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이수빈님의 글

새로운 소식 올것이 왔습니다, 10기가 인터넷 by KT

회원님의 사진
  • 이수빈
  • 댓글: 138
  • 조회: 71,597

KT에서 1기가(1Gbps) 인터넷을 선보인 게 2014년 10월인데, 딱! 4년만에 10기가 인터넷이 상용화 되었습니다. 이는 블루레이 버전 30GByte 동영상 한 편을 이론상 24초만에 받을 수 있는 속도이니..


자, 여러분... 그녀들의 안식처 용량 증설이 시급해졌습니다!

 

 

 

wz_1028236157_d99119ca42e35bfa7fbc7fba9ab1d88a.jpg

[자고로 하드디스크는 大大익선이지요 ㅎㅎ]

 

  

물론 SK에서 앞선 5월에 2.5기가 요금제를 출시했으나, 과자보다 질소함유량이 많은 제과회사 마냥 허풍선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어차피 단말기(이하 컴퓨터)가 실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속도는 1Gbps가 최대치였거든요?

 

 

 

wz_1028236157_fb5c81ed3a220004b71069645f112867.png
[SK의 2.5기가 인터넷 구조도. 안타깝게도 모뎀 ↔ 단말기 구간의 최대 대역폭은 1Gbps에 그칩니다]

  

 

다행히 KT가 출시한 10기가 인터넷은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습니다. 환경과 조건만 갖춘다면 10기가급 "리얼 참트루" 대역폭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가계경제에 보탬 되시라고 공유기도 2대씩이나 무상 임대합니다!

  

하.지.만. 누구나 이를 경험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무려 4가지 선행조건을 충족해야 당신도 비로소 10기가 인터넷의 오너가 될 자격을 갖춘답니다. 언젠가 제 동생은 말했지요.

"누구나 해병대가 될 수 있다면, 나는 해병대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매우 쉬운(?) 4가지 선행조건

 

2.5~10기가급 인터넷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아래 4가지 조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1) 희대의 재력가 

 

wz_1028236157_33d997d693d7e25dee693363ace02dba.gif
 

당신의 지갑사정은 어떠하십니까? 10기가 인터넷은 3가지 요금제(2.5~10G)로 나눠지는데 압도적 대역폭 크기만큼, 요금도 경이롭습니다.

 


 요금제

최대속도

일일 기가 QoS

최저보장속도

월 요금(원 +VAT)

 100메가

~ 100Mbps

해당없음

50Mbps

22,000 

 0.5기가

~ 500Mbps

150GByte

250Mbps

33,000 (*27,500) 

 1기가

~ 1,000Mbps

150GByte

500Mbps

38,500 (*33,000) 

 2.5기가

~ 2,500Mbps

250GByte

1,250Mbps

44,000 (*38,500) 

 5기가

~ 5,000Mbps

500GByte

2,500Mbps

60,500 (*55,000) 

 10기가

~ 10,000Mbps

1,000GByte

5,000Mbps

88,000 (*77,000) 

*) 별표의 요금은 핸드폰 혹은 IPTV를 결합하는 경우입니다.



인터넷의 표준이라 할 수 있는 100메가급 인터넷에 비해 1기가급이 1.5~1.8배 수준 요금이었던 반면, 10기가급은 무려 3.5~4배 수준이거든요? 2~3만원대 인터넷에 익숙해진 우리들에게 8~9만원대 요금은 상당히 높은 진입장벽입니다. 유선 인터넷이 스마트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보다 비싼 시대가 오다니 감개가 무량하다 못해 시무룩해집니다 ㅠ

 



2) 압도적 네트워크 환경 

 

값비싼 요금을 지불한다 해도, 우리집까지 들어오는 네트워크 환경이 2.5~10기가 인터넷을 소화하지 못한다면 아이고 의미 없습니다. 국내최고의 유선통신 인프라와 기술력을 갖춘 KT이긴 합니다만... 아직까진 광케이블 기반 인터넷이 들어올 수 있는 환경에서만 서비스되거든요?

 

 

wz_1028236157_d82319912041449cd31bdb7e7569d171.jpg[요로코롬 생긴 "광케이블"이 댁내까지 들어오는 환경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UTP케이블로 인터넷이 공급되는 대부분의 아파트들과 오피스텔(이하 FTTB)은 그림의 떡입니다 ㅠ 다행히 KT에서 내년 1~2분기쯤, FTTB 기반에서도 10기가를 만끽할 수 있는 장비를 보급할 예정입니다. 최근 분양되는 신축 아파트 조차 대부분 FTTB 방식 구내선로를 가지기에 FTTB용 장비 보급은 필연적이지요.

 

#한 줄 요약 : FTTH-R만 가능하고 FTTB는 해당없음, 다만 내년에 10G ONU 장비 도입예정.

  

 

 

3) 아낌없이 주는 시공사

 

KT에서 장비를 보급한다고 끝은 아닙니다. 아파트의 UTP케이블(일명 랜선)이 Cat.6 등급 이상이어야 1기가 이상의 트래픽 처리가 가능합니다.

 

 

 

wz_1028236157_794cdb9c73f8c687c66ee249c67e263a.jpg

[생김새는 비슷해도, 내실은 다릅니다] 

 

  

안타깝게도 원가절감에 사활을 건 시공사들의 노력 덕분에 대부분의 아파트는 Cat.5e 등급 UTP케이블이 포설되어 있는게 현실입니다.


또한 모뎀 ↔ 컴퓨터 구간 뿐만 아니라

■ 아파트 통신실(MDF)에서 → 우리집 통신단자함까지

 통신단자함에서  각 방으로 연결된 구내선로(벽면 랜포트)까지

 벽면 랜포트에서 → 컴퓨터(단말기)까지

모~든 구간의 UTP케이블이 Cat.6 등급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한 줄 요약 : 혜자스럽게 Cat.6 등급 UTP케이블로 시공된 아파트만 가능. 

  

 

 

4) 하이엔드급 환경

 

우리집이 정보통신 특등급 아파트거나 광케이블이 통째로 들어오는 주택이라 해도, 하드웨어가 안 따라주면 허사입니다.

 

첫번째는 저장소(디스크) 문제입니다.

10기가 인터넷은 초당 1,250 MByte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요~ 시판되는 하드디스크나 SSD는 이 속도를 감당할 수 없습니다.



 

wz_1028236157_8266e4bfeda1bd42d8f9794eb4ea0a13.png

[WD 8TB 하드디스크 벤치마크 결과.

초당 180Mbyte 속도로는 1,250Mbyte 네트워크를 감당할 수 없기에 병목이 발생합니다]

 

 

즉, NVMe 규격 SSD 정도는 되어야 10기가 인터넷 대역폭을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지요 ㅎㅎ 또한 고가의 NVMe SSD를 대용량 콘텐츠 저장소로 사용하는 경우는, 초밥을 사서 사치스럽게 회만 냠냠 발라먹는 분 만큼 드물 겁니다.

 

 

두번째는 어댑터 문제입니다. 

오늘날 시판되는 컴퓨터의 Ethernet 랜카드나 공유기 허브 등의 WAN / LAN 어댑터는 최대 1Gbps 규격입니다. 결국 10기가를 지원하는 랜카드나 USB 젠더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데

1) 20만원이 족히 넘는 가격도 부담스럽고

2) 데스크탑 전용 제품을 찾는 것 자체가 미션 임파서블입니다. (대부분 서버용입니다)

 

 

wz_1028236157_a992f07d19721dbf74df68c1ed4e7c56.jpg[10기가 Ethernet 어댑터는 가격부터 넘사벽입니다]

 

 

KT에서 내년 상반기에 LAN ↔ USB 젠더를 저렴한 가격에 출시/판매한다고 하나, 얼마나 저렴할 지 미지수이며, USB 3.0 인터페이스 최대 대역폭이 5Gbps 라.. 10기가는 무리데스요..

 

 

------

 

참 쉬운 조건들이죠?

요약하자면 :

당신이 정보통신특등급 아파트에 사는 IT오덕 자본가이거나, 무료한 인생의 자극제가 필요한 얼리어답터라면,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셈입니다.


 

 

 

아쉬운 점. 

 

10기가 인터넷은 몇가지 사소한(때에 따라 거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또 친절하니 구조도를 첨부해봅니다.

 

wz_1028236157_1266cbf14c90cf6ee4a8574017df3cbe.jpg[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1) 현실적으로 10기가 유선(ethernet)을 만끽하는 건 어렵습니다. KT 10기가 모뎀은 4개 LAN포트를 제공하는데요, 이 중 1개만 10기가를 지원하고 나머지 3개는 1기가 포트입니다.

 

 

 


wz_1028236157_0b40513644152f87cd163e8c6e448ec8.gif
[1개포트만 열심히 10기가로 캐리하고.. 나머지는 들러리입니다]

 

  

우리가 1Gbps 이상의 무선(와이파이) 속도를 구현키 위해서는 공유기에게 10기가 포트를 넘겨줘야 하겠지요? 하지만 오늘날 시판되는 공유기의 99.99999%는 1기가 LAN 포트를 탑재하고 있으니 공유기와 UTP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들은 최대 1Gbps 속도만 가능합니다.

 


2) 물론 모뎀의 10기가 포트를 특정한 컴퓨터 1대에게 내어주면 (적어도 그 컴퓨터에서는) 10기가급 트래픽을 만끽할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 컴퓨터는 내부 네트워크로 묶이지 않은 독고다이(?)가 되겠지요. 댁내의 수많은 단말기가 내부 네트워크로 한 데 묶이기 위해서는 공유기(AP) 하위에 종속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누구에게 필요한가?

 

KT에서는 얼리어답터 사용자(약 10%)가 2.5~10기가 상품을 택하리라 행복회로를 가동하고 있습니다만, 삶이 언제나 그러하듯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잔혹한 법이죠. 아직까지는 고대역폭 생태계의 필요성이 전무합니다.

 

 

 

wz_1028236157_9bf4989c13221da464270f151d4201b2.jpg
[어느 시장에나 통용되는 사용자 모델.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이지요!]

  

 

개인적으로 예상컨데 이노베이터에 해당하는 2.5% 전후 사용자가 2.5~10기가를 택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 예상은 항상 빗나가더군요;;) 물론 KT에서 기존 가입자들에게 겁나게 신박하고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시행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수요에 의해 사용자층이 형성되는 것이라 보긴 힘들죠.

 

 

하.지.만.

아래 4가지 부류의 사용자는 10기가 인터넷을 선택할 가치가 충분이 있습니다!

 

 


1) 시대를 선도하는 개척가


wz_1028236157_6917184762b7306234fd83ee5eb39a55.gif

그들의 존재는 세상이 발전하는 이유입니다. 모두가 새로움을 두려워할 때에도 그들은 망설이지 않습니다. 먼저 실행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경험을 정리하여 만인에게 공유합니다. 관심병 말기의 셀럽이 아닙니다, 그저 그들은 승부사입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리눅스 성애자 비중이 높으며 스택오버플로우는 그들의 성경입니다. 아 혹시 당신입니까? 어서 빨리 10기가 인터넷을 청약하십시오.



 

2) 슈퍼 하드코어 게이머


wz_1028236157_0331f1beab22fb6d25616fda3a99b07b.jpg


그들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인터넷 대역폭 따위는 온라인 게임성능과 단 1%의 상관관계도 없다는 사실을 말이죠. 하지만 그들은 지뢰찾기 게임에도 i7 CPU와 32GB 메모리가 최소사양이라 믿는 부류입니다. 농부가 되고 싶으면 명동 한복판에도 벼를 심을 사람들입니다. "장인은 도구를 탓하진 않지만, 굳이 꾀죄죄한 도구를 쓸 필요는 없다." 이 말에 동의하십니까? 그렇다면 10기가 인터넷을 청약하십시오.

 



3) 아가페적 헤비 업로더

 

wz_990571112_e69ed2e57ddc0e6e442fbca51bf04002.jpg
 

"취앤궈 쭈이따더 메이뉘 뤄롄지에따이쫑신 샹시앤라." 이 대사가 자동 음성지원된다면, 당신은 이미 중독자입니다. 그들이 있기에 대한민국은 따뜻합니다. 그들의 시드와 피어안에서 굶어죽는 이가 없습니다. 더욱 많은 이들을 구원하고 싶습니까? 10기가 인터넷이 날개를 달아 줄 것입니다.


 


4) 하이엔드 얼리어답터


wz_1028236157_c9fd6fdf6a48d3cd44e325e95e7cf0b5.jpg

사실 그들은 얼리어답터로 분류되는 것을 싫어합니다. 누구에게 관심받고 싶어 최고의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개척가와 닮았습니다. 하지만 자신들의 미묘한 콜렉션을 알아봐주는 이가 있다면 악마와도 친구먹을 준비가 된 사람들이죠. 그들이 싫어하는 단어는 가성비, 엔트리, 마이크로 소프트입니다.


맞습니다. 바로 당신입니다.



 

마치며. 

 

 

wz_1893618444_e2a3ee603f6b0e9b43a96305dfa2289b.jpg

 

비로소 10기가 인터넷이 상용화 되었지만, 아직까지는 킬러 콘텐츠가 전무하고 하드웨어 발전도 더딥니다. 하지만 견고한 인프라 위에 서비스가 꽃피는 법이죠. 지금 당장은 큰 수요가 없겠지만 대용량 서비스가 가능한 "기반도로"가 갖춰졌으니 앞으로 무한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닭이 먼저냐 vs 달걀이 먼저냐네요 ㅎㅎ)


KT의 과감한 행보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더불어 5Gbps USB 젠더와 ONU 장비 공급에도 박차를 가했으면 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1.10.05 내용변경] KT 최저보장속도 2.5G~10G 변경되어 수정함

전체 댓글 138
  • 회원님의 사진 hee
    얼리어답터하니까 생각났는데 ㅋㅋ 반도체 연구한다는 사람들이 오히려 개인적으로는 10년전 컴퓨터를 쓴다거나 (물론 연구용으로는 2년전 이내 컴퓨터지만...)
    일례로 모 나이든 교수는 반도체는 아니어도 광집적회로 이런 걸 연구하는(사실상 본인이 안하고 대학원생이 하긴 하지만) 사람이었는데, 아직도 학부생 대상으로 수업하면 CPU 3GHz의 벽 이런 소리나 하고 있고... 현실 돌아가는 걸 오히려 몰라요 ㅋㅋ 아니 그래도 어느정도 친척분야인데 관심좀 가지고 살지...
    새로운 무선통신방식을 연구한다는 사람들이 자기들 집 인터넷은 그냥 아무거나 쓴다거나 (사실 뭐 쓰는지도 모름)
    그런 걸 많이 보다보니까... 좀 아이러니하다고 해야하나 그렇더라고요 ㅋㅋㅋ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hee저도 학부생 시절에 중이 제 머리 못 깎는(?) 현상을 왕왕 목격하곤 했습니다 😁
    과거의 인상 깊은 경험이 내면의 편향으로 자리 잡아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현상은 분야를 막론하고 발생하는 듯 합니다 ㅎㅎ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