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Schr****님의 글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관련해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Schr****
댓글 1
  • 조회 7,059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customer&wr_id=406716&page=2&sca=&sfl=&stx=&spt=0&page=2&cwin=&cmnt_id=406826

질문을 올렸던 질문자입니다.

HGWD-1G iptime공유기 노트북1

- U+Net 공유기 - 노트북2

- 데스크탑

으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설명해주신 대로 HGWD-1G에서 iptime MAC주소로 Super DMZ 설정을 해 iptime 공유기에 외부 ip를 부여했습니다. 이후 외부 네트워크(lte)로 외부ip:5555(iptime에서 설정한 외부 연결 포트)에 접속하면 iptime의 관리 페이지까지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기존에는 iptime 공유기의 내부 ip(192.168.xxx.xxx)DDNS 설정이 되어있었는데, HGWD-1Gsdmz 설정 이후, DDNS 설정에 ip주소가 자동으로 외부 ip주소(182.xxx.xxx.xx)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설정해놓았던 xxx.iptime.org의 경우, 외부 연결포트로 접속해도 접속이 되지 않아 왜 이런 것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DDNS 설정은 공유기의 내부 ip가 달라지더라도 도메인을 통해 연결하기 쉽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럼 외부ip:5555로 접속하는 것과, xxx.iptime.org:5555로 접속하는 것이 다름이 없는 것이 아닌가 하여 질문드립니다. 표기 방식의 차이만 있는 것 같은데 접속이 되지 않아 당황스럽습니다. ㅠㅠ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하여 sdmz 설정을 해지한 후, HGWD-1G 5555번 포트를 iptime 공유기 5555번 포트와 포트포워딩했을 때, 182.xxx.xxx.xx의 5555번 포트는 열려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lte로 182.xxx.xxx.xx:5555에 접속하니 

400 Bad Request

Your client has issued a malformed or illegal request. 

 

오류가 발생하며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쿠키 삭제를 하면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어플의 쿠키를 삭제하고 다시 시도했을 때, iptime의 관리 페이지로 연결되었으나, 로그인 버튼에 엑스박스가 나와있었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도 로그인 버튼을 누를 수 없었습니다. 오류라고 생각해 다시 새로고침을 했더니 기존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었고, 쿠키 삭제를 해도 같은 에러만 나옵니다. 이부분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Schrodingers님~!
    이전에 답변드렸던 곽은정입니다ㅎㅎ

    이번에 남겨주신 질문은 S-DMZ, DDNS 등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근간 지식숙지가
    선행되어야 하는 일이에요^^;

    제가 관련된 내용을 모두 기술하고 안내해드리면 Schrodingers님께 도움이 되겠으나

    1) 저희 백메가가 인터넷 가입을 취급하는 영리업체이기에
    무한히 많은 자원을 도의적 활동에 투자할 수 없고요ㅠ

    2) 다른 많은 질문자분들에게 그 차례가 돌아가지 못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최근 코로나19 때문에 유연근무제를 취하고 있어 더더욱 손발이 부족하거든요 ㄷㄷ)

    3) 또한, 지식이라는 것은 상호 노력이 전제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축적이 가능하다 믿습니다^^;;


    400 Error와 같은 HTTP 반송 에러 메시지는 구글링을 통해서도 충분히 찾아보거나
    시간을 들여 귀납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이고요,
    S-DMZ나 포트포워딩 등의 응용도, 직접경험을 통해 체감하는 것이
    더욱 큰 가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 +_+

    광할한 IT 분야(?)의 각종 질문에 도의적인 도움을 드리곤 있었으나
    지금 말씀해주신 질문 내용은 범주가 너무 커서요..
    결과론적으로 접근해서 몇 가지 팁을 드릴게요ㅎㅎ


    1. S-DMZ는 트래픽을 특정 단말기에 아예 바이패스하겠다는 의미인지라
    즉, "공유기 관리자페이지"를 원격으로 접속하는 게 목적이라면
    S-DMZ + DDNS는 옳지 못한 조합으로 보입니다.

    이 문제는 해당 DDNS 서비스를 관할하는
    ipTIME 기술지원 고객센터를 통하시는 게 더욱 적절해보입니다만,
    네트워크 기본 개념상 이 방식이 옳지 않음은 마땅해요^^;


    2. 위 S-DMZ를 택해야 하는 이유는
    LG유플러스의 공인아이피 maximum 개수 제한 때문이었습니다.
    만약 모뎀(게이트웨이)가 브릿지 모드가 된다면
    모뎀 1차 하위의 단말기들은 모두 공인아이피를 취득하겠으나
    LG유플러스 ISP에서 2개 초과 공인아이피를 허용치 않거든요ㅠ


    3. 단지 관리자페이지 원격접속이 목적이시라면
    포트포워딩을 이용하심이 적절합니다.
    특정포트에 한해 모뎀에서 -> 공유기로 포워딩하는 것이지요~!


    4. 400에러는 말 그대로 해당 아이피:포트(최종목적지)의 request 값을 찾을 수 없다는 겁니다.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라 이해하시는 게 직관적이겠네요 +_+


    최대한 쉽게 (결과식으로) 정리해보았는데
    이를 농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개론 지식이 전제되어야 할 것입니다^^;;;
    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되었기를 바라며.. 또다시 믿고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