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기서 가입하진 않았지만 구글링 중에 백메가에 올라오는 답변들에 많은 도움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 질문글 남겨봅니다.
현재 skb 500mb 상품을 사용하고 있고, 집이 오래된 구축입니다.
기사님 말로는 전화선 2pair? 를 이용해 100mb로 집 내부로 들어오는 신호를 skb 모뎀이 500mb로 증폭시켜주는 역할이라고 합니다.
(모뎀명 : SM213)
현재 구성은 (벽면에 rj45꽂는 곳이 없어 전화선에서 선을 따서 rj45 커넥터 연결)
벽면 랜선 -> skb 유선 모뎀(bridge모드) -> iptime 공유기 -> PC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 nas
->iot 허브 기타 등
skb 모뎀을 NAT 모드로 사용한다면 iptime 공유기가 공인 ip 를 구성하지 못해 브릿지 모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꾸 간헐적으로 iptime 공유기에 물려있는 장치들의 네트워크가 끊어지네요..
5분 네트워크가 되다가 한 3분 인터넷이 안되다가 계속 반복중입니다.
혹시 공유기가 문제인가 싶어서 벽면 랜선 -> iptime 공유기로 물려보니 100mb로 측정되긴 하지만 전혀 끊김없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skb 모뎀이 문제겠다 싶어서 기사님을 불러서 모뎀을 교체했는데 교체하자마자 동일한 상황입니다.
혹시 nat / bridge 설정이 문제인가 싶어 skb 모뎀을 NAT으로 설정하고 공유기를 물리니 공유기에 물려있는 기기들 전체가 아예 접속이 불가했습니다.
인터넷이 안되니까 정말 답답하네요
자기네 skb 모뎀에는 아무런 문제 없이 인터넷 신호가 들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제 iptime 로그에서는 "wan1 포트의 물리적 링크가 재연결 되어 dhcp기능을 다시 시작 합니다." 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구요.
dhcp 설정도 해놨고 포트포워딩도 해놨는데.. 그것도 상관이 있을까요? dhcp는 이거랑 상관 없는거 아는데 답답하네요
공유기 기본 포트가 80포트길래 수정해서 192.168.0.1 들어가려면 포트 번호 적어야 접속되긴 합니다.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백메가 미소지기 최유진이에요~♥.♥
말씀해주신 내용은 모두 잘 읽어 보았습니다~!>.<
4페어 기반 UTP케이블 구내선로가 구축되지 않아,
SK 500메가급 이용을 위해서는 증폭방식의 모뎀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으로 해석되는데요~!
한편, SKB의 모뎀 장비가 DHCP모드로 동작될 경우?
NAT 이중화 현상에 봉착하게 되니..!ㄷㄷ
모뎀과 공유기 중 일방은 브릿지(스위치 허브)를, 다른 일방은 NAT모드로 가동하고자 하시는 것이지요~?
하지만 NAT 주체를 어느 쪽으로 선택해도.. 통신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군요..ㅠ
# 일단! 체결 우선순위,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몇가지 A/B테스트를 취하시긴 했으나.. 단서가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공유기 모델명,
어댑터(전원수여장치) 노후화 정도,
통신 부하(연산 부하) 정도,
종단 단말기 목록,
구체적인 네트워크 모식도 등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원인을 찾기에 미싱링크가 너무 많거든요~;;
일단 공유기 에러로그를 토대로 해석하자면~?!
두 가지 중 하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1. 벽면, 공유기, 모뎀을 잇는!
'UTP케이블(일명 랜선)' 일부에.. 물리적 파손이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UTP케이블이 충분한 연성을 보유하긴 했지만,
임계 이상의 압력과 꺾임이 수차례 발생하면 기능이 저하되어 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요;;
공유기 에러로그의 '물리적 링크'란~?
말 그대로 physical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니,
UTP케이블 불량 이슈도 충분히 용의선상에 올려볼 만 합니다..
(참고로, 이처럼 UTP케이블이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무척 흔하답니다!)
2. 해당 공유기 제조사에서 답변할 만한 내용이겠지만..
해당 공유기의 WebGUI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 설정> 메뉴에서
"WAN포트의 물리적 링크 끊김 감지 시 DHCP 기능 재시작하기"
-> 체크박스를 활성화 하는 것도! 또 다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해당 에러로그(물리적 링크 끊김)가 지속적으로 나온다는 것은,
공유기의 하드웨어 NAT 처리 능력이 임계에 다다르는 둥..
공유기 스펙이 감당하지 못하는 자원을 요구 받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ㅎㅎ
즉! 위 1번이 물리적 요소를 용의선상에 올린 것이라면~?!
2번은 하드웨어의 연산 능력의 한계를 의심해보는 것이지요~!+_+b
물론 공유기를 -모뎀을 배제한 채- 벽면에 직접 체결한 경우 통신에 문제가 없었다!
라고 반문하실 수 있겠지만..!
라우팅 경로 내 '모뎀의 존재 여부'가 전혀 다른 통신 협상을 야기한다 여기셔도 됩니다.
3. 해당 SKB모뎀을 브릿지 모드로 전환치 않고..!
S-DMZ 기능을 이용해서 -> 공유기에게 트래픽을 바이패스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방법은..
원인 발굴보다 해결 자체에 주안점을 둔 가정으로!
모뎀 스펙, 모뎀과 공유기 상성, Jcob님 댁내 네트워크 모식도를 면밀히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하지만.. 위 1~2번으로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충분히 고려해 볼 사안 중 하나입니다~!^~^*
하여.. 최소한 위의 세 가지를 점검해보신 후! 그 결과를 알려주시겠어요~?!(∗❛⌄❛∗)
1. 전화선에서 모뎀으로 들어오는 랜선은 기사님이 찝어준거기 때문에 신규 선으로 취급하겠습니다. 모뎀, 공유기, 기타 장치들에 연결된 랜선은 모두 cat5e이며, 1차적으로 랜선을 의심 했기 때문에 모두 새로운 랜선을 연결했지만 동일한 현상이어어 남긴 질문글 이었습니다.
2. 활성화 되어있는 상태에서 남긴 질문글이었습니다.
3. 유일하게 진행하지 않았고 나스와 개인 서버 등의 포트가 충돌이 예상되어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최상단의 sk 모뎀을 iptime의 igmp 스위칭 허브로 변경한 뒤에 해결했습니다. 유선 연결 시 450mbps 무선 연결시 350mbps 측정 되네요.
답변 주신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해결 했지만 정성스러운 답변과 해결담을 위해 답글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아이쿠야..
1~2번 모두 이미 시행해보신 상태였고~!
3번은 적용하시기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었군요~?!
하여, 강력한 용의자인 SK 모뎀을 아예 빼버리고 -> 사제 IGMP스위칭허브로 대체하여 해결하셨네요..!
아유.. 고생하셨습니다~!>.<b
+
결국, SK의 장비 쪽 문제였나 보네요..ㅠ
말씀하신 SK 모뎀 SM213은~?! 저희도 이번에 처음 보는 기종이었는데요..!
동일 기종 교체 후에도 말썽이었던 것을 보면.. 운이 나빴거나, 어댑터 쪽 문제였을 수도 있겠네요~;;
이렇게 피드백도 주시고, 다정한 인사까지 남겨주셔서 저야말로 고맙습니다~!ღ˘‿˘ற꒱
다음에 혹시 인터넷 가입이 필요해지시면~?
꼭 저희 백메가를 통해서 가입해주시면 더더욱 감사하겠습니다~!😁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