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집 현재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SKT 3회선 : 아버지, 어머니, 큰누나 남편
KT 1회선 : 본인
IPTV : CJ
집전화 : KT
인터넷 : SK 기가 라이트(SKT 3회선 온가족 플랜으로 스마트 광랜 무료로 사용하다가 오늘 기가 라이트 개통, 1년 무료이며 1년 못 채우고 해지 시 11,000원 뱉어내야 함)
누나들 집 현재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큰누나 집 : KT 결합(인터넷+휴대폰+IPTV)
작은누나 집 : KT결합(499이상 요금제 2명이라 인터넷 공짜?로 이용 중)
제가 생각하는 방안은 크게 2가지입니다.(저희 집 기준입니다)
1. KT로 묶기 : 집전화 + 인터넷(500메가 or 1기가) + IPTV + 휴대폰(본인)
2. SKT로 묶기 : 집전화 + 인터넷(500메가) + IPTV + 휴대폰 3회선(아버지, 어머니, 큰누나 남편)
저희 동네는 SK는 기가 인터넷이 없지만 KT는 기가 인터넷이 있어서 KT로 가고 싶은 마음이 강합니다.
그러나 SKT 3회선 온가족 플랜때문에 SK 인터넷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KT로 넘어가야 하나...고민이 됩니다.
만약 KT로 가게 된다면 1.과 같은 조합으로 매달 얼마씩 내게 될까요? (인터넷은 500메가, 1기가 둘 다 알려주세요~!)
만약 SKT로 묶는다면 2.와 같은 조합으로 매달 얼마씩 내게 될까요?
집전화, IPTV 해지 시 위약금은 없습니다.
추가 질문 : SKT든 KT든 3년 약정을 채운 후, 현금(상품권) 사은품 받고 싶으면 또 다른 통신사로 이동을 해야 하는 구조인가요?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은 현금 사은품 받으려고 3년마다 IPTV나 인터넷, 휴대폰을 번호이동을 하게 되나요?
그렇다면 제 생각으로는...3년 단위로 휴대폰을 새 걸로 바꾸면서 번호이동도 하고..IPTV, 집전화, 인터넷도 동시에 바꾸는 게 좋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이런 생각이 드는 동시에..
휴대폰, 인터넷, 집전화, IPTV를 다 바꾸는 게 힘들다면 2~3개만 통신사 이동해서 현금 사은품 받는 경우도 많나요?
3년 약정 걸고 난 이후의 상황도 미리 알아놓는 게 좋을 거 같아서 질문해봤어요.
어떤 식으로 휴대폰, 집전화, 인터넷, IPTV를 이용하는 게 현명한지 총체적인 꿀팁글이 있으면 참 좋겠네요.
제가 결합 상품에 대해 빠삭하지 못해서 초보적인 질문을 많이 했지만 상세하고 알기 쉬운 답변 부탁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