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국내 서비스에 비해 해외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인터넷 속도가 많이 느려 고민이 많으신 듯 한데요..
다소 이야기가 길어질 거 같아
아래에서 차근차근 짚어보며 말씀드릴게요 +_+
1. 먼저.. fast.com으로 속도 측정하는 건
넷플릭스 해외서버와 자신의 클라이언트와의 상대적 속도를 측정한 값입니다.
즉, fast.com을 통해 측정한 결과가
전체적인 해외 망 품질을 대변하지는 않아요^^;;;
게다가 넷플릭스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캐시서버를 보유하지 않은 KT 망의 부하가 커지고 있고
특히 이용량이 급증하는 저녁 시간에는 더욱더 속도 저하 문제가 있지요ㅠ
2.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신지 알 수 없으나
최근 구글 드라이브 속도 문제로 고민하는 몇몇 사용자분을 뵌 적이 있습니다.
구글 IDC를 이용하는 서비스 대표적인 것이 구글 드라이브와 유튜브가 있는데
최근 구글 IDC쪽으로 연결되는 속도가 엉망(?)이거든요ㅠ
웹서핑하면서 관련 문제를 겪고있다는 분들의 이야기도 보셨을 지도 모르겠네요^^;;;
구글에서 대한민국 리전을 구축한다 했으나 (내년 초 예정)
그 전까지는 해외망 QoS에 시달릴 것이고 변동도 클 것입니다.
이는 KT 뿐만 아니라 SK와 LG도 다를 바 없는 상황이지요 ㄷㄷ
3. KT는 해저대역을 소유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라
모든 기간망 통신사 중에 해외 망을 가장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LG와 SK는 국가간 트래픽 공유에 대한 비용을 아끼기 위해
해외망 대역폭을 비교적 적게 열어주기 때문이지요;;)
다른 통신사와 마찬가지로 KT도 해외망에 대한 QoS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아무리 라우트 경로가 좋아도 온전한 기가급 속도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합니다ㅠ
게다가 통신사들이 보장하는 인터넷 망 품질은
국내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다운로드 속도" 뿐이라
KT 본사 고객센터에 장애신고를 하셔도
따로 해드릴 수 있는 것이 없다는 회신이 올 것이에요. 크흡...
4. 안타깝지만... 지금으로선
매콤펀치님께서 시도해보신 방법 뿐입니다.
즉, 장시간 모뎀을 꺼두고
다시 연결하여 이용해보는 방법이 최선이에요.
운이 좋으면 유동IP가 변경될터인데
그러면 라우트 변경 가능성도 생기거든요ㅎㅎ
물론... 라우트 경로라는 것이 애초부터 일정하지 않고
종단IP가 변경된다 해서 라우트 경로가 변경된다는 보증도 없지만...
(애초에 종단IP는 통신사에서 로컬(지역)별로 고정 할당을 합니다^^;)
밑져야 본전이니 몇 번이고 시도해보는 것이지요;;
요약해드리면,
1) fast.com으로 속도 측정하는 것이 모든 해외 망 품질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2) 통신사에서 규정 상 해외 망 품질을 보장하지 않아
KT 본사에 문의하셔도 속 시원한 해답을 듣지 못 하실 거예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