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dra****님의 글

홈네트워킹 관련 문의

회원님의 사진
  • dra****
댓글 5
  • 조회 4,175

안녕하세요.


이번에 LG uplus TV 및 인터넷을 신규 가입했습니다.

거실에 통신사 공유기 및 TV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연결되어 있는데, 

그와 별개로 작은방에서도 데스크탑 PC에 인터넷을 쓰고있습니다.

그런데 PC가 위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이 안되고 동떨어져 있어서 DLNA서버 등으로 이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작은방의 PC도 메인 홈네트워크에 같이 엮는 방법을 문의드립니다.


검색해보니 통신사 공유기를 AP모드/브릿지모드로 변경하면 된다 라는 이야기도 있던데.. 맞는지요? 

전체 댓글 5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안녕하세요 dra님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

    아! 남겨주신 상황을 보니
    작은 방 PC는 공유기 하위에 엮이지 않고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나보네요
    즉, 짐작하기로는 작은 방 PC는 벽면 랜포트를 통해 모뎀과 통신하고 있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DLNA등을 이용하시려면 모든 단말기가 같은 네트워크에 묶여야 하고,
    그러려면 작은방 PC도 공유기 하위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말이죠 ^^;

    ※ 참고!
    모뎀은 하위에 연결된 단말기들에 공인IP(퍼블릭IP)를 할당하여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고요!
    공유기는 하위에 연결된 단말기들에 사설IP(프라이빗IP)를 할당해 같은 네트워크에 묶이게 합니다



    헌데 LG는 모뎀이여도 사설IP를 할당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공유기를 단순히 브릿지 모드로 변경해버리면 몽땅 같은 네트워크에 묶이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해결법을 검색해서 알아보신 것일 거에요!

    하지만 이 경우 와이파이가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요;; (즉, AP모드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
    모뎀도 어떤 모델이냐에 따라 사설IP를 할당하는지, 공인IP를 할당하는지 다르기 때문에
    이를 확인해야 적절한 해결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그래서 우선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몇가지 질문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① 혹, 백메가 통해 LG인터넷을 가입해주신 고객님이시라면 댓글로 가입자분 연락처를 남겨주시겠습니까?
    가입자분인 경우 전산을 통해 어떤 장비들을 임대받으셨는지 조회해볼 수 있거든요 +_+
    (010-XXXX-XXXX 형태로 하이픈(-) 넣어 남겨주시면 번호는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만약 저희 가입자분이 아니시라면
    사용하시는 모뎀/공유기의 모델명(보통 장비 하단에 적혀있습니다)을 알려주시면 됩니다!

    ② 작은방 PC는 제가 짐작한 대로 벽면 랜포트에 연결되있는 게 맞을까요?
    아니라면 어떻게 연결되있는지 저에게 알려주세요!
    (EX. 거실 공유기 랜포트(단말기포트)에 랜선 길게 연결되서 작은방PC에 연결됐습니다 등)

    ③ 거실에 벽면 랜포트 2곳이 마련되있는지도 알려주십시요!
    단, 랜포트 2개는 나란히 붙어있어야 합니다 (첨부해드린 이미지 처럼 말이죠~)


    요렇게 세가지만 먼저 답변주시면 차근차근 이야기를 풀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bb
    그럼 이후 소식 기다리겠습니당~!(꾸벅)

  • 회원님의 사진 dra****
    1) GAPD-7500
    2) 맞습니다
    3) 포트는 2곳인데 왠지 둘다 하나인것같은... 사진 첨부합니다. (사진의 6번 포트가 거실 메인입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dra****오! 신형공유기를 임대받으셨네요 ㅎㅎ
    작년 12월에 출시한 따끈따끈한 최신형 모델이죠 +_+

    남겨주신 상황을 보니 역시 제가 추측한대로 벽면 랜포트 통해 PC를 연결하고 계셨군요.
    지금 거실에 보이는 장비는 말씀하신 7500 공유기밖에 없을텐데
    분명 통신단자함에 게이트웨이(모뎀) 장비가 하나 숨어있을 거에요

    즉, 제 추측대로 컴퓨터와 공유기는 모뎀과 연결되어 있고
    그 중 공유기는 별도의 내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니 같은 내부 네트워크에 종속될 수 없는 것이지요 ㅎㅎ

    거실쪽 랜포트 2곳이 나란히 있으면 일명 돌려치기 라는 권법(?)으로
    벽면 랜포트를 통해 연결하더라도 사설IP에 묶이도록 시도해볼 순 있는데요.
    일단 이게 확실치 않으니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이 방법이 통하지 않으면 공유기는 초기화(리셋)해서 또 다른 해결법을 시도할 수 있으니 걱정마시고 시도해주세요 ㅎㅎ

    먼저 공유기 뒷면에 적혀있는 AP설정 웹페이지(192.168.219.1)에 접속하셔서
    공유기설정 -> 수동(브릿지) -> 무선 브릿지 설정 -> 사용에 체크하시고 함 테스트해주세요!
    그러면 공유기의 DHCP 리스가 중지되기에 모든 네트워크가 동일하게 종속될 것이에요.

    단!! 이 설정이 무선AP모드 지원(즉, 브릿지 상태가 된 공유기의 무선 AP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가
    불투명하니, 이렇게 설정하신 후 와이파이가 잘 연결 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신 후 피드백 주시겠어요?  ^0^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dra****
    @이상희알려주신대로 공유기 설정으로 들어가서
    수동 (브릿지) 로 선택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는 2.4Ghz
    접속 SSID는 LGUPLUS
    보안규칙은 WPA3-SAE/WPA2-PSK
    접속 공유키는 제가 임의의 암호를 넣었는데요..

    이렇게 하고나니까 일단 작은방 PC도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었고 DLNA 등도 정상적으로 잘 작동됩니다. 문제는 해결되었네요!
    그런데 이렇게 변경함으로써 어떤 단점이나 문제점은 없는지, 또한 제가 설정한 값들이 가장 최적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렇게 사용하게 되면 외부에서 접속 (Wake on lan, 포트포워딩?) 같은건 못하게 되는것인지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dra****오~! 문제가 해결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아마 와이파이도 문제없이 잘 되는 것이겠지요?

    1. 말씀하신 공유기 설정은 권장사항으로 시도하셨다면 잘 취해주신 것이니 별도로 더 하실 건 없고요~
    단점이랄 건 딱히 없고 전부 문제없이 쓰실 수 있을 테니 염려 말아주십쇼~
    만약 문제가 생긴다면 그땐 공유기 초기화해서 다시 해결하면 그만이고 말이죠 ㅎㅎ

    2. 다만, 브릿지모드로 변경된 공유기는 더이상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지 못할 거에요!
    따라서 포트포워딩 등의 규칙은 공유기 말고, 모뎀(게이트웨이)에서 설정하셔야 하고요
    설정만 하시면 외부접속은 문제없이 가능합니다.

    3. 한편, Wake on LAN은 단말기(PC)를 지정하여 매직패킷을 송출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하는데
    이 기능은 "제대로 설정했다" 해서 제대로 작동된다는 보증이 없긴 합니다;;
    이는 마더보드 설정, 운영체제 설정, 전원설정, 공유기 등등의 상성문제가 많아 환경요인에 따른 변수가 많기 때문이에요

    심지어 표준 공정(?)에 맞게 설정 완료해도
    특정 임계시간이 지나면 공유기가 해당 단말로 매직패킷 ping을 전송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도 많이 보았고요;;
    저희 동료분들도 이것저것해보다 포기한 일이 여럿 있었습니다ㅠㅠ
    모쪼록 dra님은 성공하셨으면 좋겠네요!
  •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