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 백메가의 도움으로 저도 본가에서도 인터넷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문의는 좀 복잡(?)한데 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빌라 거주중으로 sk 브로드밴드 각종 결합(휴대폰 SKT 사용, SK 가족결합? 등등) 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부터 계획했던 인테리어 공사로 인해 해지신공(?) 등 쓰지 않고 약정기간은 다 끝난채로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랜 인터넷 34000 -23000 = 11000, TV 23300 -9000 = 14300 / 계 25300)
인터넷 기본료 기본료 33,000원
요금할인 약정할인 -13,000원
TB결합할인(인터넷) -10,000원
부가가치세(세금) 부가세(B)* 1,000원
TV 기본료 기본료 22,000원
요금할인 TB끼리 TV플러스할인 -1,000원
약정할인 -6,000원
결합할인 -2,000원
부가가치세(세금) 부가세(B)* 1,300원
몇 년 전 SK 약정 끝나고 타사 이전 문의드렸을때 조건이 현재가 좋다고 유지하라 답변 주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현재 인테리어 계획중으로 다음 달부터 공사 진행예정이고, 공사기간 대략 6주(최대 2달) 지금 거주지 근처에 있는 다른 집 구해서 거주할 예정인데, 비어있는 집이라 사는동안 인터넷 설치 필요합니다.
1. 이전 설치비가 드는 걸로 아는데 지금 sk 이전설치로 가져가고 다시 이전설치로 가져오는게 제일 나을런지요?
(고객센터서 이전 설치비 이전 때마다 대략 2만 몇 천원 나온다고 하네요.)
타사 인터넷 쓴다고 하면 대부분 설치비에 약정이 달리거나 단기로는 금액이 더 커질 수 있다 들었는데 저렴하게 단기로 쓸 수있는 인터넷 상품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지금도 TV 는 넷플릭스 위주로 보고 Btv 는 거의 안보고 있어 임시 거주지에서는 TV 는 필요없고 인터넷만 쓰면 됩니다. 지금 집에서도 사실 Btv 유지하는게 의미가 있는지 고민입니다. 인터넷만 쓸 경우 금액이랑 차이가 별로 없는 걸로 알아 유지중인데, 비교해보고 차이가 크다면 Btv 는 장기적으로 해지도 고려중입니다.
2. 인테리어 공사업체에서 지금처럼 외부에서 인터넷 선 들어올 경우, 사용할 회사 미리 정해서 상의해서 선을 넣어놓아야 선 안보이게 (또는 덜 보이게) 할 수 있다고 업체 정해서 기사님과 미리 이야기가 되어 있어야한다고 합니다. 이런 건 Sk 그대로 쓰더라도 미리 연락해서 설치 기사님과 조율을 해야하는거겠지요?
계약이 되어있지 않은 업체에서는 선을 미리 넣어줄 리가 없기 때문에 여러 회사 선을 미리 넣어놓을 수는 없을 거고, 인테리어 측면에서는 새로 선 넣는게 보기 싫으면 한 곳 정해서 계속 써야 할 거라고 하네요. 지금은 집 외벽에 작은 구멍 뚫어 인터넷선 그리로 들어오고 문선 따라 돌려 내려서 TV 뒤 숨겨놓은 모뎀(?)까지 연결되는데 일부 선은 노출되어 있습니다. (오래전 KT 랑 TV 케이블 업체 한 번씩 써본 적 있는데, KT쓸때는 집에 매립된 랜케이블(?) / 케이블 업체는 매립된 TV 케이블 쪽에서 선 뽑아서 썼었는데, SK로 바꿀 때는 외부서 선들어오는 방법밖에 없다 했습니다. 지은지 20년 넘은 구축 빌라인데 요즘 아파트들처럼 집에 매립된 선으로는 연결 안된다 했었습니다. )
3. SK는 전에 백메가 문의 후 한 번인가 두 번 해지신공 해봤는데, 지금 금액이 할인이 커서 거의 혜택이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추가 약정해도 더 이상 할인 없고 한 자리수 상품권이 최대였던 것 같습니다. 인테리어 계획으로 인터넷 해지나 변경할 수도 있을거 같아 지금은 일부러 약정없이 쓰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하는 상황에서 해지신공도 의미 없을 거 같은데 지금 가격이면 이대로 쭉 가도 충분히 좋은 금액인지요? 지금도 외부서 선 안들어오고 매립된 걸로 가능하다면 금액 차이가 많이 크지 않다면 KT 로 가야할지도 고민중입니다. KT 도 외부선 새로 들어와야하면 고려할 이유는 없을 거 같구요. 지금 SK 브로드밴드는 선 외부서 들어오는데, 인테리어시 이거 덜보이게 또는 안보이게 하는데도 추가 비용이 들고 잘 숨겨놔도 혹시나 선 끊어지면 골치 아파질 거 같습니다. 전에 한 번 집 밖에 인터넷선을 누가 실수로 끊어놔서 새로 선 다시 넣은 적 있습니다.
4. 기가인터넷이 의미가 있을까요? (백메가 참고글은 읽어보았습니다. )
큰 아이가 게임을 조금 하고 사실 나머지 가족은 컴퓨터로는 웹서핑이나 인터넷 강의 정도 듣습니다. 당연히 업로드 다운로드 많이 할 일은 없구요. 현재 유선 연결로 컴퓨터 2대, 나머지는 다 와이파이 무선 연결로 쓰고 있습니다. 집안에서 공유기 통한 와이파이로 스마트폰, LG 스탠바이미, 각종 패드, 노트북 등을 쓰는데 이게 기가 라이트(500M)로 바꾸면 체감되는 속도상승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따져 보니 집에 무선으로 쓰는 제품이 꽤 많긴하네요. 아이패드나 노트북은 확실히 유선보다는 조금 느리게 느껴지긴 합니다.) 백메가에 올려주신 참고글 보니 기가인터넷 의미 없는거 아닌지 좀 헷갈립니다.
그리고 현재 집안 콘센트 옆에 매립되어 있는 랜케이블(인터넷 연결선?) 으로는 기가로 올리면 유선연결 컴퓨터는 한 대만 쓸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오래되서 기억이 정확하진 않은데, 현재 100메가 속도로는 그 선을 나누어 써서 최대 두 곳에서 쓸 수 있다고 기사님이 이야기해주신 걸로 기억합니다.
인테리어 하면서 랜케이블 추가 매립은 천장에서 벽을 따고 내려가야 숨겨져서 일도 많고 비용도 꽤 든다 해서 일단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확실히 무선보다는 유선연결이 속도도 잘 나오고 안정적일텐데, 기가 인터넷 사용시 전 유선 포기하고 게임하는 무서운(?) 사춘기 아들방만 안정적인 유선 써야하나 하고 있습니다.
(제가 해당이 되는지 sk 에 아직 문의는 안해봤는데, 와이파이 포함 3년 약정하면 기가 라이트 2200원 추가로 하는 행사도 있다고 홈페이지에 나오긴 하네요. 현재는 기가 와이파이 지원되는 공유기 제가 따로 사서 쓰고 있는데, 3년 약정하고 와이파이 장비 임대료 추가해야한다면 2200원 추가로 기가 라이트 쓰는 가격 메리트는 별로 없겠지요? )
상황이 특별하다 보니 질문이 두서 없이 주저리주저리 너무 길었네요.
개떡 같은 질문이지만 찰떡같은 대답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