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801 페이지
  • 김****님의 글

u+ 외부ip관련해서 질문드려요

회원님의 사진
  • 김****
댓글 3
  • 조회 6,521

스마트 기가안심 1기가 상품 사용중입니다.

아파트가 구축이라 구형 단자함에 모뎀이 들어와 있고

모뎀1번포트>거실 u+공유기>iptv

모뎀2번포트>1번방 데스크톱 다이렉트

모뎀3번포트>2번방 데스크톱 다이렉트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알아보기론 dmz설정을 하면 ip를 외부ip로 받아온다고 하는데 이것도 그냥 그대로 192로 시작하는 내부ip주소를 받아 오더라구요...


kt에서 사용할땐 모뎀에서 포트마다 단독으로 외부ip를 뿌려 줬었는데

lg는 192로 시작하는 내부ip를 주더라고요 그렇다고 모뎀 모드 설정이 따로 있는 부분도 아니구요.

조금 알아보니 lg도  외부ip를 2개 까진 준다는 정보를 봐서요

1번방 데스크톱은 외부ip 1개를 단독으로 받고

거실공유기에서 외부ip를 1개 받아 내부ip로 iptv와 2번방 데스크톱을 주게 해주고 싶습니다.


이렇게 구성해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단자함에서 모뎀을 빼고 다른 스위칭허브?로 교체를 해야하나요?

 

전체 댓글 3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김도윤님~!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남겨주신 문의글을 찬찬히 읽어보았는데요~
    특정 단말기가 아예 독립된 공인IP를 취득해야 하는지,
    아니면 NAT 1계위 통신을 취하면 되는 문제인지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달라집니다^^;
    일단 DMZ 설정과 S-DMZ(Twin IP) 설정은 아예 통신 규약자체가 다른데
    김도윤님께서 재현한 상황은 DMZ에 국한한 것으로 짐작되어요.
    더불어 저희 백메가는 인터넷 가입을 유치하는 영리사업자입니다 +_+
    호오옥시 이 공간을 IT/통신 커뮤니티로 오해하신 게 아닌가 싶다가도
    요렇게 우연히 만나게 된 것도 인연이니 최대한의 성의를 보이는 것이 맞다 여겨 글을 이어 보겠습니다 😊


    1. 기본적으로 LG유플러스의 모뎀 장비는 NAT 기능이 존재합니다.
    즉 모뎀이 DHCP 서버를 가동하고 있다는 이야기며,
    결국 공유기와 진배없는 작동을 한다는 의미입니다ㅎㅎ
    안타깝게도 LG유플러스 모뎀은 NAT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선택지가 없어요ㅠ
    그러니 모뎀 하위의 모~든 단말기(컴퓨터, 공유기, 기타 장비)는 필연적으로 내부 IP 기반의 통신을 취하게 되지요 😅


    2. LG유플러스는 공인IP를 최대 2개까지 취득할 수 있는 것이 맞습니다.
    규정 상으로는 1개 회선당 1개의 공인IP가 원칙이나,
    약간의 융통성을 보이는 것이라 이해하시면 되고요 +_+
    통신사마다 이 융통성 범주가 다르지만 LG유플러스가 가장 엄격합니다;;

    각설하고 위 1번에 언급한 것처럼 LG유플러스 모뎀에서 NAT기능을 비활성화 하는게 불가능하니
    모뎀 앞단에 별도의 스위치 허브를 체결해야 복수의 공인IP 취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끝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LG유플러스는 기가비트 인증(기가비트급 대역폭을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모뎀 레벨에서 취하기에 이 모뎀을 거치지 않은 단말기들은 100메가급 대역폭만 취득하게 되어요.
    (증폭 기능을 말하는 것이 아니에요^^;;; 인증에 대한 이슈입니다)

    물론 설치 장소(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공정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의 케이스는 위 논리를 따르게 됩니다 😢

    즉 복수의 공인IP를 취득하는 대가로
    1) 하드웨어 추가 구입 2) 기가비트 기회 비용이 추가되니
    경제성이 떨어지는 선택지라 볼 수 있습니다ㅠ


    3. 애초에 DMZ를 응용하시려 했던 것으로 미루어보아
    김도윤님의 목적이 복수의 공인IP 취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말기가 NAT 1계위 통신을 취하여 더 높은 통신 품질을 보증받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제 추측이 맞다면? 모뎀의 WebGUI 설정페이지에 접근하여 →
    S-DMZ 설정으로 1번방 데스크탑의 Mac address를 지정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라 생각되어요.


    4. 2번방 데스크탑과 IPTV가 공유기 하위의
    서브넷(내부 네트워크)에 귀속되는 문제는 위와 전~혀 별개 문제입니다.

    적어도 이를 실현하려면 공유기의 LAN포트 중 어느 하나가
    2번방까지 연결되어야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려면
    1) 공유기 ↔ 2번방 데스크탑을 잇는 UTP케이블을 배치하여 해결하는 방법도 있고
    (물론 UTP케이블이 그대로 노출되니 댁내 미관을 해칠 거예요ㅠ)

    2) 공유기 ↔ 통신단자함 ↔ 2번방 벽면랜포트 ↔ 데스크탑을 잇는 다소 복잡한 구성도 있겠지용? ㅎㅎ
    (이를 위해 UTP커플러가 필요하고 공유기가 위치한 곳에 최소한 2개의 벽면 랜포트가 존재해야 해유)

    일단 말씀해 주신 구성만으로는
    댁의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조와 모식도가 특정되지 않아 자세한 환경을 알 수 없고,
    이와 관련된 설치 방법은 인터넷에서 조금만 검색해보셔도
    쉬이 찾아보실 수 있을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제 답변이 문제 해결이 작게 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추후 인터넷 가입이 필요할 때도 저희 백메가를 찾아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회원님의 사진 김****
    @곽은정친절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이런 문제 관련해서 다른분들이 여기 질문한걸 봐서 여기에 질문해도 되나 싶어 여쭤봤습니다..
    저도 3번 답변 달아주신 방법대로 super dmz설정을 했는데도 192를 받아 오더라구요.. 다른분들 보니까 s-dmz설정을하면 바로 공인ip를 받아오던데 장비 문제 일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김도윤구체적인 모식도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제한된 단서만으로는 유추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습니다.
    다만 특정 단말기에게 S-DMZ설정을 취한 이후에도 해당 단말기의 기본 게이트웨이가
    내부 IP 클래스(192.168.*.*)를 취하고 있다면 아래 3가지 이유 중 하나일 거예요 +_+

    1. 휴먼에러 (도윤님이 단말기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잘못 식별함)

    2. 설정 오류 (S-DMZ로 전혀 다른 단말기를 지정했거나 S-DMZ 설정이 취해지지 않음)

    3. 모뎀 ↔ 단말기 사이에 또 다른 라우터(DHCP 서버)가 존재하여 NAT 이중화를 야기함.
    (도윤님이 댁내 네트워크 구조를 오인)

    즉 정상적/표준적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가 공인IP를 취득해야 정상입니다.


    따라서 적어도 아래 5가지를 살펴보아야 해요ㅎㅎ

    1) S-DMZ를 취하려 접속한 WebGUI가 '모뎀'이 맞는지?
    (행여나 모뎀 대신 공유기 WebGUI에 접속한 게 아닌지?)

    2) 모뎀 ↔ 단말기 사이에 다른 라우터(일명 공유기)가 존재하지 않는지?

    3) S-DMZ에서 지정한 Mac-address가 단말기의 Mac-address와 정확히 일치하는지?

    4) 단말기 레벨에서 조회한 기본 게이트웨이 값을 제대로 식별하였는지?

    5) 만약 기본 게이트웨이가 내부IP라면 단말기 기본 게이트웨이 클래스가 모뎀의 클래스와 동일한지?

    이렇게 말이지요^^;;;
    나름 쉽게 정리해 보려 했는데도 꽤 복잡한 글이 되지 않았나 우려됩니다.
    부디 하나씩 살펴보면서 '잡았다, 요놈(?)'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 문의게시판
  • 80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