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ellularhacker입니다.
100mb에서 딱히 후기글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소소하게나마(?) 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우선 제 방의 벽 단자부터 소개합니다.
- 싱글모드 OS2 광케이블 8가닥이 들어가있는 케이블 <8개 중 1개 - KT>
- CAT.6 UTP 케이블 <SK Broadband>
- CAT.5E UTP 케이블 <LG U+>
이렇게 회선이 뽑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저희 빌라의 경우, SK Broadband와 LG U+는 FTTB방식으로 설치가 되어서, 부득이하게(?) UTP를 쓰고 있습니다.
이 선들은 어디론가 이어져(?) 아래의 사진에 있는 통신랙의 장비에 꽂힙니다.
지금은 SKB, LG U+, KT 유선 각 1회선과 KT LTE 1회선 을 Load-balancing(부하분산) 및 회선 하나가 죽었을때에, 다른 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백업망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Google서비스와 Netflix서비스는 pfSense라는 오픈소스 방화벽(UTM)에서 LG U+를 먼저 나가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3사중에 Google Global Cache 가 가장 잘 되어있는 통신사이기 때문이죠;;)
아래는 8 Core 광케이블을 보호하고 있는 8포트 광 단자함입니다. 주로 이런건 빌라 MDF실 등에 있지 집안에 있지는 않죠 ㅎㅎ;
2. 세대 단자함(댁내 단자함)
- 언젠가 시간이 되면 찍어올리겠습니다; 지금은 랜선 두개는 각각 커플러로, 광케이블은 8가닥 중 2가닥을 광융착기로 융착하여 MDF실까지 내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MDF실
- 케이블 색상별로 표시를 하였습니다. 보기가 살짝 어렵긴 하네요.
- 저희 빌라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광단자함 별 수용가능 광케이블 회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KT : 8/8 모두 사용(E-PON; Up: 1.25Gbps/Down: 1.25Gbps)
LG U+ : 1/4 사용(FTTB장비, E-PON; Up: 1.25Gbps/Down: 1.25Gbps)
SKB : 1/4 사용(FTTB장비, G-PON; Up: 1.25Gbps/Down: 2.5Gbps)
충분히 SK와 U+에서도 광케이블로 넣어줄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안해주는지는 (왠지 알 것 같지만) 이야기를 안해주시네요 ㅠㅠ
우선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저희 빌라에서 U+는 저희집밖에 현재 사용하는 집이 없어서 사실상 FTTH와 같은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_<)
4. Q.결론 그래서 설치 후기는??????
A. 조금 깁니다.
1) KT - ADSL부터 함께해온 친구이자 동반자(?)인데 비싸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사용해보니 ....... 비싸면서도 울며 겨자먹기로 KT를 사용할수 밖에 없네요. KT가 백본망의 여유도 좋고, 특히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광케이블의 지분율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해외서비스(Github, Stackoverflow 등)를 사용하는 저에게는 선택권이 없는 듯 합니다...
2) LG U+ - 소유한 미국으로 가는 광케이블이 없는것 치곤 정말로 Google Service가 빠릅니다. 매일 NAS를 증분백업하는데도 불구하고, Upload는 느리겠지-? 했지만 실제로는 엄청나게 빨랐습니다.
3) SK Broadband - ...일단 광케이블 하나(G-PON; Up:1.25Gbps/Down:2.5Gbps)를 4개의 집이 같이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그럭저럭입니다... KT랑 LG는 심심찮게 900Mbps 이상 속도 측정이 되는데, SK는 기사님께서 측정 장비로 측정하실때 빼고는 500~700Mbps 내에서 왔다갔다 하는 것 같습니다. SK우선적용하여 우회해서 사용중인 트래픽이 없어서 아쉽게도 실 사용기는 조금 더 후에나 올려야 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_ _)
+ 추신) 저 사진에 보이는 난장판 때문에 (선이 얽혀있다가 인터넷 고장나는게 싫어서(...)) 이 모든 삽질이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