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2362 페이지
  • 길동이님의 글

통신 단자함 안에 넣는 장비 중에서 제가 추가할 건 무엇인가요?

회원님의 사진
  • 길동이
댓글 5
  • 조회 6,074
KT 인터넷 1기가 신청 예정입니다. 

보통 KT 기가인터넷 설치시 기사가 기가스위치는 따로 사라고 말한다는 걸 클리앙에서 들었는데요,

그 이외에 제가 직접 교체하거나 추가해야 하는 장비는 무엇인가요?

지금 통신 단자함 안에 있는 장비(분배기, 스위치 등)는 헬로비전에서 KT로 변경시 같이 변경되나요 아니면 그냥 그대로 유지되나요?

단자함 장비는 모두 통신사 소유인가요?

통신사가 설치하는 장비는 모뎀밖에 없나요? 

그리고 만약 분배기가 100메가 밖에 안될 경우, 분배기를 기가전용으로 자가교체 해도 상관 없나요?  

분배기를 기가 전용으로 교체하면 기가 스위치는 따로 필요가 없는 건가요? 

인터폰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경우는 따로 손을 봐줘야 할까요?

 

또한 혹시 아신다면 통신 단자함의 구조에 대해서, 그리고 일반 단자함이랑 기가 단자함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참고해야 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기가스위치를 따로 사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분배기를 교체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둘 다 교체해야 하는 건지요? 

 

백련산 힐스테이트 *차 ***동 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거실에 단자 3개, 안방, 침실 1, 2, 3에 단자 각각 1개씩 있습니다.

단자에는 CAT-5e라고 적혀 있습니다. 

 

전체 댓글 5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님, 안녕하세요~!?
    여러번 만나뵈었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또다른 궁금증이 떠올라 다시 들러주신 듯 한데요~!
    전에 답변드렸던 내용과 중첩되는 이야기도 섞여있네요ㅠ
    제 설명이 부족했었나 봅니다ㅠㅠ 크흡....
    (이전에 남겨주셨던 문의글도 함께 참고해주세용 +_+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319517 )


    1. 먼저.. 통신단자함에 있는 장비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명확치 않습니다^^;
    2000년대 이후 준공된 정보통신등급을 취득한 아파트들은
    아파트 준공당시부터 스위치 허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더러 있어요~!

    다만, 문제는 최근 아파트임에도 불구하고
    100Base 스위치 허브가 달려있는 경우도 은~근히 많습니다 ㄷㄷ

    당연히 이 경우의 장비 소유권은 입주민에게 있으니
    변경(수거)대상이 아닐 뿐더러
    통신사들이 이 기본옵션 장비를 사용하는 일도 거의 없습니다.
    이는 자사의 스위치 모뎀 설치를 우선시하기 때문이지용ㅎㅎ


    2. "분배기"라는 용어가 중의적이어서
    어떤 것을 특정하신 건지 헷갈리는데요ㅠ
    혹~시 RN장비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요것은 댁내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_+


    3. 다른 것은 다 둘째치고(?)
    통신사의 장비들은 모두 리스 방식이에요~!
    통신사가 설비한 것은 -> 해지 시 모두 반납해주셔야 하지요.
    하여 장비 잃어버린 경우에는 어마무시한(?!)
    장비반환금(위약금)을 청구하기도 해요ㅎㅎ


    4. 통신단자함에서 -> 홈네트워크(월패드)까지는
    아예 별도 네트워크가 구축됩니다.

    즉! 길동이님께서 가입하신 인터넷으로 구축하는 것이 아니어서
    따로 손 보셔야할 것은 전~~~혀 없고요 +_+
    보통 입주자협의회에서 통신사랑 계약 맺고 쓰는 망으로 이용합니다.


    5. 댁내에 위치하는 단자함은 오직 하나뿐이지요~?!
    단자함을 굳이 일반단자함과 기가단자함으로 구분치 않거든요^^;

    기가비트급 스위치 허브가 없어더라도 어차피 통신사 장비가 임대되고
    MDF실에서 -> 댁내까지 4페어즈가 아닌 2페어즈의 UTP케이블이 올라온다 하더라도
    증폭방식을 제공하는 녀석인 통신사 모뎀(겸 허브)이 이를 해소하기 마련이에요 +_+b


    6. 길동이님께서 거주하고 계신 아파트는 "대칭형"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어요.
    (참고링크글: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1162 )

    시공사들의 원가 절감으로 Cat.5e 등급의
    UTP케이블이 포설된 것으로 보이나 사용하는 데에 큰 걱정이 없습니다ㅎㅎ
    Cat.5e 등급도 단거리, 노이즈가 없으면 5Gbps도 수용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결국 UTP케이블의 등급은 노이즈와 간섭을 얼마나 차폐할 수 있는지 차이일 뿐이고요~!
    노후화된 아파트 UTP케이블 구내선로가 아니니 1기가는 거뜬해요 +_+


    요약해드리면,

    1) 단자함 내 통신사가 설치한 것은 통신사의 것이고요~! (리스 방식)
      준공당시부터 존재한 것은 입주민의 것이에요ㅎㅎ

    2) 분배기는 스위치 허브로 이해하는 것이 맞을 듯 한데용..
      통신사에서 스위치 허브 겸 모뎀을 가져오니 따로 준비치 않으셔도 되어요^^;

    3) 홈네트워크(월패드)까지는 아예 별도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니
      따로 작업하셔야 될 것이 없습니다 +_+

    4) 단자함은 일반/기가 구분없이 하나만 있을 거예요.

    통신상품이 알수록 참 복잡하지요~? ^^;;
    혹시 헷갈리시는 부분이 있으시면 편히 말씀해주세용
  • 회원님의 사진 길동이
    @곽은정아 그리고 KT에서 모뎀 이외의 장비도 추가로 가져와서 설치해 주나요?
    만약 기사가 기가스위치를 따로 사라고 할 경우 설치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그리고 제가 KT 모뎀을 이 공유기(https://store.ui.com/products/unifi-security-gateway )의 WAN 포트에 연결하여 공유기의 LAN포트에 이 스위치(https://store.ui.com/products/unifi-switch-8-60w )를 연결하여 인터넷을 쓸 예정인데
    KT인터넷으로 이렇게 구축이 가능할까요?
    (계획도: https://i.postimg.cc/tCmq6x7r/2019-02-21.png )
    (단자함: https://i.postimg.cc/FsKcm32G/IMG-3004.jpg )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다소 이야기가 길어질 수 있어서
    아래에서 하나씩 차근차근 말씀드리겠습니다ㅎㅎ


    1. 우선 KT 기가급 인터넷 가입 시
    기사님께서 설치해주시는 모뎀이 스위치 허브를 내포해요.

    KT에서는 UTP장비라는 펫네임으로 부르는데
    WAN 1포트에 LAN 4포트짜리예요 +_+


    2. 재차 말씀드린 것처럼ㅠㅠ 기가급 스위치 허브(LAN 4포트)가 임대되어
    기사님께서 "따로 사라" 하시는 경우는 없습니다 ㄷㄷ
    제가 설명을 미진하게 하여 길동이님 이해를 돕지 못한 거 같아요ㅠ


    3. 길동이님께서 말씀주신 유선AP는 정말 흔치 않게 사용하는 것인데
    (특히나 유무선 AP가 대세인 오늘날에는요^^;;;)
    사용 목적이 무엇인지 개인적으로 너무 궁금합니다ㅎㅎ
    굳이 이 AP(unifi-security-gateway)를 경유하시려는 이유가 어찌 되시나유~? +_+


    4. 결국 KT UTP --> unifi-security-gateway  --> unifi-switch-8-60w --> 기타 스위치
    구조가 되는 것인데 해당 AP 및 다중 스위치 연결성 테스트를
    해 본 적이 없어서 확답드리기가 어렵습니다ㅠ

    논리상으로는 당연히 가능할거라 여겨지지만
    어떤 구조로, 어떤 패킷을 처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어요^^;


    5. 논외지만... POE로 무선AP를 놓으시려는 건가요~!?
    어떠한 상황이신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mesh network 지원모델이 아닌 거 같은데
    몇 년 만에 보는 복잡한 구조네요 +_+


    음... 조금 더 소상하게 설명드리고 싶은데
    요렇게 이용하시려는 것이 흔치 않은 경우라 목적이 잘 이해되지 않아서용ㅠ
    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방도가 있을지 저도 열심히 생각해보겠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길동이
    @곽은정PoE로 무선AP를 작동시킬 계획입니다.
    일반 유무선공유기를 구입하려고 했지만 일반 제품들은 잔고장이 난다는 말이 많아 기업용 유선AP, 스위치, 무선AP를 따로따로 사서 위와 같이 구성하고자 합니다.
    이 방법으로 구성할 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클리앙의 글들을 보면 기사님이 통신사 모뎀에 포트가 부족한 경우에만 따로 스위치를 사서 연결하라고 한다는 글들이 올라오던데, 포트가 부족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아!! 이제서야 길동이님의 의중을 제대로 이해한 듯 합니다ㅎㅎ
    제가 다시 정리해보아도 괜찮으시지용~? +_+


    1. 적어도 4개의 스위치 허브가 필요한 상황이겠군요..!
    그래야 각 방의 한정된 포트보다
    더 많은 단말기(아마존 파이어TV, 콘솔게임기, PC 등)를 수용할 수 있으니까요ㅎㅎ

    여기에서 문제점은...
    KT에서 제공하는 모뎀은 스위치 허브 기능을 겸하는 하이브리드(?)지만
    PoE를 서포트하지 않고요~
    랜포트가 4개 뿐이라 각 방으로 회선을 공급하기엔 충분치 않겠네요ㅠ

    결국 길동이님의 청사진처럼
    KT모뎀 -> AP -> 스위치(8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옳습니다ㅎㅎ

    즉! 기사님께서 "포트가 부족하다" 라고 하시는 경우는
    지금과 같이 "수용해야할 양보다 KT의 모뎀(겸 스위치)의 포트가 적은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어요 +_+


    2. PoE를 지원하는 고가의 스위치를 구매하시는 연유는
    무선AP를 PoE으로 구성하시기 위함이지요~?
    이 부분이 논리적으로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비즈니스군 제품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좋다하여도
    가격, 사후서비스, 접근성 등을 총망라한 "경제성"에서
    과연 우위일 것인가..하는 의문이 들었거든요 ㄷㄷ

    또한, 무선AP가 위치하는 곳은 벽면 랜포트(RJ45)인데
    이 벽면 랜포트에는 필연적으로 전원수여단자(돼지코)가 세트로 구성되기 마련인지라..
    굳~이 PoE 방식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음.. 선이 하나라도 줄어들면 댁내 미관을 증진시켜주겠지만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스위치 장비가 필요하고요..!
    비슷한 가격의 프리미엄 ~ 준 플래그쉽 공유기에 비해
    PoE 무선 AP의 스펙이 모자란 것이 사실이에요ㅠㅠ

    물론.. 이 단락의 의견은 오지랖(?)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_+
    길동이님께서 Unifi 제품으로 이 모든 구성을 일원화하신 것은
    중앙집중적 컨트롤을 구축하기 위함으로 해석되고
    이에 대해 충분한 사전준비(및 시뮬레이션)이 선행되었으리라 믿습니다^^


    3. 하지만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이와 같은 비즈니스용 유선AP + 무선AP + 컨트롤러 + PoE스위치가 난립한
    다중 연결성 테스트를 해본 적이 없는지라 "가능 여부"를 확답드릴 수가 없습니다;;

    당연히 네트워크 이론상 가능할거라 예상되지만
    이론과 현실(변수)의 간극이 있고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이 발생하곤 하더라구요ㅠㅠ
    하여 비즈니스용 제품군의 네트워크 설계를
    대부분 전문 아웃소싱으로 처리하는 일도 이와 같은 연유겠지요~!? ^^;

    흡..ㅠㅠ 가정용 네트워크와 가정용 인터넷에 국한한 지식, 경험인지라
    길동이님께 큰 도움되지 못하는 거 같아 죄송스럽네유ㅠ
  • 문의게시판
  • 2362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