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는 NAT 기능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모뎀에서 받은 공인 IP 1개를 사용해 외부와 통신합니다!
공유기 하위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사설 IP를 받지요
결과적으로 네이버에서 확인한 IP 주소는 동일하게 표시됩니다 ㅎㅎ
(참고로 2.4Ghz / 5Ghz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 차이입니다)
*모뎀 하위의 기기 : ISP에서 바로 공인 IP를 받음
*공유기 하위의 기기 : 공유기에서 사설 IP를 할당받고 NAT를 통해 인터넷 접근
즉,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모뎀을 통해 직접 기기를 연결한다면
다수의 공인IP를 할당 받으실 수 있답니다!
공유기를 제외하고 연결해보시겠어요~?
모뎀에는 4개의 LAN 포트가 있으니,
이 이상 할당받기 위해서는 허브를 따로 구비하셔야 하지요 ㅎㅎ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일단.... 통신사에서는 기본적으로 1개의 유동IP (MAC)을 부여하고요~!
KT는 추가로 3개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약관 상'으로는 4개까지는 가능합니다 ㅎㅎ
다만, KT는 또 '예외적'으로....
알음알음 8개까지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혹시나 5개 이상부터 새로운 IP 부여가 막힌다면
KT 본사로 전화하셔서 슬쩍~ 오픈을 신청하시면 되는 것이죠
다만!
'비공식'적인 것이기 때문에
KT 측에서 언제 제한을 걸 지도 몰라요 ㅠㅠ
(물론 그런 경험담은 들어본 적 없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