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호! 결합할 SK핸드폰이 있으시군요!?
SK의 인터넷에는 여러 종류의 결합상품이 있습니다만,
일단 핸드폰 1회선을 결합할 경우에는
"온가족프리"라는 이름의 상품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진리이자 해법입니다~!
그러나 몇가지 변수가 있기에..
제가 하나씩 차근차근 짚어볼께요~~!
1. 핸드폰 결합의 매커니즘
SK의 결합상품은
1) 핸드폰을 몇회선 결합하느냐?
2) 결합할 핸드폰이 각각 어떤 요금제냐?
에 따라서 어떤 상품이 유리한지가 갈리게 되어요~!
(그리고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만약 차후에 개통할 핸드폰을 포함해서 밴드 59요금제가 1회선이라도 있다면?
"온가족플랜"이라는 결합상품을 선택하는 편이 좋고요~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온가족프리" 라는 상품으로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말해,
1) 핸드폰을 1~2회선 결합할 때에는 "온가족프리"가 진리지만
2) 2회선 중 1회선이라도 고가요금제 핸드폰이 포함되어 있거나
3회선 이상 핸드폰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온가족플랜"이라는 녀석으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2회선 + 고가요금제 포함의 경우에는 -> 3회선 취급(?)을 해주거든요?
(밴드 59요금제 이상의 위엄이죠!)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닙니다 ㄷㄷㄷ
여기에 변수가 하나 더 있는데..
이것들은 100메가급 인터넷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500메가급 이상의 인터넷 상품(기가급) 을 선택하시는 경우에는
2회선 + 고가요금제 규칙이 없어집니다 ㅠㅜ
즉, 500메가급의 경우에는
고가요금제 핸드폰 포함여부와 상관없이 -> 온가족프리가 이익이에요~!
2. 기회비용, 그리고 제약
사실 "온가족프리"의 요금이
"온가족플랜"보다 덜 할인됩니다.
하지만 온가족프리가 더 유리한 이유는
1) 온가족플랜은 핸드폰이 최소 2회선 결합되어 있을 때에만
효력을 발휘하는데 비해..
(나중에 회선이 1대라도 이탈되면 깨져버립니다, 그리고 가입당시부터 2회선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죠!)
온가족프리는 대표명의자 핸드폰 회선만 붙어있다면(?) 결합이 계속 유지될 뿐더러 ..
나머지 1회선의 결합여부는
월 요금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월 1,100원의 할인 차이입니다)
즉, 더 자유롭습니다~!
2) 온가족프리는 결합하는 핸드폰 모두
"LTE안심옵션"이라는 5,500원짜리 부가서비스가 가입기간 내내 제공됩니다.
이는, 데이터를 다 소진해도 약 400kbps 속도로 데이터 통신을 계속 할 수 있는 서비스인데..
400kbps 속도라 좀 많이 느리긴 합니다ㅠ
예전 모뎀의 추억을 새록새록 떠오르게 해주는 장점(?)이 있습죠!
만약 LTE안심옵션이 필요없으신 경우에는
"매월 500Mb 데이터 제공" 이라는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답니다~!
(저는 500Mb 데이터 쪽을 추천드려요)
3) 온가족프리는 가입자간 통화가 무제한이라는 편익이 있지요~!
즉, 결합하는 SK핸드폰끼리말이죠.
하지만 신형 밴드 요금제로 넘어가면서 이 혜택은 별 의미가 없을수도 있겠네요;;
4) 온가족프리의 사은품(보조금)이 더 많이 지급됩니다.
같은 SK의 인터넷 상품인데 사은품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는...
사실 SK인터넷이 1개 회사가 아니라는 점 때문이죠 ㅠ
SK인터넷은 -> "SK브로드밴드"와 "SK텔레콤"으로 이분화 되어 있고
각각 분류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온가족플랜, 한가족할인 <--- SK텔레콤 주식회사의 상품
- 온가족프리, 스마트다이렉트, 온가족할인 <---- SK브로드밴드 주식회사의 상품
SK텔레콤의 상품들은 SK브로드밴드에 비해 보조금이 적게 편성됩니다 ㅠ
먁 10~15만원 가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요.
그리고 하나 더 첨언하자면
상품 판매사가 각각 다르니 보니
나중에 상호전환 (온가족플랜 ↔ 온가족프리)이 불가능합니다.
처음부터 SK의 2가지 상품 중 1개를 확실히 선택해야겠죠?
자~! 여기까지 적는데 약 15분이 걸렸습니다 ㄷㄷㄷ
지금 말씀해주신 상황이 제법 많은 변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마저 봐주세요~!
이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될겁니다 ♡
3. 월 요금과 프로모션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요금에 변수가 너무 많아요.
1) 기가급 인터넷 선택여부 (100메가급 vs 500메가급)
2) 핸드폰의 요금제 선택여부 (2회선 중 고가요금제가 포함되어 있는가?)
하지만 수많은 변수들을 차치하고,
500메가급을 선택하시는 편이 좋을겁니다~!
일단 온가족프리를 기준으로 하면
100메가급과 vs 500메가급의 요금차이가 6,600원이 발생하는데요~
500메가급 + 프라임형 TV상품(UHD)을 이용하게 되면
"프로모션" 덕분에 요금역전현상이 발생하거든요!?
(즉, 한단계 아래인 New스마트형 TV상품을 선택하는 것보다 저렴해집니다)
(계산법이 너무 길어져서) 실제청구요금으로 말씀드리자면
프로모션 적용 덕분에 39,600원이 되지요 (500메가급 + New 스마트형은 40,700원입니다;;)
그리고 이와 별개로 핸드폰 요금에서도 4,400원의 할인이 추가지원되니..
실제 지갑에서 나가는 돈은 35,200원인 셈이 되겠지요?
그리고 3가지 더!
1) 나중에 온가족프리에 핸드폰 1회선이 더 추가되면
월 요금에서 1,100원이 더 할인됩니다~! (쥐꼬리 할인이죠 ㄷㄷㄷ)
2) 2개월차와 13개월차에는 TV요금 할인 명목으로
13,200원이 추가 할인될거에요 (이것도 프라임형의 프로모션입니다;;)
3) SK의 기가급 와이파이 공유기도 무상 임대되죠!
요약: 500메가급 + 프라임형 UHD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써놓고 보니 겁나게 복잡하네요;;
사은품은 35만원(상품권 15만원, 현금 20만원)이 지원되고 있고요~
하나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작년 3월부터 3사 메이저 인터넷 통신사들이
"가입설치비 제도"를 부활시킨지라
맨 첫달 요금에 35,200원이 설치비 명목으로 합산 청구된다는 것이지요 ㅠ
4. TV에 대한 단상
TV에 대해 좀 소상하게 짚어볼께요.
TV상품은 크게 "하드웨어적" 측면과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으로 나뉘는데요~
[어떤 상품인가?]
이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입니다.
즉, 몇개의 채널을 지원하는 상품이냐로 나눠지기 마련이에요^~^
SK의 TV상품은 크게 베이직형, New스마트형, 프라임형
이렇게 3가지 축으로 나눠지고요~
차이점은 "지원하는 채널수"입니다. (당연히 뒤로 갈 수록 요금도 비싼 셈이죠)
이 중 "New스마트형"이 SK TV상품의 가장 근간이 되는 기본상품이에요.
(약 164개의 채널을 지원하고 있죠)
대부분은 New 스마트형을 사용하시곤 합니다.
프라임형은 약 191개의 채널을 지원하고 있고,
New스마트형에서 쥐꼬리만큼 채널이 늘어난 격인데...
이 추가 채널들이 다 비싼 채널들입니다 ㄷㄷㄷ
즉, 계약단가가 비싼 프리미엄 채널들이 여기 포진되어 있습죠~!
이번 경우에는 "프로모션" <--- 요 녀석이 있기에.. 프라임형을 택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그리고 가장 하위의 베이직형으로 신청하시면
월 요금이 2,200원 저렴해지긴 하나, 사은품 차이가 6만원 가량 발생하기에
권유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어떤 셋탑박스를 쓰는가?]
이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입니다.
즉 어떤 셋탑박스 기기를 사용할 지에 대한 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신형의 셋탑박스를 사용할 수록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보시면 되지만, 요금 차이도 발생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