 확인해볼 수 있답니다.
3. 아마 약정만료일에 맞춰서 딱 설치받으시려는 듯 한데요..!
인터넷 설치는 지역설치점의 기사님 스케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은 가입신청 후 개통까지 평일 기준으로 2~3일 정도 소요되어요.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가입신청 -> 심사 -> 지역설치점 하달 ->
설치기사님 스케쥴 편성 -> 사전연락 조율 -> 설치(개통)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되는데..
심사까지는 긴급으로 빠르게 도와드릴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설치기사님의 스케쥴에 따라서 편차가 발생합니다^^;
택배로 예를 들자면...
쇼핑몰에서 옷을 주문하면 -> 옷을 포장해서 -> 물건 발송까지 빠르게 진행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택배기사님께서 순차적으로 배송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토요일은 많은 분들이 설치를 원하시는 날이고
지금 이사철로 설치가 밀려있기 때문에
당장 이번주에 설치가능할지 확답드리기가 어렵습니다ㅠ
즉!
가입신청을 해야 토요일에 설치가 가능한지
기사님 스케쥴을 확인할 수 있어서요..
이번주 토요일에 설치받기를 원하신다면
되도록 빠른 시간내에 가입신청을 하셔야 해요^^;;
음.. 인터넷 통신사를 재정비하기 전에
은근히 고려해야될 것이 많지요? ^^;;
하/지/만/ 한 번 가입하면 되돌릴 수 없고
또다시 약정기간동안 쭉~~~ 사용하셔야 하니
조금 번거로우시더라도 확실히 짚어보셔야 합니다.
댓글로 아래 세가지만 딱 알려주시겠어요!?
1) 날세님과 가족분들께서 사용 중이신
핸드폰 각각의 통신사와 요금제 이름이 무엇인가요?
2) 인터넷을 설치하시려는 곳의 주소지는 어디인가요?
3) KT를 특정하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요렇게요ㅎㅎ
그러면 모~~~든 상황을 고려해보고 KT가 적합할지,
유리한 통신사가 있다면 어디일지 촥촥 설계드리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함께 말씀해주시고요~!
믿고 문의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당^^
날****
휴대폰은 알뜰 ( 내 혼자 산다 )
**동 **~*.***동
LG sk 다써봤고 kt만 안써봤슴.(tv는 kt가 화질이 좋은가요 ? 엘지빼고 )
운영진 곽은정
@날세요기 아파트라면 SK와 KT 모두 품질 좋은 대칭형으로 깔려있습니다 +_+
(호수는 따로 말씀 안해주셔서 임의로 1202호로 확인했어용)
결합할 핸드폰이 없다면 KT를 강력히 추천드려요~!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하나씩 차근차근 짚어가며 말씀드리겠습니다^^
1. TV 화질에 대해 쪼끔 더 말씀드리면,
사실... 방송사에서 UHD급(2160P) 화질은 커녕
아직 제대로 된 1080P 화질도 송출해주지 못 하고 있어요^^;
(UHD급 컨텐츠 자체도 아직까지 그리 많지 않지요ㅠ)
즉, 1080i 화질로 송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꼭 이 문제로만 국한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1) 인터레이스(1080i) vs 프로그레시브(1080P) 문제 뿐만 아니라
2) 각각 통신사의 동영상 인/디코딩 방식에 따른 차이도 있고요~!
3) 셋탑박스의 처리능력(스펙)에 따른 차이도 있거든요^^;
따라서! 아직까지는 완벽한 1080P 화질이 구현되고 있지는 않지만
KT의 경우에는 주요 채널들에 Pre-UHD 기술을 적용해서 ->
이전보다 화질이 훨씬 좋아졌고요~!
LG와 SK도 주요 채널들(지상파 등)에 대해
화질 상향 투자를 했기에 예전과 많이 달라졌습니다.
쉽고 솔직하게 말씀드려서
KT > LG >>> SK 라고 볼 수 있어요ㅎㅎ
2. SK와 KT의 동급 상품 기준으로 월요금이 동일한데요..
사은품은 SK가 13만원 더 든든히 지급되어요.
요것은 해당 통신사의 시장 지배력이 적으면 많고
시장 지배력이 강하면 적은데
KT는 시장점유율에서 최강자인지라
그만큼 자신만만해서 혜택이 적거든요ㅠ
하/지/만/ KT의 STB Optimizing (셋탑박스 최적화와 관련된 문제들)이
굉~~장히 잘 되어 있어서 채널 전환속도도 빠릿빠릿하고
3사 통신사 중에 지원하는 TV채널수와 VOD 제휴량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현재 타사의 동급TV보다 더 많은 채널수를 지원하고 있고요~!
(KT가 약 210여개라면 LG는 약 150여개, SK는 약 190여개랍니다ㅎㅎ)
서비스되는 VOD는 계속 변경되어서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LG와 SK의 VOD 컨텐츠수를 합쳐야 KT와 비슷하지요 +_+
이는 KT의 지갑(?)이 두둑하고, 가장 오랜 시간동안
시장의 입지를 다져놓았기 때문입니다..!
즉!
사은품까지 고려해볼 때 SK의 요금 편익이 더 좋지만
KT의 품질이 압도적으로 짱짱(!?)이라
약간의 편익을 포기하고 KT를 택하시면 훨씬 만족하면서 이용하실 거예요ㅎㅎ
게다가 괜찮은 조건의 제휴카드도 있어서
요거까지 활용(?)할 수 있답니다 +_+bb
3. TV요금제
1) OTV10 -> OTV12 -> OTV15
이렇게 숫자가 커질수록 지원하는 채널수도 많아지고
요금 부담이 더욱 커지는데요..
꼭 보셔야하는 TV채널이 OTV12나 OTV15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OTV10"만으로도 충분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