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가정용 인터넷 상품으로
100%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요ㅠ
그렇다고 기업용 인터넷을 청약하기에도 제한사항이 따릅니다.
일단 가정집 주소지에는 기업용 상품이 청약 자체가 불가하고
요금도 상대적으로 조금 더 비싸기 때문이지요^^;;;
음.. "유동 혹은 공인"이라 말씀해주신 것으로 보아
각 단말기들의 공인IP 획득이 필요조건은 아닌 듯 한데요ㅎㅎ
일단 결론적으로는 어느 통신사든지 가정용 인터넷으로 단말기를 추가하시어
단말기 최대 5대까지는 (유동IP로) 어찌어찌 이용할 수는 있지만
(물론 일반 사용자보다 비용 부담은 조금 더 크겠지유? ^^;)
요것이 아니면 불가합니다ㅠㅠ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아마 말씀주신 상황을 미루어보아
댁에서 단말기 여러대를 이용하려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_+
우선 규정상 공인IP는 1개 뿐이고요~
이는 모든 통신사가 동일한 상황입니다^^;
다만, 스위치 허브로 단말기를 연결하여
ISP(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쪽에 공인IP를 각개 요청하면
LG는 최대 2개, KT는 약 8개, SK는 (국사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대략 5~6개는 가능해요.
1) 문제는 이 공인IP 요청 성공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ㄷㄷ
통신사에서 KFI(통신사업자 트래픽 관리규정)를 이유로
얼마든지 중지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2) 공인IP는 둘째치고(?) 인증수 제한 문제가 있습니다ㅠ
단말기 3대이상 사용 시 인증수 제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거든요^^;
아래 링크주소를 클릭하시어 찬찬히 살펴보시면
어떤 이야기인지 쏙쏙 이해되실 거예용~!
- 인증수 제한? 왜 여러 대의 컴퓨터로 인터넷을 못해?: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244
즉, 가정용 인터넷 상품으로
100% 원활하게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요ㅠ
그렇다고 기업용 인터넷을 청약하기에도 제한사항이 따릅니다.
일단 가정집 주소지에는 기업용 상품이 청약 자체가 불가하고
요금도 상대적으로 조금 더 비싸기 때문이지요^^;;;
음.. "유동 혹은 공인"이라 말씀해주신 것으로 보아
각 단말기들의 공인IP 획득이 필요조건은 아닌 듯 한데요ㅎㅎ
일단 결론적으로는 어느 통신사든지 가정용 인터넷으로 단말기를 추가하시어
단말기 최대 5대까지는 (유동IP로) 어찌어찌 이용할 수는 있지만
(물론 일반 사용자보다 비용 부담은 조금 더 크겠지유? ^^;)
요것이 아니면 불가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