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kt 인터넷 사용 하다가 이번에 약정이 종료 되어 바꾸려고 하는데요. sk로 바꾸려고 합니다.
skt 1기가 인터넷 + tv 뉴스마트 + 일반전화로 바꾸면 지원금 및 월 요금이 얼마나 나올까요?
현재 핸드폰은 skt 2대 쓰고 있고 한대는 59요금제로 계속 쓰려고 하고 있습니다. 지역 조회 해보니까 1기가 인터넷 사용 가능 하다고 하네요.
오호, 인터넷 약정이 만료되었군요 >_<
마침 결합할수 있는 SK휴대폰까지 준비되어 있으니 SK인터넷이 정답이옵니다!
왜냐하면 오늘날 3사 통신사의 인터넷 요금은 도토리 키재기이기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죠~! (후훗)
프리미어님은 이미 통신상품에 대해 잘 알고계시는 분인듯 합니다 >_<
SK인터넷을 특정하신 이유도 -> 휴대폰 결합때문에 선택해주신 걸테죠?
(대단하시옵니다bb)
그런데 변수가 조금 많아서요 ^^;
차근차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첫 번째 허들
SK의 휴대폰 결합상품은 무려 5가지나 되는데요
그 중에서도 휴대폰 2대 결합에 적합한 녀석은 "온가족플랜"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59요금제라 함은 오늘날 부가세가 포함되어 개명당한(?)
월정액 65,890원짜리 "밴드데이터 퍼펙트"일텐데요~
1) 온가족플랜은 이 '밴드데이터 퍼펙트' 요금제를
"고가요금제 취급"을 해줍니다.
2) 해서 온가족플랜으로 휴대폰 2대를 결합할 때 ->
"고가요금제" 휴대폰이 단 1대라도 포함되어 있다면 ->
3회선 결합에 준하는 예우(?)을 해주거든요?
3) 이 예우의 댓가는 무려 8,800원입니다!!
쉽게 말해,
휴대폰 2회선을 결합하더라도 "요금제"에 따라
매월 8,800원이 좌우되는 격이에요^^;
그런데 함정이 있습니다.
이 고가요금제 취급은 오직 100메가급 인터넷에서만 해준다는 겁니다.
즉, 기가급 인터넷에는 오직 "휴대폰 결합대수"만 본다는 거죠;;;
해서 여쭙고 싶습니다
이 8,800원의 요금할인을 포기하면서까지
기가급 인터넷을 선택하실 건가요?! +_+
2. 두번째 허들
어차피 100메가급 vs 기가급(500메가, 1기가)의 선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터넷 사용 목적"입니다!
비싼(?) 인터넷 요금제를 사용하더라도
인터넷 속도를 좌우하지 않거든요?
요 녀석들의 차이는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의 량이 늘어나는 것이고요!
이말인 즉, "대역폭"의 차이라는 겁니다 ㅎㅎ
쉽게 비유해보자면,
물병에 5L가 담겨 있고 병을 빨리 비워내고 싶어도 ->
병 입구가 10cm밖에 안된다면
한 번에 많은 양의 물을 토해내지(?) 못하고
병 입구만큼 나가는 물의 양이 제한 받게 되잖습니까~?
허나, 입구가 50cm로 늘어나게 되면 얘기는 달라지죠 ㅎㅎ
즉,
1) 대용량 컨텐츠(영화, 드라마 다운로드)를 즐겨 사용하신다면
기가급 선택으로 -> 신세계를 경험하실 테고요 >_<
2) 인터넷을 사용하는 목적이
단순 와이파이 셔틀(?), 웹 서핑용 정도라면
100메가급 인터넷으로도 충분하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1기가급에 대한 눈길은 거둬주십시요
일반 가정환경에서는
솔직히 1기가까진 오버스펙이기 때문이에요;;
1) 즉, 특수한 목적이 있는 게 아니라면
1기가는 "빛 좋은 개살구" 인 셈입니다
어차피 대용량의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받는 행위가
일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도 아닐 뿐더러
기가급이 필요하다면 500메가급만으로도
업로드/다운로드는 충분히 신세계(?)를 경험할 수 있거든용?!
(엄청난 헤비 업로더분은 아니시겠죠?)
2) 그리고 실제로 기가급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서도
8할 이상이 500메가를 꾀하고 있다는 것도 좋은 반증이 되겠죠?!
3) 게다가, 1기가는 33,000원이니 요금이 너무 비싸잖습니까?!
그러니 기가급 인터넷을 염두하신다면
500메가급을 선택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100메가급 -> 500메가급 -> 1기가급으로 갈수록 5,500원씩 비싸집니다.
즉, 100메가는 22,000원이고 -> 500메가는 27,500원 -> 1기가는 33,000원이죠~!
이에 대한 프리미어님의 생각은 어떠하신가요?
3. 세번째 허들
집전화가 꼭 필요하신가요?
다소 오지랖일 수 있기에 조심스럽지만..
제가 집전화를 부정하는 이유는 총 5가지입니다.
1) 일단 오늘날 휴대폰 보급률은 인구수를 넘어섰(?)습니다.
2) 그리고 휴대폰 요금제가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면서
"음성통화"는 무제한으로 풀렸지요.
즉, 핸드폰 통화료 부담이 없어진 이 시대에,
집전화의 존재가치는 거의 없다시피 한 게 사실이에요.
3) 통화할 수 있는 장소가 "집"으로만 한정되는
집전화가 꼭 필요하신지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4) 참고로 집전화 상품을 추가해도 -> 사은품 차이가 크지도 않습니다
SK의 경우, 꼴랑(?) 3만원만 더 주고 있거든요?
이미 통신사 수익구조가 "음성통화"가 아닌 "데이터"에 의존하다 보니
집전화는 계륵(?)같은 존재거든요~? 자사에 메리트가 없는 거죠 ㅠ
5) 게다가, SK는 집전화의 설치비까지 받아가고 있습니다~!
메이저 통신사들 중 유일하게 집전화의 설치비까지 받아갑니다.
일반(국선)전화는 13,200원이고요~
인터넷전화는 6,600원을 청구해가고 있어요;;
그러니 이를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프리미어님의 의중을 알려주시겠어요?!
4. 네번째 허들
준비되있는(?) SK휴대폰이 2대가
혹~시 프리미어님의 명의로만 된 건 아니시죠?
(즉, 동일명의 휴대폰이 아니신거겠죠?+_+;;)
이를 여쭙는 이유는
KT는 본인명의 휴대폰 2대까지 인터넷과 결합할 수 있는데요~!
SK는 본인명의 휴대폰 1대만 결합할 수 있습니다
즉, 프리미어님의 명의로 된 SK휴대폰이 2대라면
인터넷에 결합할 수 있는 휴대폰은 딱! 1대까지만 허용이 된다는 것이에요 ㅠ
허나, 재밌는 점은
휴대폰 2대가 2009년 5월 31일이전에 개통한 휴대폰이라면
인터넷에 휴대폰 2대 모~두 결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물론.. 요건 아니시겠죠?ㅎㅎ)
아마 휴대폰 2대라는 것은 가족분의 휴대폰까지 포함하여
말씀해주신 거라 짐작되긴 하지만.. 노파심에 여쭙습니다 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