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 니****님의 글

기가 인터넷 정말 10배 빠른가요. 이론적으로 말고 실제 현장에서요?

회원님의 사진
  • 니****
댓글 4
  • 조회 4,897

안녕하세요. 백메가님

궁금한점이 있어서요. 오늘 문의게시판에 글 좀 남기네요.

지금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100메가를 많이 쓰잖아요. pc방은 인터넷이 정말 빠른던데. pc방도 100메가인가요?

pc방은 전용선을 사용해서 빠른다고 하는데 속도는 같은데 전용선을 사용해서 그런건가요?

 

그리고 중요한것은 500메가 인터넷 상품과 기가인터넷이 있는데, 500메가는 5배, 기가인터넷은 10배라고 선전하는데

실제 가정에서(물론 현장만다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면 100메가를 사용하다 10배라고 하는데 정말 그정도의 속도 차이를 느낄 수 있을까요?

실제 사용하면 어느 정도 나올까요?

가격도 비싼데 그만한 값어치를 하는지 궁금해서요?

 

전체 댓글 4
  • 회원님의 사진 T****
    실제 사용중인 유저로써 남겨드립니다.
    속도차이는 느껴집니다. 단, 일반적인 웹서핑이나 SNS같은 자잘한 패킷만 주고받는 작업이 아닌 고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데서는 충분히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PC의 성능이 좋거나 휴대폰의 스펙이 높다면 유튜브와 같은 스트리밍 동영상을 고화질(4K급 이상)으로 원활하게 재생하는데 좋습니다.

    실제로, 100Mbps 회선에서는 4K 60fps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는데 캐싱파일 다운로드 속도보다 비트레이트가 높아서 중간중간 버퍼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500Mbps 회선에서는 8K 유튜브 영상을 재생하는데도 회선 속도가 받쳐주니 아주 원활하게 재생이 되었습니다. (A8-7670K, 16GB DDR3, GTX 1060 3GB 의 사양에 웹브라우저는 MS Edge를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이사를 오면서 500Mbps 상품에서 1Gbps 상품으로 상향했고 속도에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업다운 평균 800~830Mbps 이상 나와줍니다.)

    하지만 실제로 써보면 500Mbps 상품에서도 별 불편함이 없으실겁니다.
    제가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속도측정 결과값으로는 800Mbps 이상을 상회하는 속도가 측정되어도, 실제로 스팀이나 배틀넷, 오리진, 유플레이에서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때나 토렌트를 이용하더라도 평균적으로 아무리 잘 나와야 60MB/s(480Mbps) 수준밖에 안나오더라구요. (토렌트는 간혹 시더의 속도가 좋다면 100MB/s(800Mbps)까지는 뽑아주긴 합니다만 거의 드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경에서 4K급 이상의 영상물 또는 8K급 이상의 초고화질 영상물들을 끊김없이 시청하고자 하신다면 500Mbps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단, PC 사양도 받쳐줘야 합니다. 왠만한 최신컴퓨터는 다 지원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안녕하세요, 니코원숭이님~?!
    백메가의 곽은정입니다^0^

    먼저.. PC방에는 PC가 한두대가 아닌 몇 십대가 있어서
    아무래도 가정용(일반) 상품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해서, 전용 회선이 들어가는데요..
    이렇게 전용 회선이 들어가는 곳에서는
    인터넷을 더욱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답니다ㅎㅎ

    아예 설치장소까지 트렁크 장비가 들어가거든요 +_+
    (사진의 위쪽은 트렁크 본체, 아래쪽은 트렁크 내부예요)

    따라서! 중소~중견기업에서 사용하는
    메이저 통신사 Biz망(기업용 인터넷)을 쓰다 보면
    속도에 감탄을 하게 되지요~ㅎㅎ


    또한, 500메가 인터넷은 100메가보다 5배..
    1기가는 10배 빠르다는 것은 '이론상'의 속도고요~!

    체감 속도 차이는 500메가급이 약 3~4배 정도,
    1기가급이 약 7~8배 정도 빠르다고 보시면 되어요.

    위에 Tiro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통신 반응속도가 빨라지는 게 아니라
    회선의 대역폭이 커지는 것인데..

    웹서핑 정도만 할 때는 100메가나 기가나 크게 차이가 없지만
    영화 등의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할 때에는
    확실히 체감 속도 차이가 크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1기가급은 오버스펙이기도 하고,
    PC 사용은 24시간내내 하는 것이 아니라
    보통 하루에 몇 시간만 이용하시니
    기가급 인터넷을 고려하신다면
    가성비 짱짱(?)인 500메가급만으로도 충분해요~!

    기가급 인터넷 전체 가입자 중 약 80% 이상이
    500메가급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좋은 예라 할 수 있지요 +_+

    해서, 영화나 드라마 다운을 종종 즐기시는 경우에는
    한 달에 커피 한 잔을 안 마시는 셈치고
    500메가급 인터넷을 사용하시면
    충분히 만족하시면서 이용하실 거예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편히 말씀해주시고요,
    백메가를 믿고 여러번 문의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당 +_+bb
  • 회원님의 사진 바람과별
    제가 K사의 100메가 인터넷으로 웹하드 다운로드시 [ 10Mbps ] full 로 자료 다운로드 했었거든요..
    이번에 1G 상품으로 변경하고 실제로 웹하드 다운로드시 [ 30Mbps ] 가 최곱니다..
    이게 무슨 기가 상품인가요??
    다시 말해서 가장 저렴한 100M 상품으로 사용하셔도 무방하다는 것입니다.
    속도 체크 사이트에서 속도 체크시 엄청 잘 나와요..하지만 실제로 다운받아 보시면 아시게 될 겁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바람과별와우! 한참 오래된 질문글에 댓글이 달려 놀랐습니다^^

    맞습니다.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기가급 인터넷은
    최대 500Mbps 혹은 최대 1Gbps 등으로 광고하고 있지만
    실제 체감하는 대역폭은 그보다 못하지요^^;

    말 그대로 "이론상 발휘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 이러하다" 수준이고요~
    실사용 대역폭은 이론의 약 70%~80 전후에 머물러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한 곳까지 공급되는
    국사, 라우터, 설비방식, 구내선로 차이가 각각의 사용자별 속도 편차를 발생시키기에
    같은 요금제, 같은 회사의 인터넷을 사용하더라도
    모든 사용자의 대역폭이 동일하진 않아요 ㄷㄷㄷ

    상황이 이렇다 보니, 통신사들이 보증해야 하는 최저보장속도(SLA)도 또한
    방어기재 가득한 수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KT의 경우에는 500Mbps 급 인터넷은 최소 250Mbps를 넘겨야만 하고
    1Gbps는 최소 500Mbps 이상의 대역폭이 마지노선이지요.

    즉, 바람과별님께서 1Gbps 상품으로 청약하신게 맞다면,
    최저보장속도는 500Mbps (바이트 단위로는 62.5MB/s)를 넘겨야 하겠죠?
    (바람과별님 [ 10Mbps ], [ 30Mbps ] 라 표현해주신 것은 Mbps(메가비트) 단위가 아니라
    MBps (메가바이트) 단위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바람과별님께서 측정한 표본이
    "특정 웹하드" 한가지로 국한되어 있다면
    통신사 입장에서 억울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통신사 회선의 최대 대역폭이 아무리 크다 하더라도,
    접속지(서버)의 통신 속도가 느리다면 말짱 도루묵이거든요?

    또한 적지 않은 웹하드들이 자사 서버에 콘텐츠를 저장하기 보다는..
    그리드 딜리버리 패킷 전송방식을 쓰기 때문에 더더욱 변별력이 없습니다.

    쉽게 말해,
    웹하드 다운로드 속도는
    통신사 대역폭 뿐만 아니라 웹하드의 서버 대역폭도 영향을 미칩니다.

    좀 더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 벤치비 등의 툴을 이용해서
    속도를 측정해주시고요~
    만약 이 결과값 또한 500Mbps (바이트 단위로는 62.5MB/s) 미만이 성립된다면
    이는 통신사의 약관 위배로써 위약금을 면제받으면서까지 해지받을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됩니다.

    하여 벤치비 툴로 속도측정을 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문의게시판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