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kt 올레 기가인터넷 500메가를 사용중입니다.
일반적으로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광케이블이 들어와야한다고 알고있습니다.
kt 본사 (서버) - ftth - utp - (공유기) - 각 pc 혹은 핸드폰 등
건물 방
위와 같은 구성이 가장 일반적인 인터넷 연결이며
ftth는 상황에 따라 건물 지하 혹은 방으로 직결 되는것까지 공부했습니다.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아파트 전체에 광랜이 깔리고 각 가정마다 신청을 해서 사용하지만
저처럼 원룸에 살고있는 경우(즉 광케이블이 없는경우)에는 근처에 전신주가 있거나 하는 경우에만
ftth 모뎀을 이용해서 집으로(창문으로) 직접 광케이블이 들어오고
이를 ftth 모뎀(기가 fiber모뎀)에 연결하고 (와이파이 공유기가있다면 연결)
그리고 pc나 핸드폰(무선) 등을 연결할수 있는데요
이번에 새로 이사한 원룸에는 2년정도된 신축 건물이라 건물 지하에 아파트처럼 ftth가 들어와있더라구요
그래서 각 집에 광케이블이 들어오지 않고 벽에있는 랜포트를 통해 utp케이블 (cat 5.e이상)을
kt giga utp4 모뎀에 연결하고 이를 아수스 공유기에 연결하고 그리고 pc에 연결에서 사용하고있는데요
이같은 경우에 utp4 모뎀이 하는 역할이 무엇일까요?
특별한 역할이 없다면 (일단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없는거같습니다)
제거하고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그래도 되나 여기저기 찾아보며 공부한 바로는
1. utp 모뎀을 사용하지 않을경우 기가 증폭이 되지 않아 100메가 속도로 제한된다?
- 광케이블및 cat5.e이상의 케이블이 (4쌍이상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 제대로 시공되어있는경우 큰 이슈가 없을거같은데
- 일단 제 경우에는 벽면 랜케이블 - 아수스 공유기 - 컴퓨터 로 연결했을때
- 다운로드 업로드 모두 450정도의 속도로 정상 작동했습니다.
2. kt 인터넷을 신청햇는데 이게 개인 아이디 역할을 하나?
- 그러려면 벽면에서 아수스 공유기로 바로 연결했을때 인터넷 자체가 안되야하는데
- 잘 되는것으로 보아 건물 지하 ftth 광케이블 단자에서 가정별로 아이디를 직접 부여하고있는것같음
3. 단순한 유선 공유기 역할?
-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신청하면 해당 주소로 회선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 기사님들이 물리적으로 연결한 회선에서 엑세스 권한을 부여하면 끝나는것으로 생각됨
- 다만 이렇게 끝나면 일반적인 가정에선 (컴퓨터 혹은 인터넷에 대해 잘 모르는)
- 인터넷을 어떻게 사용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 가장 저렴한 (원가 절감) 유선 공유기를 제공하고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할수 있도록 하며
- 컴퓨터를 두대이상 사용할경우 에도 해당 유선 공유기에 랜선만 구매하여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수 있고
- 추가적으로 와이파이를 원하는경우 (해당 모델 혹은 인터넷 구매 유도) 등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 가장 작은 번들 공유기 단위가 아닐까 생각
이런식으로 정리되는데 따로 빼서 사용하는 경우도 없는거같고
utp, ftth에 대한 개념도 많이 정리된 경우가 없는것 같더라구요
그나마 조금 전문적인 글들은 대부분 백메가에서 나오는거같아서
제가 생각한게 맞나 질문드려봅니다.
질문이 너무 생각한 플로우를 따라서 적다보니 중구난방인거같아서 걱정되네요 ㅜ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