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이라는 닉네임으로 인터넷/TV 문의 드렸던 사람입니다.
굉장히 친절하게 답변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게시판 보니까 모든 문의 글에 정말 친절하게 대응해주시는 모습 보니 더욱 신뢰가 가네요.
다름이 아니라 답변 주신것처럼 저와 와이프가 총 4회선의 SK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황상 1개의 회선만 결합에 이용할 수 있고 온가족 프리가 적합하다는 조언을 얻었습니다.
다만 선택을 하기에 앞서 조사를 해보니,
SKB 의 저화질, 리모컨의 불편함, 메뉴 선택에 대한 딜레이, 껐다 켰을때 이전 보던 채널로 바로 이동하지 않는등
가격적인 메리트를 제외하고는 선택할 이유가 현저히 떨어져 보이는 것 같았습니다.
(참고로 아직도 이런 문제들이 개선되지는 않았나요?)
대체적으로 LG TV-G 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그래서 LG 쪽으로 고민을 하려고 하다보니
결합하여 할인 받을 수 있는 것이 없다 보니 한달에 6,600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더 발생하더라구요.
그래서 신청하기에 앞서 선택에 도움을 받고자 이렇게 다시 질문올립니다.
앞으로 최소 3년 쓸텐데 후회하지 않는 선택을 하지 않고자... 고민에 고민을 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3가지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 본 경험이 없고,
사람들의 글로만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전문가 입장에서 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사용할 거 같습니다.
1. 인터넷으로 다운로드/업로드는 거의 하지 않고 웹서핑만 하는 정도
2. TV 는 평균 일 1~2시간 정도 시청
3. TV 는 지상파를 주로보지만 가끔씩 tvN, m-net, jtbc, xtm, 아기 채널 등의 유명 케이블 방송을 가끔씩 보는 정도라 채널의 갯수는 별로 중요하지 않음.
4. 와이프가 반응성 느린건 굉장히 답답해할 거 같습니다. 기존 TV 수준의 빠른 반응 성을 얻을 수 있는것.
위와 같은 측면으로 봤을 때 SK 스마트 TV 로 큰 문제가 없을지, 6600원정도의 추가부담을 하더라도 LG 로 이동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지.. 혹은 다른 대안이나 추천하고 싶은 정책(?)은 있을 지 조언을 구해 봅니다. (한달에 6600원이더라도 3년이면 23만 7천원 정도이므로 작지는 않는 금액인듯 합니다.)
마지막 고민으로 생각하고, 조언 주시면 그대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