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난강입니다.
현재 kt 기가콤팩트 + otv10(2개) + 일반전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간에 추가한 iptv의 약정은 8월 4일에 만료되고, 최초에 가입한 인터넷 + tv + 전화는 약정을 다 채운지 7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가족구성원은 4인으로
sk 33000요금제 1명, 알뜰요금제 3명 입니다.
여기서 재약정을 할지, sk나 lg로 이동을 할지 고민인데요
핸드폰 결합을 고려하면 sk로 가야하는게 맞으나
가족들이 iptv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페이스나 반응속도 등 셋중에 sk가 안좋다고 알려져서 고민중이에요.
그래서 가격차가 많지 않다면 kt 재약정이나 lg 이동을 생각하고 있어요.
(sk를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도 1년 뒤 약정이 끝나고 쓰는 통신사로 이동 가능합니다.)
여기까지가 현재 상황이고
------------------------------------------------------------------------------------------------------
여기서부터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우선 인터넷 + 티비2 + 전화의 결합상품이 예전에 비해 가격이 많이 올랐나요?
현재 핸드폰결합 등 아무런 할인없이 51000원 정도의 금액을 내고 있는데, 지금은 많이 오른 것 같아요.
고지서를 보니,
[인터넷 27500원 / 티비(1)14300원, 티비(2)8800원 + 전화 1100원]
대략 이렇게 나오네요.
특히 전화 같은 경우 당시에 tv,인터넷과 함께 쓰면 할인되었는데 (4400 > 1100) 지금은 오히려 금액이 커지나요?
예를 들어 현재 kt의 경우 인터넷+tv+일반전화 48950이고 iptv 추가시 +8800원해서 57750원인가요?
(게시된 요금표 참고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전화를 쓰면 지금 053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가 바뀌나요?
2. 1번의 질문처럼 가격이 많이 올랐다면 오히려 재약정이 유리할 수 있나요?
번거로우시겠지만 '인터넷500 + 티비2 + 전화' 기준으로 lg나 sk와 가격 비교 해주실 수 있을까요? (사은품 포함)
어떤게 가장 좋을까요?
3. sk나 lg의 경우 8월부터 추가 iptv가격이 달라진다는데, 약정 며칠 차이로 혜택을 못 받을거 같아요.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또 lg iptv는 무조건 베이직 기준으로 써 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4. 복지할인이 가능한데 쓰일 곳이 있을까요?
5. 세 통신사모두 추후 핸드폰결합은 결합시기 등 제한 없이 자유롭게 가능한가요?
6. (혹시 아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NAS를 구입할 예정인데 lg 셋톱박스의 경우 plex나 kodi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
plex 또는 kodi 내에서 lg 리모콘으로 다 조작이 가능한가요?
또 sk 셋톱박스의 경우는 어떤가요?
쓰다보니 질문이 많아졌어요.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집주소는 대구 ***구 ***동 ***로 *** ****** ***동 ***호 입니다.
+)) 개인적으로 쓰는 공유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