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stac****님의 글

인터넷을 쓰지 않는 로컬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스위치만 있어도 될까요?

회원님의 사진
  • stac****
댓글 3
  • 조회 12,533
1. 컴퓨터 3대와 프린터 한 대가 있는 상황에서.
L2 스위치와 각 기기들을 연결하면 서로 통신을 정상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나요?
각 기기들은 Ip는 192.168.0.x대로 고정할것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으로 할것이고 게이트웨이는 라우터가없으니까 아무렇게나 써도 될것 같은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나요?

2. 위와같은 상황에서 인터넷을 연결한다면 모뎀에서 스위치로 추가연결만 해주면 될까요? 내부ip는 고정ip쓸거라 dhcp기능은 없어도 됩니다. 추가연결하고 게이트웨이만 모뎀 내부 ip로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전체 댓글 3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staccAto님~!
    최근에 만나뵈었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

    오옷.. 그러니까 외부와 격리된 내부망을 구성하는 것이지유~?!


    1. 개념상으로 당근 맞습니다ㅎㅎ

    어차피 내부망의 필수조건은
    각 클라이언트의 IP(192.168.0.xxx)와 서브넷마스크 뿐이고요~
    기본 게이트웨이는 외부망과 연결될 게이트웨이(라우터)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니 무관합니다.

    다만, 기본 게이트웨이 자리에 "언젠가" 외부망과 연결될 라우터가 위치할 것이니
    아무렇게나(?) 쓰지는 마시고 D클래스 1번으로 공석 지정하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요? ㅎㅎ
    인트라넷 구성을 학창시절에나 깨작깨작(!?) 해봐서 가물가물하네요^^;;;


    2. 여기서부터 개념 오류가 생기는데
    모뎀 -> 스위치 ->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연결되는 형태라면
    내부망의 공유 문제 이전에...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퍼블릭IP를 할당받게 됩니다.

    그래도 상관없으신가요~?
    또한, ISP측에서는 명목상 1개의 퍼블릭IP만을 할당하게 되어 있기에
    클라이언트가 다수의 퍼블릭IP를 요청하면 추후 QoS의 명분이 된답니다..ㅠ

    즉! 기본적으로 라우터(공유기)를 선두배치하여
    NAT를 거는 것이 제일 효율적이에요 +_+bb


    음... 구성 그리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회원님의 사진 stac****
    아아아 친절한 답변감사드립니다~ ㅜ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staccAto인사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ㅎㅎ

    전국적으로 아침부터 비 내리면서 날씨가 급 추워졌는데 감기조심하시고요ㅠ
    (오늘 긴 옷 안 입었으면 덜덜 떨면서 출근할 뻔했네요 ㄷㄷ)
    새로운 한 주도 즐겁게 시작하세용..!
  •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