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KT가 유독 인증수 제한 이라는 이슈에 적극적이라고 들었고 걱정스러운 마음에 문의드립니다 ㅠㅠ
지금 현재 ont-u104cn라고 적힌 모뎀을 사용중입니다.
광랜(?)이 꽂혀있고 LAN 포트가 4개 있습니다.
1) 4개의 LAN포트에 모두 PC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인증수 제한에 걸리나요?
2) 광랜 모뎀의 LAN포트 1개와 유무선공유기를 연결한 후, 유무선공유기에 PC를 4대 연결해서 사용한다면
1번상황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3) 2번 상황도 인증수 제한에 해당하나요?
4) 인증수 제한이라는 것이 IP주소 1개로 여러대의 기기를 사용하는것인지(무선공유기를 사용하는 일반적 환경)
아니면 1회선 가입자가 여러개의 IP주소를 사용한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 2번 상황은 공인IP 1개를 할당받고 유무선공유기 내에서 사설IP를 여러개 이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1번 상황은 어떤가요? 4대 PC 모두 공인IP를 따로 할당 받게 되나요?
6) 1회선 가입자에게 LAN포트가 4개 있는 모뎀을 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모든 LAN포트를 이용하는것이
합법적인것인가요?
7) 통신사 입장에서 각 회선가입자를 식별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모뎀의 MAC주소와 가입자를 연결시키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__)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오옷 문의주신 내용을 찬찬히 읽어보았는데요 +_+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내용이지만
통신사에서 정책을 공개하지 않다보니 궁금한 점이 많으신 듯 합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짚어가며 최대한 쉽게 정리해드릴게용..!
1) 4개의 LAN포트에 모두 PC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인증수 제한에 걸리나요?
규정상으로는 1개의 회선에 단말기 3대 이상 사용하시면
인증수 제한의 표적이 됩니다ㅠ
물론.. 실제로 QoS가 걸리거나 QoS가 걸리는 시간(텀)은 제각각이어서
어찌보면 복불복(!?)이라고 볼 수 있어요 ㄷㄷ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글을 참고해주시겠어요~!?
어떤 이야기인지 쏙쏙 이해되실 거예요 +_+
- 인증수 제한? 왜 여러 대의 컴퓨터로 인터넷을 못해?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244
2) 광랜 모뎀의 LAN포트 1개와 유무선공유기를 연결한 후,
유무선공유기에 PC를 4대 연결해서 사용한다면 1번상황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라우터(AP)와 모뎀(스위치 허브)의 개념부터 정리하시면 도움이 될 것이에요.
AP와 스위치 허브의 생김새가 매우 유사하나 네트워크 매커니즘에는 차이가 크거든요^^;
스위치 허브는 단순히 네트워크의 길을 여러갈래로 쪼개주는 역할을 하고요~!
AP는 내부 네트워크의 수문장 역할을 수행하지요..
1번 질문과 연결방식에는 하등 상관이 없는지라
어떤 방식으로 연결해서 이용하셔도
"인증수 제한"에 걸릴 수 있어요 ㄷㄷ
3) 2번 상황도 인증수 제한에 해당하나요?
네넵~! 앞서 말씀드린 거처럼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4) 인증수 제한이라는 것이 IP주소 1개로 여러대의 기기를 사용하는것인지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는 일반적 환경)
아니면 1회선 가입자가 여러개의 IP주소를 사용한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스위치 허브에 각 단말기들을 직결하면
각각의 공인IP 주소를 할당받게 되고
AP 하위에 단말기들을 직결하면 공인IP는 1개만 할당받습니다ㅎㅎㅎ
하/지/만/ 이 공인IP의 할당여부와 인증수 제한 조치는 별개이기 때문에
인증수 제한 조치는 "단말기의 대수"와 연관이 있어요.
5) 2번 상황은 공인IP 1개를 할당받고 유무선공유기 내에서 사설IP를 여러개 이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1번 상황은 어떤가요? 4대 PC 모두 공인IP를 따로 할당 받게 되나요?
위 "4번" 답변에서 함께 말씀드렸습니다 +_+
6) 1회선 가입자에게 LAN포트가 4개 있는 모뎀을 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모든 LAN포트를 이용하는것이
합법적인것인가요?
요것은 여러가지 네트워크 상황에 대응하기 위함이고요~
그 포트를 전부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함이 아닙니다ㅎㅎ
예를 들어,
댁내에서 단말기 1대 + IPTV 2대를 사용한다면
이를 각각 스위치 허브에 직결로 연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多)포트 허브가 필요해요~!
특히, KT의 IPTV는 공인IP를 할당해야
정상동작을 하기 때문에 더더욱 유의미합니다 +_+
7) 통신사 입장에서 각 회선가입자를 식별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모뎀의 MAC주소와 가입자를 연결시키나요?
통신사의 QoS 모니터링 규정은 대외비여서 알 수 없습니다ㅠ
규정을 공개한다는 것은.. 곧 규정을 우회하고자하는
사용자들에게 매뉴얼을 주는 것과 진배없기 때문이지요.
일단 MAC주소 확인은 기본이고요~!
HTTP 헤더의 user-agent 정보를 java 애플릿으로 파싱하여
개별 단말기를 식별하고 있습니다ㅎㅎ
이와 같은 방법론은 시기마다 바뀌고 진화해서요..
지금 아는 정보가 미래에도 동일하다 여길 수는 없습니다^^;
음... 은~근 복잡한 듯 쉽지요? +_+
혹시 또다른 궁금증이 있으시면 말씀 남겨주시고용..!
믿고 문의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