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인터넷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KT인터넷 회선이 창문으로 인입(타공) 가능한 상황이어야 하는데
애기님 댁의 환경이 요것이 가능해야만 하거든요..!
이 경우가 아니면 개통이 거~~~의 불가하다고 보셔야 한답니다.
왜냐하면!?
보통 건물 지하(혹은 1층) 통신실에서부터 ->
각 호실(집)로 1개의 인터넷 회선만 올라가도록 구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개의 인터넷 회선이 1개의 호실(집)에 공존하기 위해서는
건축 당시부터 이를 지원할 수 있게 설계가 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가정에서 2개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수요가 거의 없다보니
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 역시 거의 없거든요ㅠㅠ
또한, 요것은 미리 확인이 불가하여 기사님 내방 확인이 필수인지라
일단 가입 진행 후 -> 설치기사님께서 내방하실 때 ->
가능한지 확인해보고 설치 진행을 하셔야만 해요.
만약 설치불가 판정이 나서 취소하시더라도
기사님 출동비(설치비)나 위약금 등의 문제는 없으니
이는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ㅎㅎ
그나저나.. 가능한 경우, 인터넷 회선 하나 더 들이는 것이 마음 편하겠지만
인터넷 요금을 이중으로 납부하셔야 해서 요것이 쪼끔 아까워요ㅠ
하여 몇 가지 상황을 확인해보고 알려주시겠어요~!?
추가로 가입하는 것이 해법일지 함께 고민해드리겠습니다 +_+
1. 끝방 쪽은 인터넷이 전혀 안된다는 말씀은 와이파이(무선 인터넷)를 의미하는 건가요?
아마 유선 인터넷이 아닌 무선 인터넷을 말씀주셨을 듯 한데
제 추측이 맞는지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심정으로 여쭈어요ㅎㅎ
2. 혹시 댁내 네트워크 모식도는 어떻게 되어있나요?
즉, 댁내에 들어온 인입선 이후에 기기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각 기기의 모델명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모뎀 (MNG-6620) -> SK 임대 공유기 (H524G) -> PC
요런식으로 말이지요~!
3. 댁의 정확한 주소지는 어디인가요?
혹시 SK인터넷의 원천 망 품질에 문제가 있는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어요.
인터넷은 크게 "대칭형"과 "비대칭형" 이렇게 2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요건 선택 불가하고, 각 통신사에서 포설한 망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려 대칭형으로 제공되면 -> 큰 문제없지만
비대칭형이면 -> 인터넷 속도와 끊김 문제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답니다.
인터넷은 우리가 앞으로도 쭉쭉 사용해야 하고
이 대칭형 vs 비대칭형은 아주 중요한 문제여서
조금만 시간내시어 아래 꿀팁글도 찬찬히 한 번 읽어주시겠어요?
어떤 이야기인지 쏙쏙 이해되실 거예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