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치원일진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아마 각각 단말기에 공인IP를 부여받고자 하시는거죠?
일단 인터넷 요금제를 어느 것으로 택할지와 무관하게
규정상 공인IP는 1개만 이용할 수 있고요^^;
이는 모든 통신사가 동일합니다.
다만, 스위치 허브로 단말기를 연결하여
ISP(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쪽에 공인IP를 각개 요청하면
KT는 약 8개, LG유플러스는 최대 2개,
SK는 (국사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대략 5~6개는 가능해요.
허나..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 이 공인IP 요청 성공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ㄷㄷ
통신사에서 KFI(통신사업자 트래픽 관리규정)를 이유로
얼마든지 중지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2. 공인IP 사용은 둘째치고(?) 인증수 제한 문제가 있습니다ㅠ
일반 가정용 인터넷에선 단말기 2대까지만 허용해주어
3대 이상 사용하는 경우엔 인증수 제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아래 링크주소를 클릭하시어
관련 꿀팁글도 찬찬히 한 번 읽어주시겠어요?
어떤 이야기인지 쏙쏙 이해되실 겁니당^^
- 인증수 제한? 왜 여러 대의 컴퓨터로 인터넷을 못해?: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244
3. 아마 기존 댁에 인터넷을 추가 가입하시려는거죠~?
하나의 호실에 인터넷 회선 총 2개가
공존할 수 있는지는 건물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애초부터 대부분의 건물들이 건물 지하(혹은 1층) 통신실에서부터 ->
각 호실로 1개의 인터넷 회선만 올라가도록 구축되어 있다보니
외부에서 타공없이 선 인입이 불가해요ㅠ
따라서! 2개 이상의 인터넷 회선이 1개 호실에 공존하기 위해서는
창문 등 타공을 통해 설치해야하고,
환경에 따라 설치가능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건 기사님께서 내방하시어 주변 환경을 살펴보셔야 알 수 있습니다.
자, 결국...
1) KT는 공인IP를 약 8개까지 사용가능하긴 합니다.
2) 다만, 이용 중 중지 혹은 인증수 제한 문제를 겪을 수 있고요ㅠ
3) 기존 인터넷 회선과 새로운 인터넷 회선 모두 이용할 수 있는지는
기사님께서 내방 확인하셔야 확실하게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