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인해 →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하면 위약금을 면제해준다는 소식, 다들 들어보셨지요?
그런데 막상 알아보려 하면
"도대체 뭐가 어떻게 면제된다는 거야?" 하고 갸웃하실 것 같아
현실 밀착형 Q&A를 준비해봤습니다.
번호이동이 뭔데?
내가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한 채, 통신사만 바꾸는 것을 의미해요.
휴대폰을 쓰려면 전화번호 + 단말기(=휴대폰 기기) + 요금제(=통신사)
이렇게 3가지가 필요하잖습니까?
번호이동은 이 중 전화번호만 그대로 두고, 요금제만 교체하는 겁니다.
위약금은 무엇인데?
통신사들은 일정 기간 요금제를 사용하는 조건으로 통신 요금을 할인해줍니다. 이게 바로 약정 기간인데, 이를 다 채우지 못하고 다른 통신사로 떠나면 위약금이 발생하지요.
즉, 위약금은 "약속을 지키지 못했으니, 약속의 댓가로 할인 받은 일정 금액을 변제해라!" 이겁니다.
현실 밀착형 질문과 답변
Q. SK텔레콤 사용자는.. 진짜 모든 위약금이 면제되나요?
A. 그렇진 않습니다.
이번 조치로 면제되는 것은 요금제에 대한 위약금 뿐이에요. 만약 단말기(=휴대폰 기기)를 통신사에서 할부로 구매했다면, 번호이동과 동시에 잔여 할부금은 전액 납부해야 합니다.
Q. 번호이동하면.. 유무선 결합은 어떻게 되나요?
A. 안타깝지만, 해제됩니다.
오늘날 휴대폰 + 인터넷을 결합해 요금할인 받는 건 상식이잖습니까? 이를 유무선 결합이라 하는데, 휴대폰을 SKT에서 타사로 번호이동하면 → 유무선 결합도 해제됩니다. 즉, 인터넷 요금이 이전보다 올라갈 수 있으니 번호이동 전 꼭 계산기를 두드려보시길 권장합니다.
Q. 꼭 25년 7월 14일까지만 가능한가요?
명목상 위약금 면제 기한은 7월 14일까지로 발표됐지만, 아래 사유에 해당하면 "관련서류 제출 + 사유 해소 후 10일 이내 해지" 조건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장기 입원자 : 입원사실확인서
- 군 복무자 : 병적증명서 또는 복무확인서
- 국외 체류자 : 출입국사실증명서
- 도서·산간 지역 거주자 : 주민등록 관련 서류
- 형 집행자 : 수용 증명서
Q. 전 가입년수가 길어서... 번호이동은 꿈도 못 꿔요.
A. 온가족할인(=TB결합)을 이용중이신가보군요? 가입년수에 따라 최대 30%에 달하는 요금할인을 받고 계실테니, 번호이동을 망설이실 만 합니다.
그런데 사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SKT 측에 [고객 정보 보관 동의]만 하시면 →
나중에 다시 SKT로 돌아와도 가입년수를 이어받을 수 있거든요? (36개월까지 가능)
다만 [고객 정보 보관 동의] 절차가 아직 제대로 구비돼 있지 않아, SKT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이 사실을 전화 녹취로 남겨두는 게 현실적이에요. (혹시 모를 정책 변경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관련 내용이 SKT 홈페이지에 고지되어 있긴 하나, 관련 절차 안내가 불분명합니다 ]
4줄 정리하자면
✔️ 번호이동 = 번호만 두고 통신사 갈아타기
✔️ 위약금 = 할인 받은 만큼 뱉어내는 돈
✔️ 위약금 면제 = 요금제 위약금만 해당, 단말기 할부금은 별도
✔️ 가입년수 = 고객정보 보관 동의하면 가입년수 유지 가능
통신사 이동, 해킹 사태 면제, 위약금 계산… 헷갈리신다면? 언제든 백메가가 현실적인 선택지를 함께 고민해드릴 것이니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