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하신 정보로는 가입자가 확인되지 않아 조회가 불가한데
우선 적어도 KT는 비대칭형 개념의 인터넷 망이 없습니다.
또한, 대칭형 망이라 해도 업/다운로드 속도가 완전히 동일하진 않습니다ㅠ
물론 두 속도 차이가 많이 크면 한 번 점검을 받아보셔야 할텐데
말씀하신 상황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하여 이 정도면 차이면 무난한건지,
점검을 받아볼 필요가 있는지 말씀드리기가 애매하네유^^;;;
1. 자, 일단 인터넷 속도 측정은 유선으로 해야합니다.
이더넷(유선)과 같이 Full-duplex 방식의 통신을 하지 않고,
Half-duplex 방식의 통신을 할 뿐더러
유선 신호를 -> 무선(802.11xx)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데다
전체 대역폭의 30% 정도를 패킷 오버헤드로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무선은 장거리용 주파수 기술이 아닌
단거리용이라 직진성과 회절성에 한계가 있고요 ㄷㄷ
주변환경 요소(간섭과 노이즈)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즉, Half-duplex + 거리 + 간섭 + 패킷 오버헤드 => 이렇게 4종 세트(?) 모두 고려하면
무선은 유선에 비해 속도 측정값이 현저히 낮게 나오거나 들쑥날쑥하게 나오는 일이 많아요.
또한, 측정 전에 인터넷 대역폭을 잡아먹는 프로그램이나
와이파이 등을 모~두 끄고 하셔야 합니다.
2. 인터넷 속도 측정값은 사용하는 툴마다도 결과 차이가 있습니다.
속도 측정이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한 일이거든요 +_+
맥씨앤지님과 통신사간의 통신 상황(속도와 끊김)을
제 3자(측정툴)이 알기 위해서는 통신 내용이 측정툴 서버를 거쳐가야 하기 때문이죠.
내 단말기(PC 혹은 노트북) -> 내 통신사 기간망 (라우터 등) -> 측정툴에서 운용하는 서버
이렇게요ㅎㅎ
하여 측정툴(앱)의 서버 사정에 따라 속도 측정값이 천차만별이기에
(물론 PC와 같은 단말기 스펙도 결과에 영향을 줍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인터넷 속도 측정 도구 결과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메가에선 벤치비, NIA, 통신사에서 직접 제공하는 툴...
이렇게 총 3개를 많이 추천드리고 있어요~!
이렇게 해서~! 남겨주신 내용만으로는 어떤 상황인지 단서가 너무 부족한지라
조금 더 자세히 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인터넷 속도 측정은 어떻게 하셨나요?
즉, 유선 or 무선 중 어느 것으로 측정하셨는지,
측정 전에 인터넷 대역폭을 잡아먹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모두 끄셨는지,
어느 툴로 측정해보셨는지요~?
2) 업, 다운로드 측정값은 어떻게 나왔나요?
3) 앞서 말씀드린 다른 툴(벤치비, NIA, KT에서 직접 제공하는 툴)에서도
업,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해보고 측정값이 어떠한지 알려주시겠어요?
찬찬히 살펴보고 말씀 남겨주시면
속도 편차가 심각한지, 점검받아보시는 것이 좋을지 함께 고민해드리겠습니다ㅎㅎ
(아마 다시 측정해보면서 오해했구나 싶을 수도 있겠습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