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893 페이지
  • 정****님의 글

거실벽에서 나오는 선 문의

회원님의 사진
  • 정****
댓글 3
  • 조회 3,112

안녕하세요.

여기에 이걸 문의해도 될지 잘 모르겠네요.

글만으로 상담원을 이해시키기가 어려울거 같아서 여기에 도움을 청합니다.

KT 기가 인터넷 + 티비 를 사용중입니다.


<벽에서 나오는 랜선케이블2개, 검은색(?) 선 하나>

KakaoTalk_20221004_175829420_01.jpg


거실벽 한곳에서 랜선케이블2개, 검은색(?) 선 하나 이렇게 나오더라구요(검은색 선은 전원선이 아닌데 뭔지 잘 모르겠네요)

랜선케이블2개와 검은색(?) 선 하나를 셋탑박스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셋탑박스는 지니와, WIFI전용 공유기에게 랜선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셋탑박스, 공유기, 지니>

KakaoTalk_20221004_175829420.jpg



그리고 컴퓨터방에서 벽(랜선)으로 인터넷을 쓰고 있구요.



제가 하고 싶은것은 괜찮은 공유기를 하나 구매했거든요.[TP-LINK Archer AX73 유무선공유기 ]

그래서 셋탑박스와 예전 공유기를 없애고 싶은데

벽에서 나오는 선이 2개이다보니 어느게 WAN인지 모르겠더라구요.

근데 새로운 공유기에 두개를 번갈아 끼워도 제대로 동작을 안 하던데,

어디를 손봐야하는지 감을 못 잡아서 여쭙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밤에 테스트를 더 해보고 글을 수정하겠습니다.




전체 댓글 3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안녕하세요 정진님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아하, 새 공유기를 구매하면서
    기존 공유기와 셋탑박스라 칭해주신 장비를 치우기 위해 문의주셨군요~!

    먼저 [셋탑박스]라 칭하신 것은, 셋탑박스가 아니라 "모뎀" 장비입니다.
    실질적인 셋탑박스 역할은 [지니]라 칭하셨던 기가지니2 장비가 수행하고 있어요
    두번째 사진상 가장 오른쪽에 있는 둥글 넓적하게 생긴 녀석이 기가지니2 지요 ㅎㅎ

    각설하고,
    모뎀 종류가 여러가지로 나뉘기 마련이며
    정확한 모델명이 특정되어야 종류(속성)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진 및 정황사정으로 추론하자면 정진님 댁 모뎀은 ONT계열로 판단되어요
    이 말인 즉  [검은색 선]이라 칭하신 건 광케이블 인입선일 것이고요~

    벽면에서 나오는 [랜선케이블 2개]는
    정진님의 예상과 달리 인입(IN)을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출력(OUT)을 담당하고 있을 겁니다.
    즉, 해당 랜선들은 각 방으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거라는 거죠.

    연결 순서대로 보자면 :
    외부 통신관로 -> 검은색 광케이블 선 -> 모뎀(에서 변환) -> 모뎀 LAN에서부터 각 방 / 기가지니2 / 공유기 등으로 분배
    위와 같은 형식인 겁니다.

    제 추측대로 모뎀장비가 ONT계열이라면?
    모뎀 장비는 댁내의 최전단(현재 위치)에 배치되어야만 하고요 (절대 치워서는 안되는 장비입니다)
    새로운 사설 공유기는 모뎀의 하위 (현재 공유기 위치)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현재의 연결구성 상태에서 기존 공유기 선을 뽑아 새로운 공유기에 연결해주시면 그만이라는 거죠!

    제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려면 모뎀의 모델명을 한 번 체크해봐야 하는데,
    모뎀의 밑면을 살펴봐주시겠어요?! 모델명이 적혀있을 거랍니다. ^ㅁ^)//

    그럼 저는 정진님의 회신 기다리겠습니다~!(꾸벅)
  • 회원님의 사진 정****
    친절하신 이상희님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정신이 없어서 이제서야 댓글 남기네요.
    아.. ONT계열 장비가 있군요. 그래서 WAN 포트가 없는거였네요. 왜 이게 없지 했는데... 대단하십니다!!
    모델명 : ONT_U104CT_W  입니다

    KT 모뎀이 평타이상인건 알지만
    혹시나 비싼 공유기를 쓴다면 공유기 처리속도 및 병목현상을 0.0001초 라도 줄어들지 않을까 해서 돈 들여서 공유기 구매 했는데,
    제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네요.


    아래 내용은 추가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어서 문의 드려요.
    짧게나마 지식을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 상황이 기억이 안나는데 기가급으로 변경하면서 ONT라는 장비가 들어왔을까요?
    잘 알지는 못하지만 ONT라는 기기는 대부분 인터넷단자함에 들어가 있는데 우리집은 밖에 있는건가요?
    이런 상황에서 저 3개의 선들을 1개의 랜 케이블로 정리할 수는 없는건가요?
    질문이 엉성하더라도 양해바랍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정진오! 역시 저의 짐작대로 ONT모뎀이 맞았군요~!
    그렇다면 이 모뎀은 반드시 연결구성 중 가장 최상단에 위치해있어야 합니다.

    광케이블이 직접 인입되는 환경이니 광신호에서 UTP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수인데,
    모뎀이 바로 그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에요. 절대 배제할 수 없는 몸(?)이란 뜻이지요 ^^;
    또한 어떤 인터넷 요금제를 사용하시건 관계없이 애초부터 ONT모뎀이 들어왔을 확률이 크답니다.

    모뎀의 설치위치는~?! 대부분 댁내 통신단자함에 들어가있긴 합니다.
    하지만 구축 건물의 경우 통신관로 여건이 되지 않아 정진님 댁처럼 거실에 나와있기도 해요!
    이는 댁내 관로 및 수용국, RN환경 등 집집마다 제각각인데, 꽤 흔하게 볼 수 있는 케이스지요ㅎㅎ

    아쉽게도 3개의 선을 1개로 줄일 수는 없을 것입니다ㅠ
    검은 선은 말씀드린 것처럼 광케이블 선이라 제외하는 게 불가능하고,
    나머지 랜 케이블 2개는 각 방의 인터넷을 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테니 말이지요;;
    (물론 다른 방에서 유선인터넷 쓰시는 일이 없다면 랜케이블 2개는 모뎀에서 연결을 해제하셔도 되겠지만유!)


    한편, ONT 변환 과정이 존재하는 것은 매우 잘 된 일이랍니다~?! +_+
    이런 방식의 인터넷이 바로 FTTH 라 불리우는데
    여타 다른 방식의 초고속인터넷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품질을 보증하기 때문이에요!

    구축 건물의 경우 운이 나쁘면 전화선기반(VDSL)으로 인터넷이 연결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구내선로 상태에 따라 간섭(노이즈)현상도 심하고 속도저하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거든요
    정진님 댁은 이와 정반대되는 짱짱한 광(光)케이블 환경이니 이런 걱정이 없지요 ㅎㅎ 후후
    모뎀이 설치된 게 나쁜 일만은 아니니 너무 아쉬워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