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옮기는게 이렇게 힘들줄이야 ㅜㅜ
메가패스 시절 개통을 하고;; 생각없이 KT만 계속 쓰고있다가 약정끝난지도 오래되었고
할인도 끝났는데 장기 고객이라고 우대하는것도 없고 해서 LG로 옮길까 하는데
알아보기도 힘들고 표를 봐도 어렵네요 ㅜㅜㅜ
LG에 아빠와 저 핸드폰 사용중이며 아빠는 LTE34요금제 저는 LTE62요금제 사용중
엄마만 SK사용자인데 핸드폰 바꿀 시기도 오래전에 지나서 더 낫다면 LG로 핸드폰도 옮길까 싶고..
현재 sk에서 요금은 3만원 전후반으로 나오나 봅니다
가정에서 컴터 한대만 사용중이며 게임보다는 엄마가 블로거시라 인터넷 이용만 속도 무리없이 잘 되면 좋을거같아서
큰 차이 없다니 19요금제가 저렴해서 좋을거 같은데 현재 KT도 비싼요금제 쓰는건 아닌거 같은데 19요금제 써도
아프리카나 다시보기, 곰플레이어 같은 영상 감상이나 인터넷 서핑, 포스팅 정도 하는데 속도 저하 느낄정도는 아니겠죠?
안방TV는 led 모니터형 TV?로 바꾼지 좀 되었는데 거실은 아직 브라운관 티비라;;;
거실 TV는 아빠 독차지인데 아빠가 귀가 점점 안들린다고 떠나가라 볼륨을 올리는 터라 ㅜㅜ
LG UHD 이어폰 리모콘 기능이 참으로 좋아뵈더라고요 'ㅅ' TV는 엘지가 최고라고 듣기도 하고 ㅋㅋ
안되면 거실TV를 바꿔서라도 TVG UHD로 설치하고 싶은데요~
1) 19요금제 + TVG UHD 했을경우 vat 포함, 셋탑 임대료 포함하여 한달에 얼만가요? 광기가슬림으로 했을때랑은 얼마 차이나죠?
2) 핸드폰 결합을 하는게 더 저렴할거같은데 와이파이는 아이피 타임 사서 쓴지 꽤 되서 ㅜㅜ 한방의 홈보다 한방의 요가 더 나을거같은데 와이파이 대여는 필수인가요? ㅜㅜㅜ
2-1) 그렇다면 와이파이 임대료까지 합치면 얼만가요?
3) 엄마까지 LG로 옮겨서 3회선 다 묶는게 역시 나을까요? 아니면 그냥 지금처럼 SK쓰시라하고결합을 한방의 홈으로 하는게 나을까요??? 뭐가 더 나은가 ㅜㅜ
4) 집에 전화가 총 3대나....;;; 있네요 =_= KT 031 시내전화(일시정지상태), KT070(기본료없음, 통화료 조건같은것 없음,KT제공폰), 홈보이(기기값 없음, 최저가 요금제) 이런상태인데 집전화를 어떻게 정리하는게 좋을까요....
KT070은 쓰지도 않는 번호고 전화인데 KT에서 공짜니까 쓰라고 줬을때 주는거니까 받고 유지만 하고 있는상태라 없애도 상관없고 번호도 미련없고.. 031번호는 쓰진 않지만 없애면 다시 만들때 가입비나 이런게 돈이 들거같기도 하고 오래쓰던 번호라 아쉽긴하고.... 홈보이 070은 번호가 외우기 쉬운편이고 LG가입자간 무료통화로 해외에 있는 이모랑 통화하는 용도로 놔두는게 나을거같고....
제 생각으로는 KT031은 시내전화니 그냥 유지시키고 홈보이랑 tv랑 인터넷 묶는 방법 또는 cpg추가하여 031번호를 번호이동시켜서 묶는것 생각해봤는데요 요금이나 지원금 부분에서 어떻게 차이나는지 알고싶습니다
5) 현금 지원금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기다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