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능한 한 셀프 작업을 원하시는 상황에서,
단자함 내에서 무엇을 어디로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도통 갈피가 잡히지 않으시면?
단자함 내부를 찍은 사진을 (댓글로) 올려주시겠어요~!+_+b
그럼 저도 함께 살펴보고 : 최대한 도움 드리겠습니다~!^0^ 아자!
그럼.. 저는 Eileen님의 소식을 기다릴게욧~(∗❛⌄❛∗)
Eileen
랜포트에 랜선꽂아봤는데 연결이 안되네요ㅜ단자함 열었는데 어딜 어떻게 연결하면 될까요??
운영진 최유진
@Eileen회신 주셔서 감사합니당~!^0^
# 오! 단자함 내에 내장된 패치패널 사진이군요!+.+
1. 현재 구조를 아주 쉽게 축약하자면 :
아파트 지하통신실(MDF)에서 → 댁내 통신단자함까지
UTP케이블(= 사진 맨 왼쪽 중간에 <인터넷>이라고 주기된 파란색)이 올라오고요~!
<인터넷> UTP케이블은? → 패치패널을 거쳐
→ <거실1>의 UTP케이블(=사진 <인터넷> UTP케이블 바로 위 <거실1>이라 주기된 파란색)과 연결됩니다.
<거실1> UTP케이블은 → 벽체 내부에 내장된 통신관로(구멍)를 거쳐 → 거실 벽면랜포트와 연결되는 것이지요!ㅎㅎ
결국 현재 시점에서는..! 오직..
거실 벽면랜포트 중 1개에서만 인터넷이 활성화 될 수 있게 구성되었네요~!>.<
이 패치패널은? 1:1 연결만을 관장하기에..
(즉 '스위치 허브' 기능이 없기에..)
단자함 내 <인터넷> UTP케이블과 <거실1> UTP케이블 사이에 =>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 등의 분배자(?)가 존재해야만 합니다!+_+b
요약 정리하자면~? :
- 현재 구조 : <인터넷> ↔ <거실1> ↔ <공유기>
- 목표 구조 : <인터넷> ↔ <단자함 내에 위치한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 ↔ <거실1> ↔ <공유기>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작은방과 연결된 UTP케이블을 찾아,
<단자함 내에 위치한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에 체결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됩니다~!^0^
그런데.. 일단 위 사진상으로는..
단자함 내 스위치 허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ㅠ
보통 통신단자함 내에 아파트(시공사)에서 제공하는 스위치 허브가 존재하거든요~?
물론.. 거실에 있는 공유기를 떼어내고 -> 이를 통신단자함에 설치하면 문제가 쉽게 해결되겠지만..!
이 경우 무선 음영지역이 커지는 문제가 생길 겁니다..;;
(와이파이 주파수 자체가 회절성이 약한 편이라.. 장애물/간섭요인이 많으면? 무선 도달거리가 현저하게 줄어들지요;;)
# 즉, 결론적으로! :
스위치 허브, 공유기, 게이트웨이(모뎀) 등..
'분배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가 통신단자함 내에 있어야 해결되어요~!😉
따라서,
1) 단자함 내에 스위치 허브가 있는지?
2) 혹은 거실 공유기가 설치된 위치에 통신사가 제공하는 모뎀장비가 있는지?
(설치공정/요금제에 따라.. 모뎀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보시겠어요~?+_+b
2. 한편 패치패널에 체결되어 있는 UTP케이블 중 하나가..! 바로 작은방 벽면 랜포트와 직결됩니다!
또한 각각의 UTP케이블은..
<침실1>, <침실2>, <거실1> 등의 주기표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텐데요~!
이는 "어떤 벽면 랜포트와 직결되는 UTP케이블인지" 알기 쉽게 식별하기 위함이랍니다!^~^b
즉, 작은방은~? <침실1>, <침실2>, <침실3> 중 하나가 될 거예요..!
그런데 동일한 주기명을 가진 UTP케이블이
각각 2개씩(?!) 존재할 겁니다!
일례로 <침실1>이라 주기되어 있는 UTP케이블이 "서로 다른 색"으로 한 쌍씩 존재할 텐데요~!ㅎㅎ
이는 1개의 방에 => 복수의 벽면 랜포트를 커버하기 위함입니다.
(보통 방마다 벽면 랜포트가 2개씩은 있을 겁니다! 랜포트 구멍 2개.. 확인되시나용~?!+.+)
찍어주신 단자함 내 패치패널 사진에서도
윗쪽 구역에는 파란색,
아랫쪽 구역에는 흰색 UTP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목격할 수 있지요~?
이 2가지(파란색, 흰색)는 용도/기능상의 차이는 없고,
그저 눈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상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후후
(사실은 국선전화용/데이터용을 구분하기 위함이지만, 오늘날에는 이 둘을 동일 스펙(규격)으로 구성하니 별 상관 없습지요!)
# 즉, 정리하자면 :
1) 작은방은? 침실1~3 중 하나입니다.
2) 그런데 작은방 벽면 랜포트가 2개 이상 있을 거예요. 그게 파란색일 수도, 흰색일 수도 있습니다.
3) 따라서, 위 1번에서 말씀드린 스위치 혹은 공유기에 체결해보면서.. 일일히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 회사에 전화하니 돈주라고 해서 유튜브 보고 혼자 했어요
백메가 미소지기 최유진이에요~♥.♥
오! 저희 백메가를 통해, 2020년 1월 18일! LG인터넷을 설치받으신 고객님이시군요~?!
잊지 않으시고 백메가를 다시 찾아주셔서 넘넘 고맙습니다~!^0^
# 말씀하신대로..! 지금은 Eileen님댁에서는
거실 티비쪽에 설치된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해서
무선인터넷 (= 와이파이 접속)을 주로 이용하고 계시며..!
앞으로는 작은방에 데스크탑을 설치하여, 유선인터넷도 이용하고자 하신다면~?!
1. 인터넷 회선을.. '추가로' 가입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을 하나 더 추가로 가입하시는 것은? 너~무 큰 낭비니까요..ㅠ)
2. Eileen님께서 원하시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이용하시는 경우는 너무나 많고요~!
심지어 요즘은 한 가정에 PC를 2대 이상 이용하는 경우도 흔한 걸요..!ㅎㅎ
하여, 이런 경우라면~?! 어쨌거나 작은방에도 랜선만 잘 연결해주면 그만인데요!^~^b
3. 만약..!
댁내 단자함이 따로 없는.. 단독주택이었다면~?!
우리집에 인터넷선이 최초 인입되는 위치 위치 (= 보통 모뎀이 놓여있는 장소)에서부터..!
모뎀 하위에 (혹은 모뎀 -> 공유기 -> 하위에!) 랜선을 추가로 연결하여!
원하시는 지점까지 이 랜선을 쭉~ 빼와서 이용하시게 되고요~!>.<
4.반면에..!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집합건물이라면~?!
각 방마다 랜포트 (= 벽면 랜선 구멍^^)이 잘~ 포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요~!
보통.. 우리집에 인터넷선이 최초 인입되는 위치는 : 단자함 (= 신발장 쪽에 주로 위치)이 되며..!
이 단자함 내에서 -> 댁내 각각의 벽면 랜포트에 (거실, 방 등등)
인터넷선을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내부관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_+b
(즉, 집안 내부 벽면 곳곳?에 : 이미 UTP케이블이 잘~ 깔려있다는 뜻!ㅎㅎ)
특히.. 준공된지 얼마 안된 건물이라면~?!
이렇게 단자함 ↔ 각 벽면의 랜포트 : 연결이.. 이미 '활성화' 되어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 하여, Eileen님께서.. 2년 전 설치 주소지에 그대로 거주중이시라면~?!
여기는 2018년 준공된 좋은 아파트답게!
벽면 랜포트 활용에 문제(?)가 생겼을 확률은 매우 낮고요~!
즉! 원하시는 유선인터넷 연결을 : 셀프로(!) 하시는 것도! 어렵지 않을 수 있겠네요!^~^*
(위에 댓글 남겨주신 김진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말이지요~! 후후)
따라서..! 댁내 단자함을 찾아서 한번 열어보시겠어요~?
+
혹시라도.. 단자함을 찾기 어려우시거나..!
셀프 작업이 막막하시거나~?
랜선을 따로 준비 못하셔서.. 어차피 비용 발생이 불가피하거나? 하면..
그냥 LG본사로 전화하시어 '댁내 이전 설치'를 요청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ㅎㅎ
(그럼 기사님 출동비가 발생하겠지만, 기사님께서 알아서 다~ 설치/셋팅해주시니 편하고 좋지요)
++
가능한 한 셀프 작업을 원하시는 상황에서,
단자함 내에서 무엇을 어디로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도통 갈피가 잡히지 않으시면?
단자함 내부를 찍은 사진을 (댓글로) 올려주시겠어요~!+_+b
그럼 저도 함께 살펴보고 : 최대한 도움 드리겠습니다~!^0^ 아자!
그럼.. 저는 Eileen님의 소식을 기다릴게욧~(∗❛⌄❛∗)
# 오! 단자함 내에 내장된 패치패널 사진이군요!+.+
1. 현재 구조를 아주 쉽게 축약하자면 :
아파트 지하통신실(MDF)에서 → 댁내 통신단자함까지
UTP케이블(= 사진 맨 왼쪽 중간에 <인터넷>이라고 주기된 파란색)이 올라오고요~!
<인터넷> UTP케이블은? → 패치패널을 거쳐
→ <거실1>의 UTP케이블(=사진 <인터넷> UTP케이블 바로 위 <거실1>이라 주기된 파란색)과 연결됩니다.
<거실1> UTP케이블은 → 벽체 내부에 내장된 통신관로(구멍)를 거쳐 → 거실 벽면랜포트와 연결되는 것이지요!ㅎㅎ
결국 현재 시점에서는..! 오직..
거실 벽면랜포트 중 1개에서만 인터넷이 활성화 될 수 있게 구성되었네요~!>.<
이 패치패널은? 1:1 연결만을 관장하기에..
(즉 '스위치 허브' 기능이 없기에..)
단자함 내 <인터넷> UTP케이블과 <거실1> UTP케이블 사이에 =>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 등의 분배자(?)가 존재해야만 합니다!+_+b
요약 정리하자면~? :
- 현재 구조 : <인터넷> ↔ <거실1> ↔ <공유기>
- 목표 구조 : <인터넷> ↔ <단자함 내에 위치한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 ↔ <거실1> ↔ <공유기>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작은방과 연결된 UTP케이블을 찾아,
<단자함 내에 위치한 공유기나 스위치 허브>에 체결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됩니다~!^0^
그런데.. 일단 위 사진상으로는..
단자함 내 스위치 허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ㅠ
보통 통신단자함 내에 아파트(시공사)에서 제공하는 스위치 허브가 존재하거든요~?
물론.. 거실에 있는 공유기를 떼어내고 -> 이를 통신단자함에 설치하면 문제가 쉽게 해결되겠지만..!
이 경우 무선 음영지역이 커지는 문제가 생길 겁니다..;;
(와이파이 주파수 자체가 회절성이 약한 편이라.. 장애물/간섭요인이 많으면? 무선 도달거리가 현저하게 줄어들지요;;)
# 즉, 결론적으로! :
스위치 허브, 공유기, 게이트웨이(모뎀) 등..
'분배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가 통신단자함 내에 있어야 해결되어요~!😉
따라서,
1) 단자함 내에 스위치 허브가 있는지?
2) 혹은 거실 공유기가 설치된 위치에 통신사가 제공하는 모뎀장비가 있는지?
(설치공정/요금제에 따라.. 모뎀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보시겠어요~?+_+b
2. 한편 패치패널에 체결되어 있는 UTP케이블 중 하나가..! 바로 작은방 벽면 랜포트와 직결됩니다!
또한 각각의 UTP케이블은..
<침실1>, <침실2>, <거실1> 등의 주기표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텐데요~!
이는 "어떤 벽면 랜포트와 직결되는 UTP케이블인지" 알기 쉽게 식별하기 위함이랍니다!^~^b
즉, 작은방은~? <침실1>, <침실2>, <침실3> 중 하나가 될 거예요..!
그런데 동일한 주기명을 가진 UTP케이블이
각각 2개씩(?!) 존재할 겁니다!
일례로 <침실1>이라 주기되어 있는 UTP케이블이 "서로 다른 색"으로 한 쌍씩 존재할 텐데요~!ㅎㅎ
이는 1개의 방에 => 복수의 벽면 랜포트를 커버하기 위함입니다.
(보통 방마다 벽면 랜포트가 2개씩은 있을 겁니다! 랜포트 구멍 2개.. 확인되시나용~?!+.+)
찍어주신 단자함 내 패치패널 사진에서도
윗쪽 구역에는 파란색,
아랫쪽 구역에는 흰색 UTP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목격할 수 있지요~?
이 2가지(파란색, 흰색)는 용도/기능상의 차이는 없고,
그저 눈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상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후후
(사실은 국선전화용/데이터용을 구분하기 위함이지만, 오늘날에는 이 둘을 동일 스펙(규격)으로 구성하니 별 상관 없습지요!)
# 즉, 정리하자면 :
1) 작은방은? 침실1~3 중 하나입니다.
2) 그런데 작은방 벽면 랜포트가 2개 이상 있을 거예요. 그게 파란색일 수도, 흰색일 수도 있습니다.
3) 따라서, 위 1번에서 말씀드린 스위치 혹은 공유기에 체결해보면서.. 일일히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고자 했는데, 와닿는 설명이었는지 모르겠네요~! (헥헥;;)
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 남겨주세요~!(•̀ᴗ•́)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