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제 kt 1기가 가정용5회선 오피스 10회선 사용중입니다
개인 상가에 오피스10회선 넣고 1차 rn 상가에 선 넣고 혼자 사용중입니다
kt는 멕을 좀 여유잇게 풀어주셔서 모뎀당 5~60개 열고 다 사용중입니다
헌대 1차 rn 에서 600개정도 쓰니 더이상 쓰면 안된다고 해서
지금 회선을 더 넣거나 600개 제한을 풀어야되는데 힘든것 같아서
sk나 엘지 비즈넷 추가 설치 할까하는데
sk 엘지는 오피스넷 같은거 설치하면 모뎀당 공인아이피 몇개 할당해주나요
가입하기전엔 뭐 제한없다하는데 설치하고나면 각종 제한이 붙네요
본인은 사설ip를 쓰지않고 무조건 공인아이피 써야됩니다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ㅡ^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헛~! 엄청난 회선 수의 인터넷을 이용하고 계시는 군요
KT가 비교적 여유로운 공인아이피를 할당해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원칙상으로는 1개 회선당 1개 공인아이피를 원칙으로 합니다^^;
이 말인 즉,
유플러스나 SK브로드밴드는 KT보다 훨씬 엄격하고 협소한 공인아이피 관리를 취한다는 의미에요
SK는 수용국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10개 미만이라 보시는 게 좋고, LG유플러스는 그보다 적습니다.
심지어 유플러스 가정용 회선은 2개를 초과하지 못하게 되어있죠 (쿨럭;;)
기업용 인터넷이라 해도 여러 개의 공인아이피(고정/유동을 망라한 고유 주소)를 할당하는 것에는 인색합니다 ㅠ
애초 지역에 할당된 라우팅 테이블이 한정적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울산질풍님처럼 다수의 공인아이피를 취하는 사용자분들은 VPN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이를 알아보시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지 않으실까 싶습니다
인터넷을 따로 계약하는 건 관리하기도 힘들고 비용도 만만치 않으니까요! ^^;
저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__)