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고싶은 것이 있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원래 sk를 쓰다가 kt가 꽂는대로 공인ip가 들어온다는 말을 듣고 몇달전에 kt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sk의 경우 허브모드 사용 시 저희집 같은 경우 공인ip가 7개까지 들어왔었는데요. 제가 공인ip가 딱 8개가 필요한 상황이라 kt로 바꾸었는데 설치한 후 giga utp 모뎀 아래에 8개의 공유기를 연결하고 확인해보니 8개 모두 각자 다른 공인ip를 받았더라구요. 그래서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을 해보았는데 7개만 되고 나머지 하나는 공인ip가 할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이 연결이 안됐습니다. 모뎀을 재부팅을 여러번 해봐도 공인ip는 여전히 8개 모두 다 들어오지만 인터넷이 안되는 공유기가 바뀔뿐 변하는건 없었습니다. 근데 이짓을 몇시간 계속 하다보니 어느순간 8개 모두 인터넷 연결이 됐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몇달을 문제없이 사용하다가 어제 아파트 전체 전기점검으로 1시간가량 정전이 됐었는데 그 이후로 다시 7개만 들어오고있습니다.
혹시나 giga utp에 의해 뭔가 락이 걸리고있는건가 싶어서 모뎀을 떼어버리고 그 자리에 스위칭허브로 대체를 해보았는데 오히려 할당되는 ip수가 더 줄어들고 그게 할때마다 4개~6개 엄청 들쭉날쭉이더라구요
쓰다보니 가독성이 좋지않아보여 상황을 요약을 해볼게요
1. 공인ip는 충분히 꽂는대로 할당을 받지만 인터넷이 되는건 7개까지다.
2. 하지만 몇시간 이상 재부팅을 시도해보면 가끔 8개가 되는 때가 있다.
3. 그 후 문제없이 몇달간 사용했지만 정전 이후로 다시 7개가 됐다.
4. 모뎀을 떼어내고 그자리에 스위칭허브를 달아보았지만 오히려 할당 수가 줄었다.
그리고 당연한 결과라 원인추정에 도움이 되실진 모르겠지만 tracert로 경로추적을 해보면 모뎀 하단의 공유기 사설망 게이트웨이인 192.168.0.1까지만 되고 그 다음 경로인 공유기에 할당된 공인ip의 게이트웨이 주소부터는 연결이 되지 않았습니다.
공인ip는 테스트해본 결과 10개 이상 꽂는 족족 모두 다 할당이 되는데 왜 인터넷이 8개 중 하나는 안되는걸까요? 만약 7개로 제한이 된거라고 판단하기엔 몇달간 8개로 잘 쓰고 있었어서 이 현상의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