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810 페이지
  • 흐****님의 글

홈 네트워킹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흐****
댓글 3
  • 수정
  • 조회 2,046

안녕하십니까? 항상 눈팅만 하다가 홈네트워크 구성과 관련하여 도움요청드립니다.


우선 홈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사유는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아이가 있는데,

중학교는 기숙사 학교를 다녀서 특별히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약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졸업을 하고 집에 있는데 컴퓨터를 너무 사용하는것입니다.


물론 학원을 가기때문에 그렇게 많이 할 수는 없지만, 문제는 자는 시간에 몰래 일어나서 새벽에 컴을 한다는것입니다.

와이프나 제가 자다 깨서 화장실 혹은 물마시러 일어나서 나가보면 게임을 하고있어서 아이의 다음날 생활에도 문제가

있을뿐더러, 아이와 와이프의 관계까지 나빠질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방 포트에서 TP-link 데코를 연결후 아이 컴을 연결했습니다.

(TP링크 제품이, 자녀보호모드에서, 특정시간동안 사용하지 못하게, 하루 총사용시간 제어하기 등등이 되는데 그것이 핸드폰앱으로

간편하게 되어서 사용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아이방 컴은 제어를 완료했는데, 문제는 아이가 컴퓨터방에 있는 제컴을 쓰다가 또 문제가 되었습니다. ㅠㅠ

그래서 제꺼 컴도 아이것과 같이 제어하려고 하다보니 홈네트워크 재구성을 하게되었습니다.




제가 정확히 필요한 내용은 위와 같은 사유로

1) 내컴과 아이컴 모두 TP링크 공유기의 어플로 제어가 가능 할 것. (필수)

2) 내컴과 아이컴이 공유가 되어 내컴에 연결된 프린터를 아이컴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것 (옵션)

3) 내컴과 아이컴과의 파일이 공유되어 USB나 웹하드  및 이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파일을 옮길 수 있을것(옵션)

상기 3가지입니다.




1. 먼저 저희 집의 네트워크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66c3391fc3e47e.jpg





2. 저희집 단자함의 허브입니다.

66c3e96c22e78c.jpg


3. 제가 수정하고자 하는 홈네트워크 구성입니다.

66c3ec2c3aa6d5.jpg

 (※ 여기서 1번 케이블이 없어도 인터넷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 같아서, 없애보니 인터넷은 되더군요. 혹시 1번 케이블이 꼭있어야 할까요?)


이렇게 구성하면 제가 위에서 원한 1), 2), 3)모두 만족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이것 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참고로 단자함이 너무 작아서 단자함에 추가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5포트 정도 되는 공유기 또는 스위칭 허브 1개 정도 들어갈 수 있을 듯 합니다.


추가로 궁금한점은, U+ 기가게이트웨이의 역할은 무었인가요?

기가게이트웨이를 통상의 스위칭허브로 바꿨을때 문제가 있을까요? 아울러 스위칭허브로 바꿨을때 이점이 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댓글 3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최유진
    안녕하세요, 흐린뒤 맑음님~!
    백메가 미소지기 최유진이에요~♥.♥

    남겨주신 문의글은 모두 잘 읽어보았습니다~!>.<b


    # 정성껏 모식도를 그려주셨으나,
    개별 홈라우터(공유기)가 위치한 장소를 특정하기 어려우며 난해한 미싱링크가 다수 있네요..;;

    일례로 '허브'가 위치할 곳은~?! 당연히! 필히! 통신단자함일 터인데..
    기가게이트웨이 장비 ↔ 허브가 노출배선(UTP케이블)로 연결된 상황은
    매우 해석이 어려웠습니다..ㅎㅎ

    하여 제 나름대로 추론컨대 :

    - 통신사 인입선은 → 기가 게이트웨이의 WAN에 체결되었고~!
    - 기가 게이트웨이 장비의 포트가 협소하여 댁내 번들로 비치된 허브를 응용한 상황으로 해석되며..!
    - 기가 게이트웨이의 LAN은? -> 거실(1) / 딸방 / 컴방 / 허브, 이렇게 4곳으로 연결되었겠군요~!
    - 한편, 허브는.. 기가게이트웨이에 종속된 채로 -> 거실(2) / 침실 이렇게 2곳으로 향하겠지요!^~^*


    1. 두 가지 그림 모두!
    거실 공유기(통신사)가.. 2개의 인바운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구조 상.. 하나는 허수(의미 없음)가 됩니다..!>.<

    결국 WAN 포트에 체결된 것인 진짜 인바운드이고, 나머지는 의미없이 체결된 랜선이겠지요~!

    2. 컨트롤러 - 에이전트란! 결국
    마스터 - 슬레이브 종속 관계를 말씀하신 듯한데요~!
    이러한 핸드오버 메쉬는~?! 개별 홈 라우터의 거리가 이격되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모식도만 보면..
    마스터 - 슬레이브 모두 엇비슷한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느껴지는데요~;;
    이는 아마도 공간과 위치를 배제한 모식도가 맞겠지용?
    (혹시나 하는 노파심에 여쭙습니다~;; 후후)

    3. LG의 기가게이트웨이 장비는~?! NAT 기능이 내장된 모뎀 장비로!
    설치 장소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이 모뎀을 배제(탈거)하면? 기가비트 대역폭 인증을 받지 못합니다..ㅠ

    (즉, 증폭 여부 때문만이 아니라.. 인증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결국..! (두둥)

    컴방 / 딸방의 컴퓨터들이 : '동일한' 홈 라우터에 종속되어야만..!
    동일 서브넷이 구성되어요~!+_+b

    즉~! 원하시는 니즈를 충족하려면?
    이 컴퓨터들이 -> 같은 엄마(공유기) 아래에 묶여있어야 합니다~!ㅎㅎ

    아마도 공유기(컨트롤러)라 기재하신 것이..
    티피링크의 홈 라우터(중에서 마스터 역할을 하는 객체)일 것으로 짐작되는데요~!>.<

    컴방/딸방 컴퓨터 2대 모두 이더넷(ethernet)연결이 필수불가결하다면~?!
    이 티피링크 마스터 객체를 -> 단자함 내에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슬레이브 객체 2대는? 마스터 객체와 무선(wifi) 대신 이더넷(ethernet) 연결을 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유선으로 연결하는 편이 핸드오버 메쉬의 정석에 가깝긴 하므로..!
    흐린뒤 맑음님께서 가진 홈 라우터가
    유선(이더넷) 메쉬를 지원하는지 확인하시면 좋겠네용~!>.<


    ▶ 즉, 연결순서대로 보면~?!

    통신사 인입선 -> 게이트웨이 -> 티피링크 마스터 객체.. 가 되고요~!

    이 마스터 객체에서는?
    최소 4개의 이더넷(ethernet) 아웃바운드.. 즉 LAN포트가 필요하겠습니당!

    슬레이브 객체 X 2대 + 컴방 포트 + 딸방 포트가 되어야 하니까 말이지요~!

    이 때, 만약 마스터 객체에 포트가 충분치 않다면?
    스위치 허브 장비가 별도로 필요할 테니..!
    이 경우엔 댁내 번들로 비치된 허브 장비를 응용하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 경우,
    허브 장비에 종속되었던.. 거실(2) / 침실은?
    -> 기가 게이트웨이와 곧바로 체결하면 그만일 것으로 보이네요~!^~^*

    (기가 게이트웨이 LAN 중에서.. 딸방 / 컴방 / 허브가 필요 없으므로! 포트 여유가 생기니까요~!)


    그럼.. 제 안내가 참고가 되었기를 바라고요~!+.+

    언젠가 나중에라도 인터넷 가입이 필요해지시면~?
    그 때는 꼭! 저희 백메가를 통해서 가입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흐****
    정성스러운 설명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최유진
    @흐린뒤 맑음어머나..! 흐린뒤 맑음님~!^0^

    이렇게 인사 남겨주셔서 저야말로 고맙습니다~!😍

    그럼.. 오늘도 편안한 저녁 시간 되시고요~!

    곧 맞이하게 될 설 명절 연휴도! 스트레스 없이,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랄게요~!♥.♥
  • 문의게시판
  • 810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