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whoongyi****님의 글

kt 속도문제, sk 로 변경문제

회원님의 사진
  • whoongyi****
  • 댓글: 1
  • 조회: 108

KT 1G 인터넷 사용중이고

현재 2년 4개월 사용중입니다 (3년약정)


그런데 아주 가끔가다 있는 일인데, 트래픽제한 이 아닌데 대역폭 속도가 100Mbps 로 제한됩니다.

보통 KT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상품선택후 고장진단에서 리셋 누르면 해결됩니다.

+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장비 다 껏다키라는 방법도 전부다 따라 해봐도요 (하나 안하나 차이는 별로없지만)


그런데, 이번엔 좀 달랐습니다.


평소처럼 KT 사이트에서도 해보고 안되서 KT(전화 100) 에 문의를 해서

2번이나 초기화 해봤는데도 똑같이 나옵니다.


내일 기사 방문신청 해두긴했는데...


SK 로 갈아탈가 고민이 되네요....

+ SK 는 순간적으로 트래픽을 많이 보내거나(웹 요청반복) /받으면(디도스유입)

널라우팅 되나요? 아마 2년 4개월전에 디도스 유입때마다 5분이상씩 널라우팅해서 KT 로 갈아탄 기억이 있는데 지금도 그러나요?


+ SK 해외망 요즘(유즘) 은 빠른가요?

하는게임중 하나가 해외 서버 두는데 (앞단 프록시로 CloudFlare 미국 쪽 연결됨)

SK 나 LG 쓰면 핑이 200ms 씩 나오는데 KT 쪽 쓰면 170ms 정도 나오더라고요

(SK 랑 LG는 같이 겜하는 분들이 측정해주심)


진짜 SK 가 서비스품질좋고 해외망 좋으면 바로 갈아탈거같은데...

참 고민이 되네요...

전체 댓글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whoongyi****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 😊
    기본적으로 가정용 인터넷은 모든 통신사가 KFI(통신사업자 트래픽 관리규정)에 의거하여 트래픽 품질을 관리합니다.
    가정용 인터넷은 말 그대로 "보편적 가정 환경에 적합한 인터넷 회선 사용"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대량의 I/O가 발생한다는 것은 -통신사를 막론하고- 정책적 견제가 들어올 가능성을 높인답니다.
    아마 과거에 이런 상황을 겪었을 거라 추측됩니다 😅

    한편 같은 통신사라 해도 수용국(=국사) 정책 및 라우팅 경로(결국 라우팅 정책)에 따라 미묘한 정책 차이가 존재합니다.
    또한 시기별 정책 변화도 있을 테니, 과거 경험과 현재 상황이 다를 가능성도 있지요ㅎㅎ
    아쉽게도 KFI 세부사항은 통신사 내부에서 관리하는 기준으므로 저희도 알 수 없습니다.
    만에 하나 KFI 세부 기준이 외부로 공개된다면, 해당 규칙을 우회/오용할 가능성이 커지기에 대외비로 관리되는 것이 당연하겠지요? ^^;;;

    다음으로 해외망은 여전히 KT가 우세합니다.
    일단 통신사별로 확보하고 있는 육양해저케이블 인프라 자체가 다를 뿐더러, SK나 LG유플러스는 이에 따른 QoS를 공개적으로 취하고 있어요ㅎㅎ
    SK가 컨소시엄에 참여한 SJC2 해저케이블이 완공되면 상황이 조금 더 나아질지도 모르나, SJC2 헤저케이블 완공이 계속 지연되고 있기에 아직 별 의미는 없다 볼 수 있습니다 😢


    즉, 결론적으로..!
    조금(?) 아쉽겠지만 해외망 품질을 생각하면 일단은 KT를 쭈욱 유지하는 편이 안전합니다ㅠ
  • 문의게시판
  • 검색어: 사업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