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방****님의 글

스타2가 1분마다 렉이 걸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방****
댓글 5
  • 조회 6,199
sk100메가에서 유플러스 500메가로
바꾼지 20일쯤 되엇습니다
간만에 스타2좀 하려니
겜할때 1분마다 5초정도씩 렉이걸려서
게임을 도저히 하질 못하네요..
먼가 설정하는 방법 어디 없을까요ㅠ
몬스터헌터도 렉이 엄청심하고..
파티플레이가 힘든 수준..
이거 강제로 증폭해서 그런건가요
렉이 쩔어요
방법 어디없는지..
도움말씀 부탁 드립니다
전체 댓글 5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방긋웃자님 안녕하세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꾸벅! (--)(__)

    허걱;; 네트워크 품질에 문제가 있군요.
    헌터 라이프에 애로사항이 느껴집니다 ㅠ
    (저도 요즘 평일 저녁에는 몬스터 뚝배기(?) 깨는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ㅎㅎ)

    일단 방긋웃자님의 장애 원인은
    크게 2가지 중 하나로 판단됩니다~!


    1. 인터넷 본연의 망 품질

    우리가 익히 말하는 초고속인터넷은
    말 그대로 광(光)케이블 기반의 인터넷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메이저 통신사들은 광케이블 인터넷을 제공하고 싶어(?)하지만
    설치지역에 따라, 광케이블 기반의 선로를 구축치 못한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제법 많습니다 ㄷㄷㄷ)

    즉, 광케이블로 인터넷을 구축치 못하는 경우에는 그 대안으로
    1)VDSL이라고 불리우는 국선전화망을 이용하거나
    2) HFC라고 불리우는 광동축혼합망을 이용하게 되는데요~
    이 품질은 광케이블 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죠..ㅠ

    특히 HFC방식은 정말 끔찍한 간섭과 노이즈가 존재하기 때문에
    게임내 핑튐(?) 현상의 일등공신입니다.

    우리는 이를 대칭형 vs 비대칭형 이슈라 부릅니다^~^
    - 참고글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1162

    즉, 방긋웃자님 댁까지 인입되는 LG유플러스 회선이 비대칭형 방식이라면
    끊김과 지연의 원인이 "회선 문제"에 있다 해석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게 원인일 가능성은 의외로 적습니다!
    LG유플러스에서 운영하는 HFC(비대칭형) 망의 CMTS(케이블모뎀 종단설비)는
    다른 통신사보다 압도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거든요?

    심지어는 설치지역에 따라 '비대칭형이라는 사실'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2. 운영체제, 드라이버, 네트워크 설정 (즉, PC 레벨)의 문제

    네트워크는 생각보다 복잡한 아이입니다 ㅎㅎㅎ
    단순히 통신사 회선이 잘 들어오면 끝나는 문제가 아니고요~
    이를 받아들이는 단말기(컴퓨터나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각종 설정이나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이슈로 인해 문제가 생기기도 해요.

    이를테면 스타크래프트의 "약 1분마다 지연이 발생하는 현상"은
    통신 회선의 순단보다는..
    스타크래프트 소프트웨어 ↔ GPU 하드웨어 간의 병목이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쉽게 말해,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문제가 해결될 확률이 높다는 거죠!
    - 참고글 : https://kr.battle.net/forums/ko/sc2/topic/2481148182
    (과거부터 스타의 "1~2분 병목"현상이 잦았습니다^^; 대부분 드라이버 문제였죠)


    한편, 몬스터헌터 월드의 상황은
    스타2의 상황과 별개로 인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몬헌 월드의 경우 클라이언트 서버를 국가별로 분리하지 않고
    글로벌 통합 형태로 운영하는데요~
    1) 해외망과 국내망 사용자가 동시 접속하는 경우, 망 품질 차이로 인해 순단(렉)이 발생할 수 있고
    2) 애초부터 몬헌 서버 자체가 좀 불안정하기도 합니다;;;
    또한 중계사인 PSN(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또한 불안정의 극치로 유명하죠!
    (저는 KT망 쓰고 있는데, 저도 가끔 튕깁니다;;)

    -----

    자, 이 밖에도 통신 장애의 원인으로
    지목할 수 있는 것들은 무궁무진합니다!

    하지만 위에 기술한 2가지 중 하나가
    문제의 원인이라는 촉이 듭니다 (제 촉은 좀처럼 빗가가는 일이 없죠^~^)
    하여 5가지를 여쭙고자 합니다^~^


    1. 운영체제는 윈도우지요? 버전이 어떻게 되십니까?

    2. 정확한 품질상태와 및 망종류(대칭형/비대칭형) 확인법은 "인터넷 속도측정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ㅎㅎ
    벤치비 (http://benchbee.co.kr )에서 속도를 측정해주신 후,
    그 결과를 캡쳐하여 댓글로 남겨주실 수 있나요? (댓글에 이미지 첨부가 가능합니다^^)

    3. 공유기를 사용중이시죠? 모델명을 알 수 있을까요?

    4. 그래픽카드 모델을 알려주시겠어요? (저는 지포스 980TI를 사용중입니다!)

    5.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까?

    위 5가지 사항에 대해 화답해주시면,
    버선발로 달려와 맞이하겠습니다^~^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 회원님의 사진 방****
    @이수빈1. 운영체제는 윈도우지요? 버전이 어떻게 되십니까?
    윈도우10이고 항상 최신 업뎃하고있어요

    2. 정확한 품질상태와 및 망종류(대칭형/비대칭형) 확인법은 "인터넷 속도측정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ㅎㅎ
    벤치비 (http://benchbee.co.kr )에서 속도를 측정해주신 후,
    그 결과를 캡쳐하여 댓글로 남겨주실 수 있나요? (댓글에 이미지 첨부가 가능합니다^^)

    speedtest에서 해보면
    와이파이 다운/업 테스트해보면 350정도 나옵니다..

    창 두개 띄워두고 업로드중에 다운로드 되도록 걸어본다던가 반대로 해보면
    다운로드중엔 업로드가 20으로 뚝 떨어지고
    업로드중엔 다운로드가 20으로 뚝 떨어지네요
    20이면 초당 2메가바이트인데 ㅠㅠ
    집에 사람 다 있는 저녁이면 치명적인..
    비대칭인거겠져?

    3. 공유기를 사용중이시죠? 모델명을 알 수 있을까요?
    회선 - 기가GW - 기가WIFI - 와이파이로 노트북 or ps4

    4. 그래픽카드 모델을 알려주시겠어요? (저는 지포스 980TI를 사용중입니다!)
    1060이요.. 스타2가 절대 HW적으로 문제있을리가 없..;

    5.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까?
    넴.. 항상 엔비디아 익스피리언스로 업뎃 하고있져

    철회하고 KT로 갈아타고 싶은심정..
    인터넷은 KT가 짱이라는데..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방긋웃자아하..!
    여러 복합적인 현상을 세분화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1. 일단 하드웨어 문제는 -절대로- 아닐것입니다 ㅎㅎ

    1060 GPU를 소화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병목 현상이 생기기는 매우 힘들테고요~
    드라이버 업데이트와 운영체제 업데이트도 꾸준히 하고 계시니 더 할 나위 없습니다!

    한편 선로상황 또한 게이트웨이 - AP - 단말기라는 정석(?)적인 방법이라,
    특별히 문제를 야기하는 구간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키 힘들어요.


    2. 다만 "와이파이"를 통한 측정이라는 게 매우 애매합니다^^;

    우리들이 두루 표현하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은
    엄밀히 말해 802.11xx 라는 무선통신규약을 의미합니다~!

    한편 유선(UTP케이블)로 연결하는 인터넷은
    "이더넷" 이라고 불리우는 유선통신규약을 따르고 있지요^~^

    여기서 맹점은,
    같은 인터넷이긴 하나.. 서로(이더넷 vs 802.11xx)의
    규약과 매커니즘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이더넷은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취하고 있고
    802.11xx는 Half-duplex 방식 통신이라는 게 주요 요지죠!

    사실 인터넷이라는 건 ->
    수많은 통신(의사소통) 방식 중 하나이며 ->
    통신이라는 것은 상호간의 주고받음(Transmit ↔ Receive)을 의미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801.11xx는 주고 + 받는 것을 동시에 처리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처리하기에 (그래서 Half입니다^^;)
    실제 체감하는 처리속도는 Maximum 의 절반 수준입니다.

    즉, 스피드테스트 닷넷을 통해 업로드(혹은 다운로드)를 측정하실 때
    그 반대속성의 행위가 존재한다면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요.

    -------------

    자! 쉽게 말해
    와이파이를 통한 속도측정이나 품질 측정은
    통신사 네트워크 상황을 대변하지 못해요.

    혹시 여건이 되신다면 유선(이더넷 연결)을 통해서
    1) 게임 플레이
    2) 속도측정
    위 2가지를 테스트해주실 여건이 될런지요~?
    와이파이를 비롯한 무선 통신규약은 상당히 델리케이트한 방식의 통신입니다.

    어쩌면 이 모든 통신장애는
    1) 공유기의 스펙 (현재 LG의 임대자산 공유기를 사용중이신가요?)
    2) 공유기의 와이파이 도달능력 등..
    공유기에서부터 비롯한 일이었을 수 있습니다.


    p.s: 또한 통화가능하신 시간에 댓글 하나 남겨주시겠습니까~?
    (통화 가능하신 시간대와 날짜를 적어주셔도 좋습니다^^)
    저희 기술담당 직원분 통해서 바로 급! 연락드릴께요 ㅎㅎ
  • 회원님의 사진 snow****
    오래된 글이지만, 혹시 배경화면을 1분마다 변경하게 설정하신 것은 아닌지?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snow****와우!
    이 오래된(?) 문의글에 댓글이 달리다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ㅎㅎㅎ

    snow****님께서 말씀해주신 내용인 즉 :
    특정 윈도우 빌드(버전)에서 배경화면을 슬라이드 쇼(특정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전환되는 방식)로 설정하는 경우,
    배경 전환 때 마다 과다한 CPU 부하가 발생하는 트러블 이슈를 상정하신 것이지요~?
    충분히 용의자로 지목될 만 한 사안이겠네요!!

    해당 글에 화답을 작성했던 2018년 경에는 해당 트러블 이슈의 존재여부를 제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최근 윈도우 빌드에서는 해당 이슈가 해결된 듯 해요 😁
  •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