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헌 월드의 경우 클라이언트 서버를 국가별로 분리하지 않고
글로벌 통합 형태로 운영하는데요~
1) 해외망과 국내망 사용자가 동시 접속하는 경우, 망 품질 차이로 인해 순단(렉)이 발생할 수 있고
2) 애초부터 몬헌 서버 자체가 좀 불안정하기도 합니다;;;
또한 중계사인 PSN(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또한 불안정의 극치로 유명하죠!
(저는 KT망 쓰고 있는데, 저도 가끔 튕깁니다;;)
-----
자, 이 밖에도 통신 장애의 원인으로
지목할 수 있는 것들은 무궁무진합니다!
하지만 위에 기술한 2가지 중 하나가
문제의 원인이라는 촉이 듭니다 (제 촉은 좀처럼 빗가가는 일이 없죠^~^)
하여 5가지를 여쭙고자 합니다^~^
1. 운영체제는 윈도우지요? 버전이 어떻게 되십니까?
2. 정확한 품질상태와 및 망종류(대칭형/비대칭형) 확인법은 "인터넷 속도측정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ㅎㅎ
벤치비 (http://benchbee.co.kr )에서 속도를 측정해주신 후,
그 결과를 캡쳐하여 댓글로 남겨주실 수 있나요? (댓글에 이미지 첨부가 가능합니다^^)
3. 공유기를 사용중이시죠? 모델명을 알 수 있을까요?
4. 그래픽카드 모델을 알려주시겠어요? (저는 지포스 980TI를 사용중입니다!)
5.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까?
위 5가지 사항에 대해 화답해주시면,
버선발로 달려와 맞이하겠습니다^~^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방****
@이수빈1. 운영체제는 윈도우지요? 버전이 어떻게 되십니까?
윈도우10이고 항상 최신 업뎃하고있어요
2. 정확한 품질상태와 및 망종류(대칭형/비대칭형) 확인법은 "인터넷 속도측정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ㅎㅎ
벤치비 (http://benchbee.co.kr )에서 속도를 측정해주신 후,
그 결과를 캡쳐하여 댓글로 남겨주실 수 있나요? (댓글에 이미지 첨부가 가능합니다^^)
speedtest에서 해보면
와이파이 다운/업 테스트해보면 350정도 나옵니다..
창 두개 띄워두고 업로드중에 다운로드 되도록 걸어본다던가 반대로 해보면
다운로드중엔 업로드가 20으로 뚝 떨어지고
업로드중엔 다운로드가 20으로 뚝 떨어지네요
20이면 초당 2메가바이트인데 ㅠㅠ
집에 사람 다 있는 저녁이면 치명적인..
비대칭인거겠져?
3. 공유기를 사용중이시죠? 모델명을 알 수 있을까요?
회선 - 기가GW - 기가WIFI - 와이파이로 노트북 or ps4
4. 그래픽카드 모델을 알려주시겠어요? (저는 지포스 980TI를 사용중입니다!)
1060이요.. 스타2가 절대 HW적으로 문제있을리가 없..;
5.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까?
넴.. 항상 엔비디아 익스피리언스로 업뎃 하고있져
철회하고 KT로 갈아타고 싶은심정..
인터넷은 KT가 짱이라는데..
운영진 이수빈
@방긋웃자아하..!
여러 복합적인 현상을 세분화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1. 일단 하드웨어 문제는 -절대로- 아닐것입니다 ㅎㅎ
1060 GPU를 소화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병목 현상이 생기기는 매우 힘들테고요~
드라이버 업데이트와 운영체제 업데이트도 꾸준히 하고 계시니 더 할 나위 없습니다!
한편 선로상황 또한 게이트웨이 - AP - 단말기라는 정석(?)적인 방법이라,
특별히 문제를 야기하는 구간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키 힘들어요.
2. 다만 "와이파이"를 통한 측정이라는 게 매우 애매합니다^^;
우리들이 두루 표현하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은
엄밀히 말해 802.11xx 라는 무선통신규약을 의미합니다~!
한편 유선(UTP케이블)로 연결하는 인터넷은
"이더넷" 이라고 불리우는 유선통신규약을 따르고 있지요^~^
여기서 맹점은,
같은 인터넷이긴 하나.. 서로(이더넷 vs 802.11xx)의
규약과 매커니즘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이더넷은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취하고 있고
802.11xx는 Half-duplex 방식 통신이라는 게 주요 요지죠!
사실 인터넷이라는 건 ->
수많은 통신(의사소통) 방식 중 하나이며 ->
통신이라는 것은 상호간의 주고받음(Transmit ↔ Receive)을 의미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801.11xx는 주고 + 받는 것을 동시에 처리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처리하기에 (그래서 Half입니다^^;)
실제 체감하는 처리속도는 Maximum 의 절반 수준입니다.
즉, 스피드테스트 닷넷을 통해 업로드(혹은 다운로드)를 측정하실 때
그 반대속성의 행위가 존재한다면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요.
-------------
자! 쉽게 말해
와이파이를 통한 속도측정이나 품질 측정은
통신사 네트워크 상황을 대변하지 못해요.
혹시 여건이 되신다면 유선(이더넷 연결)을 통해서
1) 게임 플레이
2) 속도측정
위 2가지를 테스트해주실 여건이 될런지요~?
와이파이를 비롯한 무선 통신규약은 상당히 델리케이트한 방식의 통신입니다.
어쩌면 이 모든 통신장애는
1) 공유기의 스펙 (현재 LG의 임대자산 공유기를 사용중이신가요?)
2) 공유기의 와이파이 도달능력 등..
공유기에서부터 비롯한 일이었을 수 있습니다.
p.s: 또한 통화가능하신 시간에 댓글 하나 남겨주시겠습니까~?
(통화 가능하신 시간대와 날짜를 적어주셔도 좋습니다^^)
저희 기술담당 직원분 통해서 바로 급! 연락드릴께요 ㅎㅎ
snow****
오래된 글이지만, 혹시 배경화면을 1분마다 변경하게 설정하신 것은 아닌지?
운영진 이수빈
@snow****와우!
이 오래된(?) 문의글에 댓글이 달리다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ㅎㅎㅎ
snow****님께서 말씀해주신 내용인 즉 :
특정 윈도우 빌드(버전)에서 배경화면을 슬라이드 쇼(특정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전환되는 방식)로 설정하는 경우,
배경 전환 때 마다 과다한 CPU 부하가 발생하는 트러블 이슈를 상정하신 것이지요~?
충분히 용의자로 지목될 만 한 사안이겠네요!!
해당 글에 화답을 작성했던 2018년 경에는 해당 트러블 이슈의 존재여부를 제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최근 윈도우 빌드에서는 해당 이슈가 해결된 듯 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