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984 페이지
  • 샵****님의 글

SKB 모뎀 브릿지 모드 후 iptime에서 포트포워딩 하였으나 외부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회원님의 사진
  • 샵****
댓글 15
  • 조회 16,300

안녕세요.

SKB 하프기가 인터넷 , BTV  를 이용하고있습니다.

거기에 iptime 무선 공유기도 이용하고있는데요.


얼마전까진 SKB 모뎀 H614G(공유기1) 에 방에서 나오는 랜선, BTV 등을 연결하여 사용 하던 중 게임서버를 열게 되었지만 

공유기1 에서 포트포워딩을 하여도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않아 검색을 해본결과 브릿지 모드를 찾아 적용하였습니다.


공유기1 을 브릿지 모드로 전환 -> iptime 공유기(공유기2) 에서 원하는 포트를 포트포워딩 하였지만 제대로 포트가 열리지 않네요 .. 


저는 내부에서는 모든것이 다 잘되는데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구성은 


WAN(외부) -> 공유기 1(WAN 포트에 선연결) ---------> 공유기2(공유기1 의 1번포트 에서 나온 선을 LAN 포트에 연결)

                                |                                                                 |

                          BTV(IPTV)                                          작은방 PC(벽 랜선) 


위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DMZ, SDMZ 까지 모두 시도 해봤으나 포트가 열리지도 않고, 외부에서 접속도 되지 않고 있습니다 .. 


그래서 iptime 문제인가 하고 전화를 해봤는데 원격 관리포트에 제가 지정하 포트를 넣고 확인해보라고 해서 확인해봤더니

원격포트에 넣었을땐 오픈이 됩니다.


방화벽도 내렸고, 인바운드에도 추가를 해줬지만 포트가 도통 열리지가 않네요 .. 


그건 공유기1의 문제일까요 ?

아니면 공유기2 의 문제일지 ... 

조만간 NAS도 구성할 예정인데 외부 접속이 되지 않으면 골치가 아파 질것 같아 해결하고 싶습니다 ! ㅠㅠ

도와주세요

                                                                                      

전체 댓글 15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안녕하세요~! 샵하님 😁
    백메가 김사라 입니다

    IT 관련 기술자문을 구하고자 저희 백메가를 찾아주시는 분들을 보며,
    우연한 만남(?)에 대한 생소함과 반가움이 매번 교차합니다~

    저희 백메가는 인터넷 가입/유치를 생업으로 삼는 영리사업자이니,
    언젠가 기회가 되실 때 저희를 통해 인터넷 교체를 염두에 두신다면 더 할 나위 없겠습니다 😄 꾸벅!ㅎㅎ




    각설하고....
    말씀하신 내용 모두 읽어보았습니다~

    현재 각종 라우팅 설정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원격지 ↔ 내부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한 상황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샵하님께서 기술해주신 내용은
    1) 개괄적인 네트워크 모식도
    2) 설정 변경에 따른 결과
    이 두가지 뿐이라 원인을 찾기에는 단서가 매우 협소하답니다 ^^; ㅎㅎ

    - 위 네트워크 모식도에 기재되지 않은 DHCP 서버(일명 공유기)가 추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지?
    - 방화벽 인바운드 설정이 올바르게 취해졌는지?
    - 포트포워딩(혹은 S-DMZ) 정책이 올바르게 수립되었는지?

    적어도 위 3가지에 대한 단서가 있어야 실마리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일단~ 제한된 단서를 바탕으로 하나씩 정리해보겠습니다ㅎㅎ


    1. 댁 내의 종단 단말기(컴퓨터, NAS 등)으로 원격지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속 경로에 놓여 있는 각종 수문장들에게 "예외 규칙"을 등록해야 합니다
    이 때 수문장이라 함은 공유기, 단말기 레벨의 방화벽 등이 되겠지요~?

    샵하님께서 H614G 기종에 브릿지 설정을 취하셨다는 것은
    -> H614G가 공유기(수문장)의 능력을 상실하고
    단순히 스위치 허브로 동작하게 유도하셨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방화벽도 내렸다"는 것은 단말기 운영체제 레벨에서 예외 규칙을 등록했다는 뜻이며,
    "인바운드에 추가했다"는 건 iptime 공유기에 포트 포워딩 규칙을 등록했다는 의미겠지요?

    즉, 샵하님게서는 무엇(what)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계신다 봅니다만,
    이것들이 어떻게(how) 취해졌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요.
    결국 구체적인 설정값이 잘못되었다면 오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지요~!


    2. 한편 댁내 네트워크 모식도를 오인하셨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만약 샵하님께서 미처 파악하지 못한 수문장(?)이 존재한다면(숨어있다면)
    이 수문장에 의해 원격지 접속이 방어되고 있겠지요

    하지만 이것이 원인일 가능성은 극히 낮아보입니다...
    본문 내용 중 "원격 관리포트에 제가 지정한 포트를 넣고" 라는 의미인 즉 :
    iptime 공유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WebGUI 기반 관리자페이지를
    원격지에서 곧바로 접속할 수 있는 포트를 개방하였으며 접속에도 문제가 없었다는 뜻으로 해석되는데요~
    이 기능 또한 포트포워딩의 일종에 불과합니다

    즉, 내부 네트워크 중간에 우리가 모르는 방해꾼(수문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되며,
    이는 포트포워딩 혹은 S-DMZ 설정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혹은 단말기 레벨의 방화벽 정책이 잘못되었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3. 결국 설정값들을 재점검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1) 샵하님께서 원하시는 어플리케이션(게임)에서 요구하는 포트들이 → 정확히 종단 단말기(컴퓨터)로 향하고 있는지
    2) 위 1)번에서 취한 설정이 iptime 공유기 제조사의 표준공정과 일치하는지
    3) 위 1)~2)번 방식 대신 S-DMZ를 이용한 경우, S-DMZ의 목적지가 → 정확히 종단 단말기(컴퓨터)의 MAC Address와 일치하는지
    4) 그리고 종단 단말기에서 조회된 이더넷(ethernet) 어댑터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공인아이피를 취득하고 있는지
    위 4가지를 말입니다.

    아무쪼록 문제해결에 일조하길 바랍니다~!! 😉
  • 회원님의 사진 샵****
    답변 갑사합니다.
    일단 작년에 백메가에서 상담 후 인터넷 + IPTV 가입했어요 ㅎㅎㅎㅎ
    --------------------------------------

    제가 설명을 너무 주절주절 해놨네요 ..

    1. 집에 공유기는 딱 2대 있습니다. (SK에서 제공한 모뎀 , 개인 iptime)
      - SK 모뎀은 "공유기1" 이라고 하겠습니다.
      - iptime 은 "공유기2" 라고 하겠습니다.

    2. 개방하려는 포트는 7777, 27015, 32330 입니다.
    3. 방화벽 인바운드 -> 새규칙 추가 -> 포트 ->  TCP ->  7777, 27015, 32330  추가 후 연결허용 및 모든 프로필 허용.
    4.  "공유기2번"  포트포워딩 -> 혹시나 싶어 TCP 에 위 3개의 포트 추가. UDP 에 동일하게 작업.
    5. cmd -> netstat -ano  입력하여 리스닝 중인 것이 있나 봤지만 없었습니다.
    6. 회사PC 에서 집으로 Telnet 을 날려보았습니다.
      - telnet 외부접속ip 7777  , telnet 외부접속ip 27015 , telnet 외부접속ip 32330 모두 close 입니다.

    7. 혹시나 싶어 게임서버프로그램을 실행 하여 서버 ON 후 netstat -ano 확인 결과 UDP 에는 7777, 27015 , 32330 이  아래와 같은 형태로 존재
      -  UDP    192.168.55.xxx:7777    *:*                                    20712
        UDP    192.168.55.xxx:7778    *:*                                    20712
        UDP    192.168.55.xxx:27015  *:*                                    20712
     
      - TCP 에는 30330 만 올라와 있는상태며 나머지 7777, 27015 는 보이지 않음.
      - TCP    192.168.55.xxx:32330  0.0.0.0:0              LISTENING      20712
      - 회사PC 에서 32330 은 Telnet 으로 접속 성공
          - 7777, 27015 는 여전히 close

    8.  S-DMZ 설정 할때 MAC Address 는 공유기에서 체크박스를 선택해 현재 연결된 IP의 MAC 설정.
          - S-DMZ 후  PC 에서 ipconfig 입력 결과  PC의 IP가 공인IP로 변경 확인됨.

    결론은 설정 값들에는 이상이 없는것 같아요 ..ㅜㅜㅜㅜㅜㅜㅜㅜ
    PC 에서 무엇을 더 해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
    PC내부에서 무언가가 연결을 막고 있는건지.. 포맷을 고려해보는 중입니다..ㅜ

    PS : 백신(어베스트)도 감시모드를 모두 중지 상태로해둔 상태 입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오옷 😁 그러셨군요~!
    백메가로 다시 찾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닷 ㅎㅎ
    샵하님 샵하! (샵하님 하이라는 뜻..... ㅎㅎ)


    이런.. 참으로 특이한 현상이군요..! ^~^;;
    여러모로 고민하셨던 흔적이 절실히 느껴지네요...


    혹시 모르니 몇가지만 더 확인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1. SK모뎀을 브릿지 모드로 변경 후 웜부팅(아예 전원수여 중지후 재연결)을 취해보셨는지요~!
    SK모뎀에 정책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는 트러블 이슈가 간간히 존재합니다
    (물론 별로 관계없어 보이긴 합니다ㅎㅎ;;)

    2. S-DMZ로 종단 단말기를 설정했을 때(즉, 소프트웨어NAT 로 공인IP를 받아왔을 때)에도
    7777, 27015, 32330 포트가 여전히 close 상태인가요?

    3. 역시 별 관계없는 이야기지만 -돌다리도 두드려 볼 단서를 위해 여쭙습니다-
    내부 네트워크 주소 범위가 192.168."55" 인 것은 임의의 설정값을 반영하셨기 때문이지요?
    (iptime 제조사 내부 네트워크 주소 기본값은 192.168."0" 이기 때문)

    4. 제가 첨부한 이미지처럼,
    모뎀을 배제하고 공유기 ↔ 종단단말을 다이렉트 연결해보신 적이 있으실까요~?
    또한 WAN(외부) ↔ 종단단말을 다이렉트 연결해보셔서 테스트한 적이 있으신지요!?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 SK 브로드밴드라면,
    특정 수용국(국사)에서 특정 포트를 차단하는 만행을 저지르곤 했었지만
    오늘날에는 ISP레벨에서 포트를 차단하는 경우를 목격한 적이 없거든요...!?

    즉, 종단단말기가 아닌 ISP 정책적 문제가 아닐까 검증해보고 싶어
    몇가지 질문드립니다ㅎㅎ
    번거로우시겠지만 댓글 확인 부탁드려요~! 😁
  • 회원님의 사진 샵****
    1. 전원 재연결 해봤는데도 여전해요..
    2. 네.. 공인ip 받아도 여전히 close 입니다.
    3. 192.168.55 는 SK모뎀을 브릿지로 바꾸기 전이였습니다.
       - 브릿지 후 iptime 을 메인으로 받을때는 192.168.0 입니다
    4. (1).모뎀 배제 하고 공유기 <-> PC 연결해도 동일
        (2) WAN <-> PC 연결은 할 수 없어요 ..  외부선은 거실로 나오고, PC는 작은 방에 있거든요 ..

    5. netstat -ano | findstr -i SYN_SENT 해봤는데 나열되는건 없네요.

    6. 회사에서 남는 노트북 들고와서 7777 포트열어 놓은 후 WAN을 바로 꽂아봤습니다.
        그러고 나서  https://www.yougetsignal.com/tools/open-ports/  및 회사 PC 원격 붙어서 telnet 까지 확인해봤지만 Close  라고뜨네요

    이해가 안되네요 .. 대체 왜 포트가 안열리는지 ..ㅜ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귀신이 곡할 노릇입니다! 🙄
    노트북에서도 동일 현상이 관측되니...
    애꿎은 컴퓨터를 용의자로 지목할 이유가 없겠는걸요? ㅠㅠ

    2대의 이종 단말기가 동일 어플리케이션 레벨 문제 (방화벽 설정 등)를 겪고 있다 여기기에는
    너무 낮은 확률입니다 ^~^;


    결국 ISP레벨에서 특정 포트를 차단하는 것을 의심할 수 밖에 없겠어요!
    이전 댓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과거의 SK브로드밴드 ISP에서는 수용국마다 포트 정책 차이가 있었는데
    (즉, 인터넷 설치 지역에 따라 엔드유저가 이용가능한 포트 범위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 만행이 오늘날까지도 일부 지역에서 세습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겠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에 하나까지 짚어보는 심정으로 3가지만 더 여쭤볼께요!
    grep 계열의 콘솔 명령어까지 활용하실 정도이니 IT에 조예가 있으실 것이라 짐작합니다만,
    뭔가 아리송하네요..ㅎㅎ


    1. iptime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원격지 관리자페이지(WebGUI) 접속기능은
    사용자 임의 포트설정이 가능하리라 짐작합니다~
    혹시 여기(원격지 관리자페이지 접속기능)에
    7777 혹은 27015 포트를 활용하였을 경우에는 원격접속이 불가능한가요?

    2. iptime 제조사 관리자페이지 -> 포트포워딩 설정 내역 캡쳐를 보여주실 수 있나요?

    3. 노트북 연결(WAN ↔ 노트북)  / 모뎀 배제 후 공유기 ↔ 데스크탑 연결
    위 2가지 경우에서 포트 스캔을 취하실 때,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셨습니까?



    =================

    자! 위 3가지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포트 스캔으로 핸드쉐이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이를 회신할 어플리케이션(주체)가 존재하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7777번 포트를 개방했다 하더라도
    → 이를 회신할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 포트 스캔에서 닫혀있다 판단하겠죠

    한편 해당 포트가 개방되어 있고 + 어플리케이션(게임)이 실행중이라 해도
    telnet으로 7777 포트를 호출한 결과가 항상 open이라는 보증이 없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filtered를 요구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지정한 규약이 아래의 논리를 따른다면,
    텔넷이나 포트스캔으로 체크해봤자 close로 조회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

    "7777포트로 패킷이 들어오는 건 오케이,
    하지만 이것이 유효한 통신임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확인 패킷이 곧바로 오지 않으면 무효"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시나요~?
    즉, 포트들의 개방상태에는 하등의 문제가 없으나,
    포트스캔 측정간 교란변수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질문입니다~

    이 가정이 맞다면,
    일부 측정환경에서 3개 포트 중 1개의 포트만 open 상태로 측정되는 이유는
    나머지 2개 포트가 filtered로 작동했을 가능성이 있겠지요 😐

  • 회원님의 사진 샵****
    해결됐습니다 ㅎㅎ
    netsh 이용해서 포워딩 해도 안되길래  해외 포럼을 쥐잡듯 찾아봤더니
    제가 사용하고자 하는 게임 서버 매니저가 해당포트 7777,27015 포트를 항상 요구하는게 아니고 스팀에서 리스팅할때 및 사용자가 접속할때만 요구한다고 하네요.
    이유가 이게 해당 게임의 기본 규약이라네요 ㅎㅎ
    그리고 친구가 제가 오픈한 서버가 안보이던 문제는 제가 아니라 친구 쪽 문제 였네요 ㅎㅎ

    테스트를 위해
    1. 집 pc에서 포트포워딩 후 서버 오픈
    2. 회사 pc에 게임 설치 및 스팀서버 검색
    3. 정상적으로 검색 및 접속 됨.
      - 혹시나 싶어 다른지역 지인 pc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확인결과 정상적으로 접속 됨.

    결론은 제가 아니라 친구 쪽 네트워크 문제네요... ㅠ
    저는 계속해서 정상이였어요 ㅠㅠ

    그렇다면...
    친구는 왜 제 서버 목록이 보이지 않는지 모르겠네요..
    이런경우 친구가 조치를 해봐야 할만한 사항이 있을까요??
     방화벽을 내린다거나 아웃바운드 규칙을 주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오오 정말 다행입니다!
    저는 2개 포트가 filtered 상태일 것으로 추정했는데,
    아예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이군요~
    (그래도 절반은 맞춘 걸로 인정해주세요 ㅎㅎㅎㅎ)



    이제 남은 문제는 친구분께서 어인 일로 샵하님의 서버가 검색되지 않느냐는 문제겠지요?

    추정컨데 :
    샵하님께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P2P 방식의 사설 서버를 구축한 상황이신거죠?
    물론 게임의 작동방식이나 목록 필터 등의 운영규칙은 게임제작사 마음(?)이겠지만,
    아마 그 원인이 기술적 요인에 있는 것이라면 NAT 계층 문제가 아닐까 짐작합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P2P통신에서 사설IP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공인IP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통신할 때
    사설IP PC -> 사설IP 공유기 -> 공인IP PC 순서로 패킷이 이동하겠지요?

    이 때 공유기는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여
    'XX목적지로 향했던 IP와 포트번호는 출발지가 XX였다~' 하고 패킷의 회귀위치를 알려줍니다
    즉, P2P통신에서 공인IP를 쓰는 사용자가 단 1명이라도 있으면 별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공인IP를 쓴다는 건 적어도 일방의 목적지가 확실하다는 것이니까요


    더 극단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공유기를 거치지 않으면 NAT1,
    공유기를 1대 거치면 NAT2,
    공유기를 복수로 거치면 NAT3 계층이라 여기시면 되는데
    NAT2 ↔ NAT3 관계 혹은 NAT3 ↔ NAT3 관계에서는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


    즉, 샵하님께서 구축하신 환경이 NAT2일 때 (WAN → iptime → 종단단말[서버])
    친구분의 환경은 NAT3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WAN → 공유기 2대 이상 → 종단단말[클라이언트] )

    이 때 공유기란 NAT 기능(DHCP 서버)이 있는 장비의 총칭으로,
    일부 통신사의 모뎀들도 DHCP 서버 기능이 존재한답니다!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시나요?
    이제 친구분 댁에 공유기 혹은 DHCP 서버 기능의 모뎀이 몇대나 있는지?
    종단단말기까지 2대 이상의 공유기를 거치고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될 듯 합니다!! ^_^
  • 회원님의 사진 샵****
    일단 저희집은 WAN -> SK모뎀(브릿지) -> iptime -> PC 순으로 들어 오구요.
    친구 집은 SK 모뎀 없이 기가 와이파이 무선공유기 한대라고 하네요.
    아마 친구방에 PC 에 오는 랜선은 무선공유기를 거쳤을것 같아요.
    그렇다면.. 제가 지금 pc는 사설IP 고정 을 하고 사용 하고있는데 제S-DMZ를 열어서 공인 IP를 받으면 괜찮을까요 ??

    근데 이거 이미 해봤던 방법이긴해요 ..
    제 S-DMZ를 열어 제 PC에 공인 IP를 받은 후 서버 오픈을 해봤지만 친구는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ㅜ
    정말 네트워크 쪽은 너무어렵네요 ..ㅜㅜ
    IT 쪽일을 하고는 있지만 네트워크 쪽은 그냥 남들 아는 수준에서 조금 더 아는정도 인지라 ..
    너무 복잡하고 원인 찾기도 너무 힘드네요 ㅜㅜ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주말은 잘 보내셨나요~!? 샵하님 :)

    정말 귀신이 곡할 노릇이로군요^^;
    그런데 해당 증상(특정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P2P 서버 목록이 송출되지 않거나 접근이 불허함)이 야기되는 원인이
    네트워크 문제가 아닐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통상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상호간 정합성을 유지하기 마련입니다~!
    즉,
    1) 게임 어플리케이션 버전이 상호 불일치하거나
    2) 사용자 임의의 확장 라이브러리(통상 "모드"라 칭해지는 것들)가 상호 불일치한다면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필터링 할 가능성이 있겠지요!

    하여 아래 3가지 것을 확인해주시겠습니까~?
    1) 친구분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버전이 샵하님의 것과 일치하는지
    2) 서버 운영사.. 즉 플랫폼이 동일한 지 (같은 게임이라 해도 스팀/에픽/PSN 등 서버 운영사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3) 서버 개설시 사용자 임의 확장 라이브러리를 모두 해제하였을 때 결과는 어떠한지?
    말입니다 +_+
  • 회원님의 사진 샵****
    @김사라1. 게임은 문제가 생긴 후 클린설치하여 버전은 동일합니다.
    2.  플랫폼은 둘다 스팀 이구요.
    3. 모드는 따로 설치하지 않았어요. 저와 친구 둘다.
      - 친구가 바닐라로 즐기고 싶다고해서.. ㅠ

    대체 뭐가 문젠지 모르겠네요 ㅠㅠ
    혹시나 해서 다른 지인들에게 검색 및 접속이 되는지 부탁 했는데 모두 다 잘 나오고 접속이 되네요.
    거기다 제 서버 이외에 친구가 보이는 목록중 하나를 말해줘서 검색해보면 다른서버들은 결과가 비슷하게 나와요.
    근데 제 친구만 검색도 안되고 다이렉트 주소를 줘도 안되고..
    스팀 인게임 내에서 친구 초대 및 참가를 눌러도 아예 반응초차 없네요 ㅠㅠ

    저도 sk 이고, 친구도 지역은 다르지만 sk 입니다.
    따로 sk 모뎀이 없고, sk 기가무선공유기만 있다고 하네요.
    배전함 같은곳에도 모뎀은 없고 바로 벽에서 나온 선이 sk무선공유기에 연결 되었고, 무선공유기에서 나온 선이 pc에 연결되어있다 하네요. 매일 아침 출근할때 tv근처 멀티탭 전원을 모두 꺼서 공유기는 사용 할 때 이외엔 꺼져있는 상태하 합니다.
    제 공인ip로 핑을 날렸을때 정상적으로 핑이 나간다 하네요.
    제가 공유기에서 임의 포트를 원격 포트로 개방 후 텔넷을 날려보라 했을때 들어와 집니다.
    아.. 진짜 이놈에것 때문에 벌써 일주일이 넘게 별짓을 다 해보고있지만 안되니 너무 짜증나네요 ㅠㅠ

    친구도 지금 같은 증상때문에 방화벽을 내려 놨대요.
    따로 백신도 사용하지 않구요. (최근 포맷함)
    클라이언트는 접속할때 따로 방화벽 규칙이 필요하지 않은걸로 아는디...
    친구 SK 무선 공유기쪽에서 뭔가 설정을 해야할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호옹... 바닐라 = 순정상태 게임을 의미하는 것이지요?!

    일단 현재까지의 증상 및 과정을 망라해보면 네트워크 레벨에서 발생하는 문제라기 보다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레벨 문제일 확률이 커 보입니다....


    제 추정이 맞다면!
    : 친구분 댁의 네트워크 상황(공유기, 연결방식, 파이어월 등)과 관계없이
    게임에서 규정한 필터링 규칙 / 예외 규칙 / 혹은 버그(오류)가 원인이겠지요~


    1) 해당 게임 사용자 포럼에서 '비슷한 증상'을 겪고 있는 사용자들이 많습니까~?

    2) 해당 게임 사용자 포럼에서 -비슷하진 않더라도- 사설 서버 구성시 애로사항을 토로하는 이용자가 많이 식별되나요~?

    3) 친구 분께서 샵하님의 사설 서버에 접속을 시도한 시점은 '친구 분 컴퓨터' 포맷 이후인가요?
    즉, 포맷 이전/이후가 교집합되는 일이 없습니까..?

    이를 여쭙는 이유는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접속 오류를 생성한 이후 ->
    해당 오류 목록을 와일드카드 필터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로직)이 '미처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위 예시(오류 목록-> 영구 필터 대상)는 수많은 가정 예시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클라이언트 레벨에 생성된 →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 관련 config 파일을 모두 소거하는 것이겠지요~!!
    (게임 어플리케이션 제거와 관련 config 제거는 전혀 별개의 성질입니다)
  • 회원님의 사진 샵****
    @김사라1. 비슷한 경우들이 있는것 같아요.
    2. 네 비슷한 사례들이 있긴한데 해결을 못했거나 , DMZ 등으로 해결했던것으로 보입니다.
    3. 제 서버에 처음 접속해서 함께 플레이 했던게 포맷 이후 입니다.
     - 잘 되던게 어느순간 안되기시작했어요 .
     - 시점은 제가 H614G 모뎀의 NAT에 포트포워딩을 사용할때 같이 플레이를 하였으나, H614G 모뎀을 브릿지로 변경 -> iptime을 메인 공유기로 이용 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안되는것 같네요. 물론 H614G를 리셋 하여 다시 NAT 모드에 포트포워딩(PC 랜선도 H614G에연결) 하였으나 접속이 되지 않네요.

    예.. 안그래도 게임내의 설정 문제가 아닐까 .. 하는 생각을 하고 있었어요.
    게임을 클린설치했지만 안된다고 하는걸 보면 게임 폴더 이외의 곳에 다른 설정파일이 존재하지 않을까 .. 하는 ??
    그곳에 저와 관련된 어떤 키워드로 검색을 한다면 새로 갱신된 정보가 아닌 이전의 데이터를 불러오는건 아닐까 .. 하는.. 생각을 해보고는 있어요 .
    친구에게 SK에 문의해서 신호 리셋을 한번 해보라 했습니다. 리셋했지만 여전히 안되구요.
    그래서 일단 이따가 시간날때 무선공유기도 리셋을 해보라고 했습니다.
    어딘가에서 저와 관련된  정보에 접속을 시도할때 블럭을 당하는건 아닐지 .. ㅎㅎ
    계속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오.... 저도 샵하님께서 생각하는 바와 같습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접속 실패 이력이 있는 서버 목록을 필터링하고 있을 가능성이 존재해요
    결국 마지막 용의자는 "친구분께서 클린설치(?)에 실패했다"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일단, 각종 설정 및 로그 데이터를 어느 경로에 저장할 지는 어플리케이션 마음(?)입니다
    게다가 게임을 삭제(uninstall)한다해도 설정 및 로그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프로토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 참 좋을텐데..
    세상 사람들(개발자들)의 마음이 하나되기는 아직 인류 내공이 부족한가봐요~ 😁ㅎㅎ


    그럼 친구분께서 아래 3가지를 확인해보셔야 겠는걸요~!?

    1) 스팀 라이브러리 내 해당 게임 -> 관리 메뉴 -> 속성 -> 로컬 파일 경로를 [파일탐색기]로 접근하신 후,
    게임 삭제를 수행한 이후에 잔여물들이 해당 폴더에 존재하는지 확인해주세요.
    잔여물이 있다면 그걸 수동으로 모조리 삭제해야겠죠?

    2) 스팀 인하우스로 제공되는 창작마당(일명 '모드')의 로컬 파일 경로도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모드가 어떤 방식으로 설치/운영되는지 알 수 없으나, 만약 스팀 인하우스를 경유한다면
    로컬 디스크의 프로그램 파일 / Steam / Steamapps / workshop / content 경로에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 잔여물이 존재할 겁니다.
    (물론 친구분께서는 별도 모드 없이 순정상태로 사용하셨다곤 하나, 혹시 모르는 일이지요)

    3) 게임이 실제 설치되는 경로(로컬 디스크의 프로그램 파일 이하) 외에 설정 및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보통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내 문서(My documents) 혹은 내 문서 하위의 나의 게임(My games) 폴더 내에
    해당 게임 제작사(혹은 게임명) 폴더가 존재하는지 확인해주시겠어요?
    있다면 역시 소거 대상입니다!

    부디 잘 해결이 되면 좋겠습니다 😊
  • 회원님의 사진 샵****
    @김사라으... 바쁘실텐데 계속 답변 감사합니다 ㅜㅜ
    뭔짓을 해봐도 안되네요 ㅎㅎ
    포기 해야할것 같아요 ..ㅜㅜ
    조만간에 친구 포맷하면 그때 다시 시도해봐야겠네요.

    아.. !  맞다 어제 혹시나 해서 친구가 유료 VPN 쓰는게 있어서 그거 켜고 한번 시도해 보라고했더니
    서버가 검색이 된다고하네요.
    물론 서버 접속하려고 할때 타임 아웃이 되서 접속은 못 했지만 검색은 된다네요 ...;;

    그럼.. 분명 친구쪽에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은디 .. 친구네 집에서 사용하는 SK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가 문제인가 ... 흠흠..
    제 문제는 아닌것 같은 이유는 제가 집에서 서버를 열어놓고, 회사 PC에서 접속을 해보면되요..
    그리고 다른 지역에 사는 지인들에게도 접속을 해보라고 했는데 검색 및 접속이 된다고 하네요.
    근데 제 친구만 검색 자체가 안됐는데, VPN을 켜니 검색이 된다고하네요 ..
    큼..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샵하샵하님 😁
    주말은 평안히 잘 보내셨나요~!? ㅎㅎ
    전국적으로 아주 흐릿하고 비가 많이 오더라구요...


    오, VPN은 그저 중간자(제3의 중계자)를 통해
    내 트래픽을 우회하는 용도로 쓰이기에....
    친구분 댁 네트워크 상황이나 장비(공유기 등) 문제와 연관성이 떨어질 듯 합니다~!

    혹시... 제가 위에 추정했던 "접속 실패 이력이 있는 서버 목록 필터링"의 주체가 서로 뒤바뀐게 아닐까 싶은데요~?
    즉, 필터링하는 주체가 클라이언트(친구분)가 아니라 서버(샵하)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ㅎㅎ;;

    제 가정이 맞다면 :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측 컴퓨터에 접속 실패 이력이 있는 클라이언트 목록을 로그화하여 블랙리스트 필터링 할테니,
    샵하님 컴퓨터(서버)의 각종 설정이력을 초기화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위 댓글에서 말씀드린 3가지ㅎㅎ)

  • 문의게시판
  • 984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